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과밀억제권역 국회 정책토론회에서 양은순 수원시정연구원 도시경영연구실장이 주제 발표를 하고 있다.
윤종은
규제 실효성 없고 불균형이 심화돼 역효과 발생
토론회에서는 양은순 수원시정연구원 도시경영연구실장이 '과밀억제권역 규제 국가성장발전 저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그에 따르면 수도권에 과도하게 집중된 인구와 산업을 적정하게 배치하여 질서있게 정비하고 균형있게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수도권정비계획'에 따라 수도권은 과밀억제권역, 성장관리권역, 자연보전권역으로 구성돼 있다.
이 중 규제가 집중된 과밀억제권역은 인구집중유발시설 규제, 공장 총량제행위 등 제한과 기업 설립 시 취득세 중과를 받게 된다. 이에 따라 규제의 실효성이 없고 불균형이 오히려 심화돼 규제의 역효과가 생겼다.
또 수도권 인구집중이 심화되고 수도권-비수도권간 균형발전 불평등이 확대되며 과밀억제권역과 성장관리권 간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또 영세산업구조의 전환이 어려워지고 성장관리권역보다 실업률이 상회하며, 높은 실업률과 주거 불안정은 저출생과 국가경쟁력 약화로 이어지고 있다.
높은 실업률, 주거 불안정으로 저출생과 국가경쟁력 약화
해외의 경우 일본, 영국, 프랑스 등은 80년대부터 수도권을 규제 완화와 성장 관리 정책으로 전환해오고 있다. 수도권정책은 대도시의 국제적 경쟁력 강화에 중점을 두고 지방발전정책은 분권시스템으로 전환시켜 GDP 개선, 출산율 증가와 국가경쟁력 강화로 이어지고 있다.
양은순 연구실장은 수도권 규제 완화 방향에 대해 수도권 규제는 국토종합계획 및 광역도시계획의 장기 방향성과 상충되므로 국가 전체의 성장을 위한 규제 완화 필요성을 지적했다. 즉 수도권의 규제를 풀고 광역 대도시를 지역거점화해 비수도권 광역(거점도시) 중심으로 균형발전을 이루자는 것이다.
그는 이어 국토균형은 인구정책, 교통 및 인프라 정책, 지역특화정책 등 지역성장과 상생전략으로 전환하고 서울 외곽 과밀억제권역의 베드타운 형성에 따른 인구과밀, 서비스 산업 집중으로 산업규제가 아닌 고용 창출형 산업 유치를 제안했다.
이어 양 실장은 규제완화를 통해 상생전략과 글로벌 시각에서 지역개발정책을 고려하고, 자치단체별 규제완화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취등록세(도세) 중과세 완화, 공장총량 완화, 행위 규제 완화 등과 입법화의 적극 추진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