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전체가 역사 박물관

이병록의 신대동여지도, 강화도

등록 2024.08.22 14:24수정 2024.08.23 07:50
0
원고료로 응원
"우리나라는 전 국토가 박물관이다"라는 말은 유홍준씨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첫장에 나온다. 강화도는 단위 면적당으로도 그렇거니와, 특히 고대부터 지금까지 전 시대를 관통하는 역사 유적지를 품고 있다.

참성단은 단군의 제천단으로 알려져 있고, 청동기시대 고인돌, 검단 땅이름 등으로 단군과 연관된 전설이 많다. 과거부터 큰 정치세력이 형성되어 있었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고려 권근의 양촌집에 고려 태조 왕건 이전부터 이미 여기서 단군에 제사를 올렸다는 구절이 있다고 하니, 최소한 1천 년 넘도록 지켜온 풍습이다.


나는 고조선을 세운 왕검이 특정한 사람을 가리키는 고유명사가 아니고, 당시에 부족장 등 지배자를 부르는 보통명사라고 생각한다. 지배자의 보통명사에는 왕이 있고, 신라 마립간과 몽골의 칸이 있으며, 임금님과 상감마마도 있다.

역사·지리적으로 가까운 몽골 지도자 호칭에 옹칸이라는 직책이 있다. 징기스칸의 숙적으로 유명한 '토그릴 옹칸'이 있고, '탱그리 옹칸'도 있었다. 나는 탱그리는 당골레이고 옹칸은 왕검으로서, 탱그리 옹칸은 '당골레 왕검'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여기가 고조선 중심지이거나 서울이라고 생각할 필요가 없고, 이 지역에서 일정 세력을 갖춘 왕검(옹칸)이 제사를 지냈을 것이다.

(마립)간과 (옹)칸은 같은 말로써 '간+ㅎ=칸'이다. 말(馬)과 바람 소리로 시끄러운 초원에서는 거센소리 '칸'이, 조용한 벌판에서는 예사소리 '간'이 되었을 것이다. 또 '왕검'은 '임금'을 한문으로 바꿀 때, 뜻으로 (임금)王과, 음으로 금·검·감이 더해진 말이다. 금·검·감은 영감, 대감, 상감처럼 높임말이다. 한마디로 왕검은 임금님이라는 보통명사다.

'검'은 주변 검단 땅이름에도 남아 있다. 인천시는 "'검'은 신 또는 왕을 뜻하는 고대 한국어(黔=儉=衿), '단'은 마을을 뜻하는 고대어(丹=旦=屯=呑)로써 신, 왕의 마을,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마을"이라고 설명한다. 서구에서는 검단의 검(黔)은 검은색을, 단(丹)은 붉은색을 뜻하며 검붉은 갯벌이 많아 붙은 이름이라고 소개한다. 나는 인천시 의견에 동의한다.

a 교산리 고인돌 대개 고인돌이 평지에 있는데, 교산리 고인돌은 산에 있다. 평지에서 산으로 매장문화가 바뀌고 있는 것인지, 산에 있는 돌 산지 바로 옆에다 만든 것인지 모르겠다. 돌 산지 옆에다 만들었다면, 돌을 운반할 사람이 줄어들고 있는 쇠퇴한 부족장 무덤일지도 모른다.

교산리 고인돌 대개 고인돌이 평지에 있는데, 교산리 고인돌은 산에 있다. 평지에서 산으로 매장문화가 바뀌고 있는 것인지, 산에 있는 돌 산지 바로 옆에다 만든 것인지 모르겠다. 돌 산지 옆에다 만들었다면, 돌을 운반할 사람이 줄어들고 있는 쇠퇴한 부족장 무덤일지도 모른다. ⓒ 이병록


고인돌 유적이 청동기 시대의 지배 세력이 있었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강화도는 몇 곳에 고인돌이 분포되어 있는 지붕 없는 박물관이다. 부근리에는 53톤의 큰 고인돌과 박물관이 있고, 교산리 고인돌은 별립산 해발 340m 북쪽 구릉에 있다. 교산리 고인돌은 밑에 있는 두 곳은 봤지만, 산 위에 있는 곳은 보지 못하고 내려왔다.


고인돌은 지배자의 권위적인 상징이므로 통상적으로 동네나 논밭인 낮은 평지에 있는 편이다. 사실 사람의 힘으로 큰 돌을 산으로 끌고 올라가기도 매우 힘들었을 텐데, 인적없는 산에다 만들었다. 혹시 평지에 고인돌을 만드는 장례문화에서 산에 매장하는 문화로 바뀌는 전환기에 만들었을까? 아니면 돌산에서 돌을 옮기는 번거로움을 없애려거나, 세력이 약화되어 산에 만들었을까?

강화도는 고려 말기 대몽골 전쟁을 계속하기 위하여 1232년에 수도를 이곳 강화도로 옮겨서 1270년에 개경으로 돌아갈 때까지 수도 역할을 하였다. 몽골과 화평에 반대하는 삼별초는 강화도에서 시작했지만, 항쟁 유적은 진도와 제주도에 많이 있다.


조선 숙종 때 48개의 돈대를 완성하고 이후 6개를 더 만들어서 5진 7보 54돈대가 완성된다. 당시에는 철통같은 방어태세를 갖춘 금성탕지(金城湯池)라고 할 수 있다. 몽골의 공격에도 버텨냈지만, 공성장비 발전에는 견딜 재간이 없었다.

프랑스와의 병인양요(1866), 미국과의 신미양요(1871) 때 이곳에서 많은 군졸이 전사했다. 서문 바로 안에 있는 연무당은 강화부 군사 훈련을 위해 1870년에 만들어진 곳이다. 이곳에서 1876년에 일본 제국과 체결된 조약은 외국과 맺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이다. 불평등 조약인 '조일수호조규'로써 우리는 '강화도조약' 혹은 '병자수호조약'이라고 부른다.

강화도는 전 시대 역사를 품고 있고, 외침을 막는 역사적 현장이다. 고려말에는 물이 막아줬으나, 조선 말에는 물을 따라서 침입한다. 한 시대의 아픔과 새 시대의 산고 고통을 모두 겪은 지정학(地政學)·역사박물관이다.
#강화도 #참성단 #단군왕검 #고인돌 #마립간과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예비역 해군 제독 정치학 박사 덕파통일안보연구소장 전)서울시안보정책자문위원 전)합동참모본부발전연구위원 저서<관군에서 의병으로>


AD

AD

AD

인기기사

  1. 1 새벽 3시 편의점, 두 남자가 멱살을 잡고 들이닥쳤다 새벽 3시 편의점, 두 남자가 멱살을 잡고 들이닥쳤다
  2. 2 일타 강사처럼 학교 수업 했더니... 뜻밖의 결과 일타 강사처럼 학교 수업 했더니... 뜻밖의 결과
  3. 3 꼭 이렇게 주차해야겠어요? 꼭 이렇게 주차해야겠어요?
  4. 4 유럽인들의 인증샷 "한국의 '금지된 라면' 우리가 먹어봤다" 유럽인들의 인증샷 "한국의 '금지된 라면' 우리가 먹어봤다"
  5. 5 휴대폰 대신 유선전화 쓰는 딸, 이런 이유가 있습니다 휴대폰 대신 유선전화 쓰는 딸, 이런 이유가 있습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