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화조 청소차량
이혁진
단독주택인 우리 집에는 정화조 2개가 있다. 총 다섯 가정이 함께 쓰는 것이다. 생색을 내는 것 같지만, 정화조 청소비만큼은 얼마이든 주인인 내가 전액 부담하는 걸 원칙으로 삼고 있다. 1년에 한 번 내는 이 청소비(팁 포함 7만 원 정도)마저 N분의 1로 부담시키고 싶지는 않아서다.
'똥 바가지' 시절은 이제 정말 옛 일인가 봅니다
정화조 청소를 새삼 자세히 살펴보니, 과거 '똥 바가지'로 분뇨를 푸던 시절과는 확연히 다르다. 곁에서 지켜봐도 분뇨 냄새도 거의 나지 않는다. 이 정도에 코를 막는다면 사람코가 아니라 후각이 예민한 개코에 가깝다고 할 것이다.
어릴 적 동네에는 뒷간 똥 치우는 동네 어르신이 있었다. 거름용으로 쓸 똥을 푸는 직업이다. 집안 어른들은 똥 푸는 어르신을 찾아가 이른바 길일(?)을 받아오곤 했다.
똥 푸는 작업을 보면서 당시 철없는 어린이였던 우리는 코를 막았고, 그러고 있다보면 꼭 어르신들에게 한 소리를 듣곤 했다. 어르신들은 그런 식으로 똥 치우는 사람들을 배려하고, 이들의 자존심을 세워주셨던 기억이다.
이날 보니 정화조 청소기사들은 내가 예상한 것 이상으로 자신의 직업에 보람을 느끼고 있었다. 나 또한 '아무나 할 수 없는' 작업, 이들의 직업에 따뜻한 시선을 보내고 싶다. 이들은 우리 집 청소를 마친 후 다음 장소로 급히 이동하려고 했다. 나는 떠나려는 이들에게 고마움을 표했다.
"내년에 또 봅시다. 고생했습니다."
그들도 나에게 웃으면서 말했다.
"친절한 사장님이십니다. 오늘 수거량이 생각보다 많더군요. 복 많이 받으실 겁니다."
그런데 희한하다. 오래 별렀던 정화조 청소를 마치니, 밀린 숙제를 마쳤다고 해야 할까, 그렇게 기분이 시원하고 좋을 수가 없다. 마치 쾌변을 보고 물을 시원하게 내린 기분이다. 한동안 정화조 청소 걱정 없이 우리 집에 사는 사람들이 마음 놓고 일(?)을 볼 수 있다는 생각에 뿌듯함이 생겼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
일상을 메모와 기록으로 남기고 있습니다. 기존 언론과 다른 오마이뉴스를 통해 새로운 시각과 영감을 얻고 있습니다. 주요 관심사는 남북한 이산가족과 탈북민 등 사회적 약자입니다.
공유하기
1년 만에 본 사람들, 덕분에 쾌변한 기분입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