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9월 13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안동대학교를 방문해 학생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안동대학교방송국AUBS 제공
'통합형 수능'으로 문과 몰락 가속화
물론, 한국의 인문학 몰락의 위기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고, 윤석열 대통령에게만 책임이 있는 것은 더욱 아니다. 그 이전 정부도 말로는 인문학의 가치를 강조하면서도 국가 경쟁력은 과학기술에 있다는 인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문재인 정부는 "문·이과 통합형 수능으로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겠다"고 선언했지만, 본래 취지는 사라지고 문과의 몰락만 초래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2021년에 처음 도입된 통합형 수능(2022학년도 수능)은 '수학' 점수에 따라 진로가 결정되는 의도치 않은 폐해를 가져왔다. 이과의 '문과 침공'은 날이 갈수록 거세졌고, "문송합니다(문과라서 죄송합니다)"라는 신조어가 생겨날 정도로 부작용은 심각했다. 공식적으로는 고교에 문·이과 구분이 없지만, 수능 선택과목에 따라 사실상 문과와 이과가 나뉜다. 수학을 예로 들면, 문과 학생들은 <확률과통계>를 선택하고, 이과 학생들은 <미적분>이나 <기하>에 응시한다.
2022년 12월 서울중등진학지도연구회가 서울 시내 고등학교 87곳의 수험생 2만 6천여 명의 수능 실채점 결과를 분석해 발표한 바에 따르면, 2023학년도 수능에서 수학 영역과 국어 영역 최상위권의 '이과 쏠림' 현상은 극심했다. 수학 1등급의 93%가 이과 학생이었고, 국어 1등급을 받은 학생 가운데 선택과목으로 <언어와매체>를 본 학생이 85%를 넘었다. 서울 강남구에 있는 한 자율형사립고 3학년 12학급 중 '문과 수학'으로 여겨지는 <확률과통계>를 가르치는 학급은 딱 하나라는 사실은 이제 놀라운 일도 아니다.
돈 안 되는 학문은 쓸모가 없다는 잘못된 인식과 그에 따른 국가 교육정책은 전국의 고등학교에서 문과의 대몰락을 가져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전의 한 일반고 고3 담임교사는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날이 갈수록 문·이과 학력 격차가 커지고 있다. 수학뿐만 아니라 국어와 영어 교과도 문과반과 이과반의 학급 평균이 20점 이상 난다"고 말했다. "문과 최상위 학생 중 일부가 입시에 유리한 미적분을 선택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인문학 되살릴 대안 고민해야
인문학은 말 그대로 '몰락 위기'에 내몰렸다. 깊어지는 '인문학 위기'에,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마냥 기뻐할 수만은 없는 이유다. 대통령과 교육부 장관부터 인문학에 대한 그릇된 인식을 바꿔야 한다. 인간의 언어, 문학, 예술, 철학, 역사 등을 연구하는 인문학(人文學)을 홀대하면 모든 학문의 토대가 흔들릴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필요하다. 노벨문학상 수상을 계기로, 죽어가는 인문학을 되살릴 대안 모색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14
저는 대전에 있는 한 고등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이 맘껏 놀고, 즐겁게 공부하며, 대학에 안 가도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상식적인 사회를 꿈꾸고 있습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