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지구촌 행복지수', 147개국 중 대한민국 76위

(기대수명x주관적 웰빙점수)/탄소발자국... 1위는 바누아투

등록 2024.06.17 14:05수정 2024.06.17 14:15
1
지난 5월 2024 지구촌 행복지수(happy Planet Index, HPI) 보고서가 발표되었습니다. 2006년 영국의 신경제재단(New Economics Foundation, NEF)이 지구촌 행복지수(HPI)를 개발한 이래 다섯 번 업데이트 되었는데요. 이번 보고서는 전세계 147개국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내놓았습니다.

지속가능한 행복의 선두주자, 바누아투

지구촌 행복지수는 기대수명과 주관적 웰빙 점수를 곱한 뒤 탄소발자국(개인 또는 단체가 직간접적으로 발생시키는 온실기체의 총량)으로 나눈 지수로 계산됩니다. 지속 가능한 웰빙의 척도로, 제한된 환경 자원을 사용하여 얼마나 효율적으로 길고 행복한 삶을 제공하는지 평가합니다. 즉, 어느 나라가 환경을 해치지 않고 지속 가능한 행복 국가인지를 나타냅니다.
 
a

HPI순위 인포그래픽 ⓒ 김현지

 
이번 HPI에서 가장 주목받은 나라는 행복지수 57.9점의 바누아투였습니다. 바누아투는 강력한 사회적 연결을 가지고 있고 군대가 없고 재생에너지는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바누아투는 70.4년(147개국 중 90위)의 기대수명과 7.1점(147개국 중 43위)의 높은 주관적 웰빙 점수(행복도) 그리고 1인당 2.62 tCO₂e(147개국 중 9위)의 탄소발자국을 기록하여 HPI 보고서가 시작된 이래 두 번째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탄소발자국에 따라 뒤바뀐 행복국가 순위

이전 보고서에서 1위로 보고되었던 코스타리카는 이번에 4위로 3단계 하락했지만 여전히 점수가 높았습니다. 반대로 긴 기대수명과 높은 주관적 웰빙지수에도 불구하고 높은 탄소발자국으로 순위가 하락한 국가들도 존재합니다. 이번 보고서에서 10위 안에 있는 스웨덴, 덴마크, 스페인, 프랑스가 대표적입니다. 스웨덴은 7.4점의 높은 웰빙지수와 83년이라는 긴 기대수명을 가졌지만 8.70 tCO₂e의 탄소발자국으로 인해 지구촌행복지수에서는 2위에 그쳤습니다. 지난 2024 세계행복보고서에서 가장 행복한 국가 2위를 차지한 덴마크도 마찬가지입니다.
 
a

HPI 지수 및 요소 비교 ⓒ 김현지

 

노란 불 켜진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기대수명 83.7세, 주관적 웰빙지수는 6.1점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탄소발자국이 14.39tCO₂e으로 147개국 중 무려 130위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의 지구촌 행복지수는 38점으로 147개국 중 76위를 기록했습니다. 반면에 스페인은 주관적 웰빙지수와 기대수명이 우리나라와 비슷하지만 탄소발자국이 절반인 7.12tCO₂e로 적어서 전체 순위 7위로 나타났습니다.
​​
지속 가능한 발전의 중요성


HPI 보고서는 마지막 부분에서 국내총생산(GDP)을 국가 성공의 유일한 지표로 삼는 관행을 넘어 지속 가능한 웰빙을 위한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GDP 상위10개국 중 어느 나라도 지구촌 행복지수의 상위에 있지 않으며, 50위 안에 4개국이 존재할 뿐이었습니다. 즉, 미래는 GDP 지표로 계산되지 않습니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환경적 한계를 인정하면서 국민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합니다.​​

☞ 보고서 원문은 여기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 자세한 지구촌행복지수는 여기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총행복전환포럼 #HPI지수
댓글1

우리 사회의 패러다임을 경제성장에서 국민총행복으로 전환하기 위해 다양한 시민이 한데 모여 국민의 삶의 질과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한 행복정책을 연구하고 행복을 소통하고 함께 행복하기 위한 방법을 알립니다. 모두 함께 행복!


AD

AD

AD

인기기사

  1. 1 김흥국 "'좌파 해병' 있다는 거, 나도 처음 알았다"
  2. 2 23만명 동의 윤 대통령 탄핵안, 법사위로 넘어갔다
  3. 3 김건희 여사 연루설과 해병대 훈련... 의심스럽다
  4. 4 [단독] '윤석열 문고리' 강의구 부속실장, 'VIP격노' 당일 임기훈과 집중 통화
  5. 5 10년 만에 8개 발전소... 1115명이 돈도 안 받고 만든 기적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