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돋이딸아이가 그린 고성의 아침바다
원미영
올해 초등학교 4학년인 딸아이가 한참을 방에서 꼼지락거리다 손에 뭔가를 들고나왔다.
"엄마, 이거 내가 그린 거야! 어때?"
고사리손으로 연필을 굴리고, 고심해서 색을 골랐을 노력이 고스란히 느껴졌다. 작년에 온 가족이 고성으로 여행을 갔을 때 함께 해돋이를 봤던 것을 표현했단다. 고슴도치 엄마의 눈에는 피카소가 부럽지 않았다.
매일매일 즐겁게 그리던 아이는 어디서 들었는지 '예중'을 가고 싶다고 말했다. 이곳에 예중이 있을 리는 만무하고 청천벽력 같았다. 그러다 말겠지 했는데 아이는 꽤 오랫동안 포기하지 않았다.
아이는 얼마 전까지 다니던 학교 앞 작은 미술학원을 관뒀다. 섬세하게 그리는 것을 좋아하는 아이는 학원에서 자주 하는 '만들기'가 싫다고 했다. 막상 학원을 관두고 다른 학원으로 옮기려니 선택의 기회가 많지 않았다. 지금까지 다녔던 미술학원보다 더 어린아이들을 가르치는 학원이 대부분이었고 어떤 곳은 중학생부터 다닐 수 있다고 했다. 결국 갈만한 학원을 찾지 못했다. 국·영·수 교과 학원에 비해 예체능 학원은 더 제한적이었다. 시골에서 선택할 수 있는 학원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사실에 쓴웃음을 지었다.
미술을 전공하고 대치동에서 입시학원을 운영했던 지인에게 조언을 구했다. 지인은 나의 이런저런 고민을 듣고는 단호하게 말했다.
"서울로 가는 게 맞아!"
서울에서 태어난 것 자체가 스펙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교육뿐만 아니라 주거, 교통, 일자리, 복지 모든 인프라가 수도권에 몰려 있다. 누군가는 큰맘을 먹어야 가능한 것을 서울에 산다는 이유만으로 당연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은 엄청난 특권이다. 스스로 선택하지 않았지만, 타고난 환경 때문에 꿈을 포기하는 이들은 생각보다 많다. 어쩌면 처음부터 불공정한 게임이었는지도 모른다. 억울하면 서울에 살지 그랬냐고 다그친다면야 뭐, 할 말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