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투표 캠페인시민들에게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투표하자는 독려 캠페인
오명실
그렇다면, 포천과 가평의 주민은 기후정치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졌을까?
온라인 서명을 하면서 주민들이 '총선에 출마한 기후 후보자께 바라는 한마디'에 쓴 글을 읽어보았다.
"환경을 먼저 생각하고 실천하는 후보가 미래에도 살아남습니다."
"포천·가평 관내 기후위기 대응 관련 공약을 세워서 공표해주시면 주변 몇 사람들 투표 가능합니다."
"안전한 가십거리에만 천착하여 장기적인 기후 문제를 외면한다면 정치를 하지 마십시오"
기후위기 해결을 요구하는 정치적 시민권자의 마음이 잘 담겨 있었다.
포천기후행동은 가평·포천 유권자 18만3780명 중 1.5%인 2757명을 목표로 '기후유권자' 서명을 받는 '기후시민단'을 조직하고 있다. 2050년까지 1.5℃ 기온상승을 억제하자는 상징적 의미가 담겼다. 현재 1천여명이 '나는 기후유권자입니다'에 서명했다. 오프라인 서명지와 구글폼을 활용한 온라인 서명을 SNS에 홍보하며 세를 불리고 있다.
'기후유권자' 스티커도 각자의 소지품에 붙였다. 동시에 '우리는(나는) 기후유권자입니다!', '기후에 투표하세요!', '파란 하늘을 되찾읍시다!' 등을 외치며 온·오프라인 캠페인도 전개하고 있다. 재활용 종이상자에 자신이 말하고 싶은 문구를 직접 적어 피켓을 만드는 캠페인도 벌인다.
10년 전 포천에는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에 반대한 시민들이 투쟁위원회를 결성한 적이 있었다. 분지 지형의 특성상 석탄화력발전소는 대기 환경에 부정적 영향이 컸지만, 무소불위의 대기업 권력에 좌절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다시 마음을 굳게 먹고, 보다 넓고 깊은 환경보호 활동을 위해 '기후위기 포천 시민행동'을 결성했다.
한발 더 나아가 탄소배출이 적은 재생에너지를 생산하여 수익을 나누고 공공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시민햇빛발전협동조합'을 창립했다. 2년이 채 안 됐는데도 조합원이 472명에 달하며, 포천에서 우뚝 선 협동조합으로 자리잡았다.
정치를 바꾸는 가장 빠른 길
보수세가 강한 포천·가평은 기후위기 의제를 시민운동으로 끌어내기 쉽지 않다. '포천은 아직 멀었어! 10년은 더 있어야 해!' '포천·가평은 변하지 않아!'라는 말을 들을 때마다 반문한다. 정치는 변하지 않는다고 믿는 유권자가 선택한 정치인이 과연 우리가 원하는 정치를 할 수 있을까? 상식적이고, 어려움에 공감하고, 서민이 혜택받고, 기후위기와 탄소중립을 위한 정책을 고민하는 정치를 할 수 있을까? 정치가 바뀌면 시민이 바뀔까? 오히려 시민이 바뀌어야 정치가 바뀌지 않을까?
'기후정치바람'이 지난 3월 22일 발표한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후위기 공약이 마음에 들면 정치적 견해가 다른 정당 후보에게 투표를 고려하겠다'는 응답이 61%가 넘었다. 기후 의제를 고려해서 투표하겠다는 유권자도 33.5%였다. 무엇보다 기후공약에 우선 투표하겠다는 유권자도 10% 이상이었다(전국 17개 광역시·도 1천명씩, 모두 1만7천명에게 172개 문항 질문). 기후·환경 의제를 중심으로 한 '기후유권자'의 존재가 드러난 것이다.
기후는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위협으로 떠올랐고,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눈 기후정치가 필요하단 점을 국민도 인식한다. 올바른 투표는 민주주의 시민의 의무이자 권력이다. 시민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정치인이 마땅히 져야 할 책임이자 정치인의 존재 이유다. 포천과 가평 시민은 기후위기 시대에 정치가 희망이 되길 간절히 바란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1
시민활동 운동가입니다. 지금은 환경운동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공유하기
포천·가평 시민들이 '기후유권자' 배지 단 까닭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