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충남 홍성군 서부면 판교리의 한 야산. 홍성산불이 발생했던 이 산에는 소나무 묘목이 심어져 있다. 묘폭에는 하얀색 표식이 돼 있다.
이재환
지난해 충남 홍성 산불 피해 지역에 한 업체가 골프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리자, 지역에서 이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지난해 4월 2일 홍성군 서부면 중리에서 시작된 화재는 서부면 전체 면적의 26%인 1454ha(헥타르)를 태우고 사흘 만에 진화됐다. 이는 축구장 2300개에 달하는 면적이다. 기자는 장맛비가 쏟아지기 직전인 지난 6일 오후 홍성군 서부면 일대를 돌며 주민들을 만났다. 주민들은 "자연 복원이 아니라 골프장을 짓는다니 배신감이 느껴진다"고 입을 모았다.
홍성 산불이 발생한 지 1년을 훌쩍 넘긴 요즘, 서부면 산불 현장에서는 산림복원작업이 한창이다. 이날도 산불 발화지점 인근인 서부면 판교리의 한 야산에서는 인공조림 작업이 이뤄지고 있었다. 이 산에는 이름을 알 수 없는 풀들도 푸릇푸릇하게 자라고 있었다. 자연복원도 서서히 진행되고 있는 것.
판교리 야산에서 만난 한 노동자는 "인공조림을 하고 있다. 산림청 예산을 지원받아 나무를 심고 있다. 산 아래쪽에는 소나무를 심고 위쪽에는 편백 나무를 심고 있다"면서 "소나무가 풀로 덮이면 보이지 않아서 (하얗게) 표시를 해놨다. 씨앗에서 발아한 뒤 2년 정도 된 묘목"이라고 설명했다.
취재원을 만나고, 탐문을 이어가면서 골프장 건설에 대한 주민들의 속내를 들을 수 있었다. 자연복원 혹은 수목원 조성 등을 내심 기대했던 일부 주민들은 "배신감이 느껴진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실제로 산림청은 1996년 고성 산불 이후, 산불 지역 복원 시 인공복원(인공조림)뿐 아니라 자연복원도 함께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공조림 대신 자연스럽게 숲이 조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아직도 산불 트라우마 겪고 있는데, 골프장 짓겠다고?"
주민 A씨는 이렇게 호소했다.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에서만 살다가 7년 전에 서부면으로 귀촌했다. 지난해 산불 때 생긴 트라우마가 심각하다. 지금도 창문 커튼을 다 내리지 못하고 반만 내리고 잔다(창밖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 창밖에 산불이 어른 거리는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한다. 아직도 산불 트라우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사를 하고 싶은 마음도 있지만 '다른 곳이라고 다를 게 있을까' 하는 마음으로 참고 있다."
골프장 건설 소식에 대해서도 A씨는 "골프장은 농약 오염이 심각하다고 들었다. 남당항과 같은 기존의 관광자원을 잘 활용하면 될 텐데, 굳이 골프장을 지으려는 이유를 모르겠다. 게다가 골프장은 폐업하는 곳도 많은 것으로 안다"라며 "요즘은 골프를 치기 위해 해외로 나가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내 친구도 해마다 여름이면 태국에 간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에 청년층은 거의 없고 고령이 노인들이 많다 보니, 상황을 잘 모르고 있다. 그 때문에 골프장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생각보다는 크지 않은 것 같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