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2024 기후경쟁력포럼에 참여한 양경모 삼성전자 글로벌 EHS센터 순환경제연구소 랩장은 순환경제 전환을 위해서는 공급망 구축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리니엄
"예전에는 만들고 싶은 제품을 만들었다면, 이제는 과거와 달라져야 한다. 어떤 경제체제에서, 누구와 만들지 공급체계를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양경모 삼성전자 글로벌 EHS센터 순환경제연구소 랩장이 지난 12일 '2024 기후경쟁력포럼'에서 밝힌 말입니다. 포럼은 서울 영등포구 한국경제인협회(FKI) 타워에서 열렸습니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과 경제지 비즈니스포스트가 공동 주최했습니다. 이날 포럼은 플라스틱 국제협약과 순환경제를 주제로 진행됐습니다.
유엔환경총회 결의안에 따라 국제사회는 2024년까지 플라스틱 국제협약과 관련한 연내 작업을 마무리해야 합니다. 협약 마련을 위한 마지막 회의는 오는 11월 부산에서 열립니다.
국내 산업계 역시 플라스틱 국제협약의 성안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플라스틱이 식음료·화학·건설·섬유·전자기기 등 거의 모든 업종에 걸쳐 사용되는 만큼, 협약 발효 시 거의 모든 산업이 규제 영향권에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포럼에서는 플라스틱 감축을 위해 산업계가 어떤 노력을 진행 중인지 관련 사례 발표와 패널토론이 이어졌습니다. ▲삼성전자 ▲LG화학 ▲LG전자 ▲CJ제일제당 등 대기업에서 주요 관계자가 패널로 참석했습니다.
삼성전자 "제조업 고민, 원료 구입서 조달·처리로 확장"
삼성전자는 순환경제 전환으로의 핵심으로 공급망 구축을 꼽았습니다. 양 랩장은 삼성전자가 국내 제조업계에서 '동맥산업' 역할을 이어왔단 점을 언급했습니다. 동맥산업은 상품을 생산하는 산업을 말합니다. 이와 달리 '정맥산업'은 사용된 제품을 회수해 재활용하는 산업을 일컫습니다.
기존 석유화학 기반에서는 원료 공급에 대해 별다른 고민이 요구되지 않았던 것이 사실입니다. 허나, 이제 순환경제 사회로 진입하기 위해선 기업들 역시 정맥산업의 역할을 고민해야 한단 것이 양 랩장의 설명입니다.
또 그는 "원료를 어디서 조달하고 어떻게 처분할지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일례로 삼성전자는 2022년부터 폐어망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 사용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시작은 50톤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국내 다른 기업들 역시 폐어망을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기술과 공급체계가 확대됐다고 그는 밝혔습니다.
한편, 양 랩장은 향후 순환경제 전환에 있어 주요 과제로 기계적 재활용 고도화와 화학적 재활용 기술개발을 꼽았습니다. 기계적·화학적 재활용 각각의 장단점이 뚜렷한 만큼 함께 고려돼야 한다는 말입니다.
이와 함께 현재 삼성전자는 폐발포폴리스티렌(EPS)을 고품질 플라스틱(ABS)으로 업사이클링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EPS는 일명 스티로폼으로 불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