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돈문 한국비정규노동센터 대표가 발제를 하고 있다
국민총행복전환포럼
2024년 한국의 노동자들은 존중은커녕 불평등 체제의 피해자로서 탄압의 대상이되었고, 노동자들 사이에서도 어떤 노동자는 덜 존중받는 계급분절 현상이 나타나며 노동탄압 대한민국이 되어왔습니다. 어느새 비정규직은 멸칭이 되었고 시민들 사이에서는 불평등과 비정규직 문제는 사회적 책임이라는 인식은 있으나 논쟁의 테이블에서만 맴돌뿐 시장자유주의라는 말로 정부는 태만을 일삼고 있습니다.
국제적으로 비교해도 연간 실노동시간, 중대재해 사망률, 세계 노동권 지수 비교 등 노동조건의 국가 간 격차는 날로 커지는 중 한국은 그리 좋은 사정이 아니었습니다. 특히 IYUC의 2023년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세계 노동권 지수는 5등급으로 조사될 정도였습니다.
노동존중사회, 평등한 분배는 계급역학관계의 함수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자본주의 사회의 노동계급 이익은 노동계급의 계급형성과 정치세력화가 진전될수록 노동계급 이익이 선형적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한국은 이를 앞둔 '계급갈등 함정' 단계에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즉, 노동과 자본의 대격돌이 일어나는 네거티브섬 게임의 상태로 자본은 일방적 계급지배 방식을 고집하고 민주노동운동은 저항을 계속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노동계급의 분절과 조직화의 효과
한국사회 과제와 비정규직문제에 대해 한겨레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불평등 해소를 위해 정부가 최우선적으로 주력해야 할 분야는 '비정규직 문제 등 노동시장 불평등 해결'이 26.6%로 2017년 당시 1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 중 19-29세 청년층이 40.2%로 특히 높은 지지율을 보이고 있었습니다. 조돈문 이사장은 이에 대해 "노동시장 불평등이 바로 청년 당사자의 문제이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노동시장의 불평등은 여러 요인의 분화에서 기인합니다. 노동계급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남성과 여성, 정규직과 비정규직, 조직과 미조직 등 여러 차이를 보이지만 특히 고용형태에 따른 차이인 정규직-비정규직이 가장 중요한 문제입니다. 간단히 하면 정규직과 비정규직 분절은 계급균열을 만들고, 노동은 이 차이를 조직화로 극복하고자 하나 비정규직의 조직화 비율이 매우 낮은 것이 문제의 핵심인 것입니다. 특히 '비정규직'노동자는 정규직의 정체성을 지니지 못하는 노동자들이라는 잔여범주로 정의되며, 매우 이질적인 집단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더욱 조직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비정규직 내에서도 특히 노동조합에 가입된(조직된)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미조직)의 차이가 내적 양극화를 만들어냅니다. 조직된 비정규직은 임금수준도 정규직에 많이 가까워지고 있고, 최저임금 미만 비율도 비정규직의 1/3이하로 떨어지며, 고용보험은 정규직과 같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반대로 미조직 비정규직은 임금은 최저수준이고 고용보험률도 절반밖에 되지 않습니다. 즉, 노동조합 조직화가 되면 비정규직 노동자들도 정규직과 비슷한 수준의 노동환경 속에서 존중받으며 일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때문에 2020년 5월 '전국민고용보험제'가 선언되고 특수고용 고용보험 가입률은 8.78%(2020.8)에서 60.92%(2021.8), 73.47%로 급상습하는 즉각적인 정책효과를 보였습니다. 다만 특수고용에만 영향을 미치고 간접고용 비정규직이나 임시직, 단시간 비정규직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부분적일지라도 이는 정부의 정책의지가 유의미한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노동 존중 세상, 가능할까?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대안의 기본원칙은 여전히 아래와 같습니다.
1) 상시적 업무 및 생명·안전 관련 업무의 직접고용 정규직 채용 원칙
2)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
3) 노동자 개념 확대 및 특수고용 노동자 노동기본권 보장
조돈문 이사장은 "현재 노동조합은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 대기업 노동자와 정규직이 많이 들어 있기 때문에 정규직만 대변하는 기득권 세력으로 인식된 부분이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총연맹 차원에서는 비정규직 권리를 요구하는 투쟁을 진행하거나 파견정규직 전환에도 정규직 노조가 협조를 안 하는 현실이 있기도 합니다. 이러한 비정규직 노조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결국 노동 존중 사회에 대한 논의에서 강조되는 핵심은, 노동조합과 조직화의 중요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라고 발제를 마무리했습니다.
발제 후 토론자들의 토론이 이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