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대 총선 유권자 수와 투표자 수. 빨간색 선은 연령대별 투표율.
중앙선거관리위원회?슬로우뉴스
2030세대 중 무당층이 많은 이유는 민주당이나 국민의힘이 큰 차이가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4050 세대와 비교하면 2030 세대는 조국혁신당 지지율도 낮다.
눈여겨 볼 부분은 남녀 성별 차이다. 갤럽 조사에서 비례 정당 투표 의향을 물었더니 20대(18~29세) 여성은 국민의힘 지지율이 11%밖에 안 되는데 20대 남성은 25%나 된다. 민주당+조국혁신당 지지율은 20대 여성이 47%인데 20대 남성은 26%에 그쳤다.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하겠지만 지난 대선에서 압도적으로(59%) 윤석열을 지지했던 이대남(20대 남성) 가운데 상당수가 이번 총선에서는 지지 정당을 정하지 못한 상태라고 보는 게 맞다.
젠더 갈등을 부추겨 윤석열에게 이대남 표를 몰아줬던 이준석의 개혁신당은 20대와 30대 남성에서 12% 수준의 지지율에 그치고 있다(2024년 3월 넷째주 갤럽 여론조사, 표본오차 ±3.1%포인트, 95% 신뢰수준, 응답률: 15.4%.,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2030 세대를 끌어안을 공약이 부족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민의힘은 국가 장학금을 확대하겠다고 했고 민주당은 게임 중독 근거법을 만들겠다고 했다. 민주당이 비동의 강간죄 공약을 내놓았다가 폐기한 것도 이른바 이대남의 여론을 의식했기 때문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정권 심판론이 빠뜨리고 있는 것
누군가는 이번 총선의 시대정신이 정권 심판론이라 말할 것이다. 3년은 너무 길고 한때 '눈 떠보니 선진국'이었던 국가의 몰락과 정부의 부재를 견딜 수 없기 때문이다. 물가는 걷잡을 수 없이 뛰어올랐고 성장 동력은 꺾였다. 당연하다고 믿어왔던 공정과 원칙, 정의, 사회적 연대의 가치가 송두리째 무너졌다. 양평 고속도로 의혹과 디올 백 논란, 의대 정원 증원을 둘러싼 갈등, '런종섭' 사태를 거쳐 우리는 여기에 와 있다. 모두 윤석열 대통령이 저지르고 수습을 못하고 있는 사안이다.
정권 심판론이 힘을 얻는 건 대통령의 책임 있는 사과와 합당한 처벌 없이는 한국 사회가 한 발짝도 나가기 어렵다는 문제의식 때문이다. 정권 심판이라는 시대적 요구가 너무나도 중요해서 다른 의제와 토론이 모두 지루해 보일 정도다.
그러나 2030 세대의 높은 무당층 비율은 이들에게 민주당이나 조국혁신당이 정권 심판의 주체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단순히 2030 세대의 보수화로 설명할 수 없는 뿌리 깊은 정치 불신과 냉소를 제대로 들여다보지 않으면 세대별 갈등을 극복할 수 없다.

▲ 4월 4일 윤석열 대통령이 ?민생토론회 후속조치 점검회의(경제분야)?를 개최하는 모습
대통령실
우리에게 부족한 것은 더 나은 세상에 대한 갈망과 정치적 효능감이다. 1000만 명이 촛불을 들었지만 5년 뒤 윤석열 정부의 탄생을 지켜봐야 했고 '눈 떠보니 후진국'이 돼 있다. 나라를 구한다는 심정으로 투표를 하려면 우리가 꿈꾸는 나라가 어떤 나라인지 이야기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그 시작이 정권 심판이 될 수는 있겠지만 정권 심판에 그쳐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31
민주사회의 주권자인 시민들이 언론의 진정한 주인이라는 인식 아래 회원상호 간의 단결 및 상호협력을 통해 언론민주화와 민족의 공동체적 삶의 가치구현에 앞장서 사회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입니다.
공유하기
'나이 들면, 국힘을 지지하게 될까'란 궁금증에 대한 답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