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5일 오전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리튬전지 공장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관계자들이 현장수색을 하고 있다.
▲ 화성 리튬전지 공장 화재 합동 감식 25일 오전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리튬전지 공장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관계자들이 현장수색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경기도 화성시 리튬전지(일차전지) 공장에서 벌어진 화재 참사로 23명이 숨진 가운데, 부랴부랴 긴급 안전점검 등 후속 조처가 이어지고 있다. 이른바 안전불감증이 낳은 '인재'라는 비판이 거세기 때문이다.

이번 사고와 관련해 소방청은 25일부터 다음 달 9일까지 2주간 전국 전지 관련 213곳에 대한 화재안전조사에 들어간다. 소방청은 사전에 위험 요인을 제거해 유사한 사고를 차단하겠단 계획이다. ▲ 전지제품 다량적재 작업장의 안전관리 실태 ▲ 비상탈출로 확보 ▲ 위험물 관리 규정 준수 ▲ 외국인 노동자 안전교육 등을 확인한다.

전날 화성 아리셀 일차전지 공장에서 불이 나면서 한국인 5명, 중국인 17명, 라오스인 1명 등 23명이 사망했다. 합동감식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정확한 화재 원인이 나오지 않았다. 공개된 CCTV 영상을 보면 배터리 검수 포장 작업 중 1차 폭발이 일어났고, 이후 42초 만에 내부 전체가 짙은 연기에 휩싸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강경성 1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배터리 산업현장 안전점검 태스크포스(TF)를 꾸려 대응 중이다. '사후약방문'이란 지적 속에 강 차관은 이날 충남의 한 공장을 찾아 점검을 진행했다. 그는 진화가 쉽지 않은 리튬전지 화재의 특성을 언급하며 "사전 안전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다른 광역단체도 선제적으로 움직이는 모습이다. 부산시는 이날 오전 이준승 행정부시장 주재로 화재·폭발 대비 긴급회의를 개최했다. 공단이 많은 지역인 만큼 화재·폭발 가능성이 있는 물질의 취급 사업장 현황을 파악하고, 미리 대비하겠단 차원이다.

회의 결과 ▲ 일차·이차전지, 축전지 제조업체 37곳 ▲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설 58곳 ▲ 유해화학물질 관련 업체 15곳 모두 110곳이 우선적인 점검 대상에 올랐다. 시는 관계 부서 공무원은 물론 민간 전문가까지 투입해 이달 말까지 조사와 개선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이러한 조처는 정부와 사업주에게 책임을 묻고 나선 노동계의 목소리와 무관치 않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등 참사 이후 양대 노총은 각각 성명을 내어 이번 사태의 문제를 짚었다.

민주노총은 "최악의 화학 폭발 사고"라며 "정부가 예견된 위험과 여러 차례 대책 요구에도 꿈쩍 않고 규제 완화에만 골몰했다"라고 비판했다. 한국노총 역시 "노동자 죽어야 안전대책이 마련되는 현실에 통탄을 금할 수 없다"라고 쓴소리를 냈다.

일각에선 이번 사태를 '화성 배터리공장 참사'가 아닌 '에스코넥 자회사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로 불러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진상규명과 사태의 반복을 막으려면 철저하게 책임을 묻는 게 먼저란 얘기다.  

태그:#에스코넥, #아리셀, #리튬전지, #참사, #산업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보성 기자입니다. kimbsv1@gmail.com/ kimbsv1@ohmynews.com 제보 환영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