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우리는 기후위기 대응에 돈을 얼마나 어떻게 쓰고 있나’를 주제로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참석자들이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박정 의원실, Youtube 캡처
"한국 기후재정, 얼마나 쓰는지 집계 안 돼"
이날 발제를 맡은 이상민 나라살림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안타깝게도 지금 우리나라는 기후재정에 얼마나 쓰는지 자체가 집계되고 있지 않다"고 꼬집었습니다.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예산이 각 부처에 흩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환경부뿐만이 아니라, 중소벤처기업부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각 부처에서 기후예산을 배정받아 집행 중입니다. 각 부처의 하위 공공기관 역시 기후예산으로 세부사업을 추진합니다. 물론 이는 국가의 예산 공식분류체계에 따라서 분류가 가능합니다.
문제는 공식 분류체계에 포함할 수 없는 예산에서 발생합니다.
이 수석연구원은 군대 막사를 예시로 소개했습니다. 군대 막사를 짓기 위한 예산은 국방으로 분류됩니다. 막사 건설 시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건설 방법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예산은 결과적으로 국방으로 분류됩니다.
현 공식 분류체계만으로는 기후대응에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전체 예산 규모를 알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는 것이 그의 말입니다.
물론 한국은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제도'를 시행 중입니다. 국가 예산과 기금을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방향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했는지 평가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그러나 이 제도 역시 한계가 있습니다. 전체 국가 사업 중 1.8%만이 평가되고 있을뿐더러, 배출사업이 빠진 채 분석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국회예산정책처도 이 부분을 지적했습니다.
"탄소중립기본계획 내 투자? 기존 예산과 최소 연계돼야"
이 수석연구원은 2023년 한국 기후예산을 크게 3가지로 분류했습니다.
①기존 예산 분류에 따른 금액 39조 5000억 원 ②제1차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계획(탄소중립기본계획) 내 재정투자 계획액 13조 3000억 원 ③온실가스감축 인지예산 내 6조 3000억 원 순입니다.
그는 "(분류체계별로) 각각 다 한계가 있다"며 "결과적으로 탄소중립을 위해 돈을 얼마나 쓰고 있느냐란 궁극적인 질문에 대한 답은 '잘 모른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그는 정확한 예산 산출을 위한 대안을 제시했습니다.
이 수석연구원은 "최소한 탄소중립기본계획 재정투자 계획과 기존 예산체계 간의 연계성이 확보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탄소중립기본계획 상 재정투자 계획액이 기존 예산체계의 어떤 세부사업을 통해 구현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이 없다는 말입니다. 그는 "탄소중립기본계획 상의 재정 투자 계획이 실제 국가의 어떤 세부·내역사업을 통해 구현되는지 봐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나아가 온실가스감축 인지예산을 모든 사업으로 넓혀가야 한다고 그는 주장했습니다.
그는 "기존 예산 시스템과 탄소중립기본계획, 온실가스감축 인지예산 등 3가지 시스템이 모두 연계돼야 한다"고 피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