▲서울회생법원 홈페이지서울회생법원 홈페이지에는 회생파산 관련한 많은 정보가 담겨있다. 민원인들과 법률전문가들이 알아야 할 법령과 제도 전반에 관한 사항과 업무처리절차와 보도자료 등이 있어서 잘 이용하면 쏠쏠한 정보가 된다.
배운기
60대 자영업자 A는 2020년 9월 파산면책을 받았다. 다만 그 당시 제출했던 채권자 목록에는 채권 양도받은 채권자 B가 누락되었다. B는 자신의 채권이 비면책채권임을 이유로 A를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하였다. 2023년 9월, 자영업자 A는 재기하여 사업을 하던 중 영업이 어려워져 다시 파산신청을 할 수밖에 없었다. 이때 처음에 누락하였던 B의 채권에 대해서도 면책 받을 수 있을까?
파산・면책 절차에서 면책결정을 받은 개인 채무자가 그 절차의 채권자목록에서 일부 채권을 누락한 경우 누락된 채권에 대한 추가적인 파산・면책 신청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가 문제된다.
채무자회생법 제566조 제7호에서 '채무자가 악의로 채권자목록에 기재하지 아니한 청구권'을 비면책채권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채권자목록에 누락된 채권자들이 채무자를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하거나 강제집행을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
이때 채무자는 면책확인의 소나 청구이의의 소를 제기하거나 면책의 항변을 하는 방법으로 대응할 수 있지만, 경제적으로 취약한 채무자가 소송을 통해 채권자에게 대응하기는 쉽지 않다.
이러한 경우에 기존의 실무는 절차남용이나 지급불능의 요건 미비 등을 이유로 신청을 기각하였다. 하지만 서울회생법원은 2023년 하반기부터 법률 서비스 접근을 높이고 채무자를 배려하고자 종전에 면책받은 채무자가 채권자목록에서 누락된 채권에 대하여 추가적인 파산면책을 신청하는 경우 이를 허용하기로 했다.
이때에는 법 564조 제1항 제4호에서 면책불허가 사유로 규정하고 있는 '종전 면책 허가결정의 확정일로부터 7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때'를 적용하기 않기로 했다. 따라서 그 기간 내에 접수되었다는 사정만으로는 신청을 각하하거나 기각하지 않을 것이다.
사안의 경우 채무자 A는 2020년 9월 면책을 받았으므로 2023년 9월에 신청한 새로운 파산면책신청은 파산절차의 남용으로 기각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기존에 채권자목록에서 누락된 채권자 B의 채권에 대해서는 별도로 파산면책을 신청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파산면책 절차에 따라 절차남용 여부가 없는 한 면책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며칠 뒤 R기자에게서 다시 전화가 왔다.
"과장님, 혹시 회생테크나 파산테크가 공식적인 용어는 아니죠?"
"그렇죠. 네이버나 다음 포털 검색해보면 공식적이거나 법률적인 용어는 검색이 바로 될 겁니다."
"잠깐만요... 제가 그 생각을 못해봤네요. (뭔가 두들기며 검색하는 소리)....아, 네 회생테크나 파산테크는 아예 검색이 안 되는데요. 빚테크라는 용어는 가끔씩 사용되는데. 이거는 파산테크하고는 다른 뜻으로 사용되고 있는 거 같은데요."
"그렇죠. 빚테크는 저금리를 둘러싼 대출채무에 대한 전략적 선택이라 할 수 있죠. 더 싼 이자로 돈을 빌리고, 대출을 갈아타고 뭐 그런 거죠. 회생·파산테크는 채무자가 회생파산제도를 변칙적 재테크의 일종으로 활용한다는 그런 사실적 개념이니까요."
회생테크란 개인회생(파산)제도를 이용해서 재테크를 한다는 말이다. 흔히 말하는 재테크의 긍정적 시각보다는 제도를 악용하여 재테크를 한다는 부정적인 뉘앙스의 신조어다.
회생파산제도의 장점을 활용한 반복적 면책은 분명 여러 측면에서 문제의 소지가 있다. 때문에 업무를 담당하는 판사들과 회생위원들의 고민은 깊어져간다. 결국 업무의 당위성과 제도의 문제점, 개인적 연민과 심리적 불편함의 충돌 속에서 신청사건 하나하나를 풀어나갈 수밖에 없지 않을까.
사실, 회생파산 제도를 악용하는 이들과 어쩔 수 없이 자본주의의 약자가 되는 이들을 구별하기란 쉽지 않다. 경제적 파탄과 저소득의 굴레에서 빠져나오기란 부자가 바늘구멍 빠져나오기보다 더 어려울 수 있다. 어쩌면 부자들은 자신들의 시간과 돈으로 바늘을 크게 하거나 자신의 몸을 작게 할 수 있는 상상이라도 할 수 있지 않을까?
이러한 문제는 채무자들 개인들의 갱생노력과 경제신용 교육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경제적 한계상황에 대한 사회구조적 접근, 재취업과 직업교육에 대한 국가적 관심, 경제적 취약계층의 자발적 동기부여 정책 등의 제도적 개선책 마련이 필요한 까닭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공무원교육원 교수를 거쳐 현장에서 밥벌이 중입니다. 부모와 아이들이 살아가야 할 세상을 꿈꾸고 고민합니다.
공유하기
재파산 신청의 증가에 대한 대책은? - 회생·파산테크의 아이러니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