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는 보복성 정책으로 읽힌다. 앞서 정부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을 진행했으나, 전공의들은 돌아오지 않았다. 결국, 응급실과 중환자실, 지역의료 체계도 붕괴될 위기에 처했다. 한 보도에 따르면, 최근 김예지 의원실에서 복지부에 요구한 자료에 따르면 응급의학과에서 301명의 전공의 모집에 2명(0.66%)만이 지원했다.
결국, 이러한 전공의들이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것은 개원이다. 의사국가시험에 합격 했으니, 개원이 가능하다. 이에 정부는 보복성 정책으로 이들의 개원을 더욱 어렵게 하기 위해 뜬금없이 개원면허제도를 신설하겠다는 의지가 아닌가 라는 의심을 받고 있는 것이다.
국민들이 원하는 것은 의료 공백 사태를 초래하지 않는 선에서 정부와 의료계가 충분히 소통하고 협의하여 도출한 숙의된 의료개혁안이다. 당장 대통령이나 관료들이 국민을 수단으로 삼아서 의료계를 압박하는 형태의 보복성 내지는 충분히 숙의되지 않은 정책은 그 누구도 이롭게 하지 못한다.
전문의, 전공의 부족사태 대응으로 의료수급자 병원 진료 최소화 방안 강구
기존 근로 능력이 없는 의료수급자들은 의웝급에서 1000원, 종합병원에선 1500원, 상급 종합병원에선 2000원을 진료비로 냈다. 그런데 당장 내년부터는 기존 진료비 대비 각각 4%, 6%, 8%를 부담해야 한다.
이렇게 될 경우 상급 종합병원에 입원해서 500만 원의 진료비가 청구되면 8%인 40만 원을 납부해야 한다. 1인 가구 생계 급여 기준은 약 71만 원으로 생계비 절반 이상을 병원비로 내야 하는 셈이다.
복지부는 2007년 정액제가 도입된 후 그간의 물가‧진료비 인상 등을 감안할 때, 의료 이용에 대한 수급자의 실질적 본인 부담 수준이 지속 하락했으며, 비용에 대한 의식이 점차 약화되어 과다 의료 이용 경향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무엇이든 국민을 납득시키기 위해서 국가는 정책 도입 시 객관적이면서 합리적 근거자료를 제시해야 한다. 하지만 이를 증명할 방법이 있을까? 앞서 필자가 관련 기사에서 언급하였듯이 의료급여 수급자 대부분이 장애인이며 노인이다. 아파서 병원에 자주 가는 것이지, 뭐 얻을 것이 있다고 병원에 가겠는가?
정작 병원비 무서워서 정기적인 검진과 진료를 받지 못해 중증 질환에 노출된다면, 과연 이것이 복지부가 해야 할 일인가? 무엇보다, 중증 질환에 걸려서 막대한 의료비가 청구될 경우, 긴급복지제도나 재난적 의료비 지원에 관한 법률을 통해 조세로 이들을 구제하게 될 것이다.
건강보험비용 아까워서 의료수급자 병원 가는 걸 제한하여, 당사자로 하여금 부담을 주고, 종국에 병을 키워서 의료기관에 가서 과다한 의료비가 지출된다면, 다시 조세로 이들을 지원해주게 되는 것이다.
정부의 이러한 의료개혁의 본질은 총선을 앞두고 급작스럽게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린다고 선포한 데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전공의, 전문의와 교수들이 줄사퇴를 했고, 다시 돌아오지 않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응급실, 중환자실, 지역의료체계는 의료공백 사태를 맞이하고 있다.
결국, 정부는 다양한 카드를 꺼내면서 국민을 위한답시고 의료개혁을 단행중인 척하지만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이 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과 조규홍 복지부 장관,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사실 의료를 잘 모른다. 의료인도 아니고, 복지제도에 박식한 것도 아니다. 그러므로 더 많이 경청하고, 소통하며, 타협해 가면서 의료제도를 개혁해야 하지만, 모두 자기들이 옳다고만 하고 있다.
먼저 정부와 의료계는 충분히 소통하기 바라고, 본인들이 옳다는 자기주장을 내려놓기 바란다.
이러다 정말 큰 일 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단순하고 소박한 삶도 얼마든지 행복한 삶이 될 수 있는 사회를 지향하는 사회복지학자입니다.
아동, 청소년, 장애인, 노숙인 등을 돕는 사회복지현장과 국회에서 근무했으며, 현재는 지방의회에서 지방자치 발전과 사회서비스 제도 개선을 설계, 보완하는 정책지원관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반갑습니다.
공유하기
정부의 막무가내 의료 3종 개혁, 이러다 큰 일 난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