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베이비페어에서 참관객들이 출산 육아 용품들을 살펴보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성인이 된 에즈미는 평범한 사람들이 모이는 시장이나 극장에 나가 여성의 단어를 직접 채집하기 시작한다. 여성 인권에 눈을 뜨게 되면서, 영국 여성 참정권 운동(서프러제트)에도 참여하게 되는 과정이 흥미진진하다. 여성들의 단단한 우정과 계급을 초월한 사랑 또한 아름답다.
그중에서도 나의 마음을 사로잡은 한 장면은 어린 에즈미와 그를 돌보는 젊은 하녀 리지의 대화이다. 에즈미는 리지가 고된 하녀의 일을 마치고도 밤이면 졸음을 쫓으면서 자수를 놓는 이유가 궁금해 묻는다.
리지는 청소, 요리, 세탁, 불피우기…… 자기가 종일 하는 집안일은 누군가에 입으로 들어가거나, 더러워지거나, 타버려서 모두 흔적 없이 사라져 버린다고 말한다. 하루가 끝날 때면 자신이 여기 있었다는 증거가 하나도 남지 않지만, 자수는 영원히 남아서 내가 존재한다는 걸 증명해준다고 답한다.
"제가 놓은 자수는 언제나 여기 있을 거예요." 리지가 말했다. "이걸 보면 왠지…… 글쎄, 단어를 모르겠네요. 제가 언제나 여기 있을 것 같은 기분이 들어요." "Permanent, 영속적인." 내가 말했다.
"그럼 나머지 시간들에는 기분이 어때?"
"불어오는 바람 바로 앞에 놓인 민들레꽃이 된 것 같죠."
(책 63쪽)
자잘한 집안일을 하다 보면 하루가 금방 가버리는데, 하는 일 없이 시간을 보낸 듯한 허무함. 주부인 나는 리지의 이야기에 감탄하며 공감했다. 그렇다면 그의 '자수 놓기'가 나에게도 있을까? 있다면 어떤 것일까?
나에겐 '글쓰기'가 아닐까 싶었다. '쓴다는 것'은 내가 존재한다는 걸 증명해준다. 올해 출판 계획이 어그러지면서 슬럼프가 왔던 나에게 큰 위로가 되었다. 어떤 글이든지 그 시간에 내가 존재했다는 기록만으로도 충분하다는 깨달음을 주었다. 원고료, 출판 등 경제적 대가가 있는 글만 의미 있지는 않다고, 일상의 소소한 기록에도 너의 존재 가치가 새겨져 있다고 따뜻하게 등을 어루만져주는 듯했다.
시간이라는 옷감에 좋아하는 무늬 새기기
취미로 배우는 하와이 춤 훌라 수업에 다녀와서 짧게라도 메모했다. 언제나 수첩을 들춰보면 그 시간으로 돌아가는 듯하다(관련 기사:
누가 알았겠어요, 50대에 튜브톱을 입을지 https://omn.kr/26vtg ).
기록하지 않았다면 불어오는 바람에 흩어지는 민들레 홀씨처럼 사라졌을 생각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도서관 동아리에서 만드는 팟캐스트 <도서관에서 수다 떨기>도 더 열심히 참여했다. '말하기'의 기록은 리지의 자수처럼 영원히 디지털로 남을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