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을 보는 사람들.
pexels
지금으로 보면 몹시 불편하겠지만 그때는 불편이라 여기지 않았다. 과거는 지금 기준으로 보면 불편하기 짝이 없기 마련이다. 훗날 사람들도 지금 우리가 불편하게 살았다고 여길 것이다. 그러니 편리로만 시대를 평가할 것은 아니다. 내가 사는 시대나 내가 살아보지 못한 시대나 각각의 환경이 있고 그 환경에 맞춰 사람들은 살아가는 거니까.
다만, 지금 사는 방식이 늘 이런 것이 아니었다는 것을 알면 지금 이 순간이 새롭게 보이는 효과는 있다. 그 생소함이 사는 재미를 주기도 하고.
최근 나온 책 <우리가 두고온 100가지 유실물>을 보면 지금의 익숙한 삶이 당연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책에서 다룬 유실물 중 몇 가지를 뽑아보면 이렇다.
지루함, 길 잃기, 티켓 분실하기, 실패한 사진, 전화, 고독, 숙면, 번호 기억하기, 인내심, 〈TV 가이드〉, 지도, 그 순간에 있기, 날씨 궁금해하기, 당신의 집중력, 눈 맞춤, 그 배우가 누군지 알아내기...
유실물이니 되찾자고 할 생각은 없다. 잃어버린 것은 잃어버린 것이다. 다만 이런 생각을 한번쯤 해보는 것도 나쁘진 않을 터.
지루함을 못 참고 스마트폰을 보고,
고독을 느낄세라 SNS에 글을 올리고,
그 배우가 누구였더라 생각해보기도 전에 검색해 보고,
사람들과 눈을 맞추지 않고 스마트폰으로 의사를 전달하고,
이 순간을 살지 않고 그 다음에 일어날 일만 생각하고,
필름 한 통에 20장까지만 찍을 수 있어 꼭 필요한 사진만 찍던 시절과 달리
똑같은 모습도 여러 장 찍고는 그 사진이 있는지 없는지도 모르고,
1시간 집중은커녕 단 1분도 집중하지 못하고 스마트폰을 들여다 보고 있다는 거.
이 정도만 알아차려도, 나아가 왜 이렇게 살고 있지 하는 의문만 던져도, 우리 삶이 조금 더 나아질지도 모르니까.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오마이뉴스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매일매일 냉탕과 온탕을 오갑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