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생산량 중 플라스틱 제품 수요가 44%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20년 플라스틱 생산량에서 포장재 비율이 44%였다.
그리니엄
"플라스틱 75% 감축이 오히려 탄소감축에 역행할 수 있다"
김 본부장은 인터뷰 전반에서 플라스틱 전체를 문제시하면 안 된다는 말을 여러 차례 역설했습니다.
"플라스틱이 사회경제적으로 유용성을 갖는 것도 사실이다. 플라스틱을 75% 감축하게 되면 자동차 경량소재, 건물 단열재 등 탄소 감축을 돕는 소재 모두 다 줄이자는 얘기다."
그는 플라스틱 자체가 상아 등 천연소재를 대체하기 위해 탄생했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오늘날 플라스틱 수요를 금속·유리·목재·면화로 대체하면 전 세계 산림자원과 식량자원이 모두 고갈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그의 주장입니다.
탄소감축을 위해서도 플라스틱의 역할이 크다고 김 본부장은 역설했습니다.
그는 대표적인 사례로 자동차를 들었습니다.
지난해 미국화학협회(ACC)에 따르면, 지난 10년간(2012~2021년) 차량 내 플라스틱 부품 사용량은 16% 증가했습니다. 덕분에 차체 중량이 줄어들면서 연료효율성이 개선되고 배출량이 줄었다는 것이 협회의 분석입니다.
김 본부장은 "자동차를 이전처럼 모두 금속으로 만들면 오히려 탄소배출에는 역행하는 일"이라고 피력했습니다. 따라서 "(플라스틱을) 써야 한다면 현명하게 써야 한다"는 것이 그의 말입니다.
다만, 잉거 안데르센 유엔환경계획(UNEP) 사무총장은 자동차나 비행기 날개 등에 들어가는 플라스틱을 규제하려는 것이 아니란 점을 분명히 밝힌 바 있습니다.
자동차 부품에 들어가는 일부 플라스틱 소재는 플라스틱 해양오염의 주요 원인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30% 감축 의무화, 한국은 감내할 수 있어... 문제는 중국·인도"
김 본부장은 플라스틱 생산감축 논쟁이 산업계에 오히려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기대도 내비쳤습니다.
강력한 생산감축 의무화를 통해 플라스틱 공급과잉 해소 시점을 앞당길 수도 있다는 것이 그의 전망입니다. 현재 세계 플라스틱 시장은 중국 내 생산시설 급증으로 2030년까지 공급과잉이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는 "한국은 (공급과잉으로) 공장을 못 돌리는 상황"이라며 "30% 감축을 의무화해도 사실 감내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동시에 그는 이같은 구상의 한계도 지적했습니다. 중국·인도를 비롯한 개도국 다수가 플라스틱 규제에서 '공통의 그러나 차별화된 책임(CBDR)' 원칙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CBDR 원칙은 역사적으로 책임이 큰 선진국이 더 큰 책임을 져야 한다는 원리를 담고 있습니다.
개도국이 플라스틱 국제협약 협상에서도 CBDR 원칙을 요구하고 있다고 김 본부장은 상황을 전했습니다. "한국이 30% 감축을 감내해도 개도국이 CBDR을 근거로 계속 생산을 늘릴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입니다.
이 때문에 개도국도 함께 이행한다는 전제가 중요하다고 김 본부장은 강조했습니다. 특정 시점부터 신규 생산시설을 금지한다면 환경에도 도움이 되면서 한국 석유화학 업계로서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는 것이 그의 말입니다.
"재생·바이오플라스틱? 문제는 국내 시장이 없다"
한편, 국내 플라스틱 대응 정책에 대해 김 본부장은 그간 정부의 재생·바이오플라스틱의 시장 창출 노력이 부족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정부는 2022년 '한국형(K)-순환경제 이행계획'을 통해 지난해부터 플라스틱 제조업체의 재생원료 사용을 의무화했습니다. 예를 들어 페트(PET) 기준 연 1만 톤 이상 생산업체는 재생원료를 3% 이상 생산해야 합니다.
여기서 김 본부장은 원료 생산자에게만 재생원료 사용 의무가 부과됐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그로 인해 소비처인 식음료 기업에서 굳이 고가의 재생원료를 구입하지 않는 상황이라고 그는 토로했습니다.
김 본부장은 환경부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논의 역시 이어나가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구체적으로 재생원료 초기 시장 창출을 지원하기 위해 ▲재생원료 의무사용 제도 ▲재활용 지원금 등이 거론됐습니다. 그는 환경부 등 정부부처와의 협의는 거의 끝난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그리니엄은 기후테크, 녹색금융, 탄소시장, 순환경제, 스타트업, 정책 및 규제 등 최신 뉴스와 심층 분석을 제공합니다.
공유하기
"플라스틱 30% 감축 의무화? 한국 감내할 수 있어" 석유화학 전문가의 주장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