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바람에너지'로 태양전지 표면 오염 방지·제거한다

[세상을 깨우는 발견] DGIST, 고출력 마찰대전 에너지 발전소자 개발...태양전지 효율 높여

등록 2024.01.31 10:09수정 2024.02.01 06:57
0
원고료로 응원
a

DGIST-삼성전자 공동연구진이 연구 내용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 DGIST 제공

 
친환경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는 태양전지는 패널의 표면이 오염되면 에너지 생산량이 급격하게 감소하기 때문에 주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이에 자연에 존재하는 바람에너지를 고전압 전기로 변환하여 자가발전형 태양전지 표면의 오염을 방지하고 제거하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해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됐다.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 총장 이건우)은 31일 에너지공학과 이주혁 교수팀이 삼성전자 생산기술연구소 승완철 박사와 공동연구를 통해 "태양전지의 표면 오염 제거 및 예방으로 태양에너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소자 기술은 '마찰대전 발전소자'를 이용하여 마찰력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고, 이를 전기역학 스크린에 활용해 태양전지 표면의 오염 방지 및 제거로, 태양광 발전 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a

연구팀이 개발한 마찰대전 발전소자 기반의 전기역학 스크린 (a) 바람으로 구동하는 마찰대전 발전소자 기반의 전기역학 스크린의 도식화. (b) 전기역학 스크린의 작동 원리. (c) 전기역학 스크린 사용 전과 후. ⓒ DGIST 제공

 
DGIST에 따르면, 기존에는 태양전지 패널의 먼지 제거 등 유지보수를 위해 고압수 분사 및 관리가 가능한 인력을 투입하고 있지만, 면적이 넓은 사막 또는 산악 지역, 나아가 우주와 같은 극한 환경 등에서는 인력 투입이 불가능하기에 무인으로 태양전지의 표면 오염을 방지 및 제거하는 기술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그 중 일정 패턴의 전극에 교류 형태의 고전압을 발생시켜 입자를 이동하게 하는 '전기역학 스크린' 기술을 활용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으나,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류 전류 및 고전압이 필요해 태양전지 발전량에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존재하고 있다. 

이에 연구팀은 일반적으로 소모되거나 버려지는 에너지를 재활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전기역학 스크린 기술에 적용하는 방안을 착안했다고 한다. 

연구팀은 "바람으로 회전하여 고전압의 에너지를 발전시키는 마찰대전 발전소자를 개발하고, 활용 가능성 확인을 위해 소자의 회전 속도에 따른 전압 출력의 변화를 기반으로 풍속과 출력의 관계를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a

연구팀이 개발한 바람으로 구동하는 마찰대전 발전소자 기반의 전기역학 스크린에 의한 먼지 제거 효율 (a) 바람으로 구동하는 마찰대전 발전소자의 사진. (b) 바람으로 구동하는 마찰대전 발전소자의 도식화. (c) 풍속에 따른 마찰대전 발전소자의 회전 속도. (d) 풍속에 따른 마찰대전 발전소자의 출력 전압, (e) 전류, (f) 전하. (g) 풍속에 따른 마찰대전 발전소자에 의한 먼지 제거율(무게 및 면적 비교). (h) 바람으로 구동하는 마찰대전 발전소자 기반의 전기역학 스크린 사용 전 (i) 후. ⓒ DGIST 제공

  
a

연구팀이 개발한 마찰대전 발전소자 기반의 전기역학 스크린의 태양전지 적용 실험 (a) 태양전지와 전기역학 스크린의 사진(태양전지, 전기역학 스크린 부착, 먼지 제거 전, 먼지 제거 후). (b) 각 과정에서의 태양전지 전압에 따른 전류 밀도 변화. (c) 각 과정에서의 태양전지에 의한 전환율. (d) 풍속에 따른 먼지 제거 후의 태양전지의 전류 밀도 및 전기역학 스크린의 투과율. ⓒ DGIST 제공

그 결과 높은 풍속으로 인한 빠른 회전을 통해 고전압(최대 2300V까지)이 생성됐으며, 해당 소자를 활용한 '자가발전형 전기역학 스크린'을 제작해 패널 표면의 오염 제거를 실행하자 태양전지 출력이 90% 이상 회복됨을 확인했다. 


이주혁 에너지공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자연에서 존재하는 바람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태양전지 표면 오염을 방지 및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하게 됐다"면서 "향후 해당 기술을 보다 발전시켜서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미래 에너지원인 태양에너지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이 교수는 "이번 연구는 미래 에너지 이슈에 직면할 인류에 꼭 필요한 기술"이라며 "마찰대전 발전소자를 활용한 기술들을 개발하여 실용화에 도전하여 에너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고 향후 목표를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NRF)의 지원을 통해 진행됐으며, 에너지 공학 분야의 저명 국제 학술지 중의 하나인 <Nano Energy>(제1저자 : 에너지공학과 허민수 석사과정생)에 게재됐다. 
 
a

사진 오른쪽부터 DGIST 에너지공학과 이주혁 교수, 삼성전자 승완철 박사 ⓒ DGIST 제공

 
#DGIST #삼성전자 #태양전지 #에너지하베스팅소자 #마찰대전발전소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용산 대통령실 마감하고, 서울을 떠나 세종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진실 너머 저편으로...

AD

AD

AD

인기기사

  1. 1 금반지 찾아준 사람이 뽑힐 줄이야, 500분의 1 기적
  2. 2 검찰의 돌변... 특수활동비가 아킬레스건인 이유
  3. 3 '조중동 논리' 읊어대던 민주당 의원들, 왜 반성 안 하나
  4. 4 '윤석열 안방' 무너지나... 박근혜보다 안 좋은 징후
  5. 5 "미국·일본에게 '호구' 된 윤 정부... 3년 진짜 길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