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료 선생님의 집 앞 풍경
최승우
시간이 흐르면 과거와 다른 새로운 변화에 직면한다. 특히 일상에서 심심치 않게 정신적·육체적으로 뒷걸음치는 나를 마주한다. 검은 머리에 흰머리가 서서히 영역을 넓혀가고 풍성했던 머리카락은 쉼 없이 지상 낙하 운동을 감행한다. 오래전 다쳤던 무릎은 참아온 아픔을 한꺼번에 쏟아내 조금만 걸어도 아프다고 난리다. '공부도 때가 있다'라는 말도 새롭게 시작한 공부에서 절실하게 느낀다. 새로운 장을 넘기면 이전 내용이 생각나지 않는 망각 체험을 시시각각으로 경험한다.
청·장년 시절 성장의 욕구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했다면 지금은 변화에의 순응과 생존을 위한 기본적 욕구가 실존의 문제로 다가온다. 특히 건강한 노후를 위한 주거 문제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젊은 시절 치열하고 고단했던 경쟁적인 삶 속에서 벗어나 자연과 벗하며 여유로운 생활을 열망하나 그것 또한 쉽지 않은 일이다. 기껏해야 '나는 자연인이다'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대리만족을 얻을 뿐이다.
<서울을 떠나는 삶을 권하다>를 쓴 배지영 작가는 "복잡한 도시가 싫어서, 젊은 날을 돈 버는 데만 쏟는 게 싫어서, 아이들에게 고향을 만들어 주고 싶어서, 가정과 일의 조화를 찾고 싶어서, 서울 밖 사람들 이야기를 쓰기 위해서, 회사 임원이 되어도 행복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서울을 떠났다. 그리고 소도시에, 고향에, 산골에, 시골에 정착했다"라는 3·40대 7명의 삶을 소개하고 있다.
삶은 끊임없는 '선택과 결정'의 연속이며 '선택과 결정' 뒤에 오는 결과는 오로지 자신의 책임이다. 도시의 삶을 떠나 시골을 선택한 젊은이의 용기와 결단, 두려움 없는 결단에 박수를 보낸다. 그러나 나이 든 사람에게 거주지 선택은 좀 더 복잡하고 현실적이다. 외로움과 두려움, 생소한 환경과 건강에 대한 염려로 자연과 함께하는 삶은 쉽지 않으며 얼마 남지 않은 제한된 선택의 기회이기에 결정하기 더욱 어려운 문제다.
60·70대의 거주지 선택 기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