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해평습지 표범장지뱀이 메뚜기를 사냥해 식사를 하고 있다.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장마가 끝나고 불볕더위가 다시 찾아왔다. 길고 지리한 장마가 물러가자 곳곳에서 멈췄던 하천공사가 재개되고 있다. 낙동강 해평습지(고아습지)의 생태축 복원사업도 다시 시작됐다. 지난 7월 16일 만난 구미시 환경정책과 담당자에 따르면 장마가 끝이 나면 장마기 동안 멈췄던 표범장지뱀 이주 작업부터 재개한다고 한 바 있기 때문이다.
멸종위기종 표범장지뱀 '강제 이주' 막을 방법 있다
표범장지뱀의 강제 이주 사태가 다시 재현된다는 말이다.(관련 기사 : '100개 눈 은둔자' 표범장지뱀, 사는 곳에서 쫓겨난다) 그 면적이 자그마치 50만㎡에 해당한다. 실로 엄청난 면적이다. 이 넓은 면적의 서식처에서 표범장지뱀을 모두 집단 이주시킨다는 발상 자체부터가 놀랍지만 그 실효성도 의문이다. 어떻게 이 방대한 면적의 땅에서 살고 있는 표범장지뱀을 모두 이주시킨다는 말인가.
모두를 포획한다는 것도 어불성설이겠지만, 이미 산란해놓은 알들을 어떻게 할 것이며, 부화를 했다면 또 어떻게 할 것인가? 야생의 생태계는 결코 단순하지 않을 뿐더러 우리가 함부로 건드려서는 안 되는 그들만의 질서가 있는 법이다.
따라서 강제 이주는 바른 해법이 전혀 아니며 그렇게 해서 토건공사를 해서도 안 된다. 그것은 토건공사를 위한 면죄부를 줄 뿐인 것이다. 따라서 이런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고, 만에 하나 그렇게 하더라도 최선을 다해서 그 규모를 줄이고 줄여야 한다.
낙동강 해평습지에서 행해지는 '구미시 도시 생태축 복원사업' 현장에서도 마찬가지다. 표범장지뱀을 강제 이주시키는 그 면적을 줄일 수 있는 대로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표범장지뱀의 생태 교란 사태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