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송용억家로 드러가는 일각문
송용억家로 드러가는 일각문 ⓒ 안병기
지난 금요일이었다.봄비가 내리는 가운데 대전 광역시 송촌동에 있는 송용억 가옥을 다시 찾았다. 뜨락을 가득메운 영산홍이며 자산홍, 자목련 등의 자태는 여전히 아름다웠고 빗방울들은 그 아름다움의 중심에 깃든 적막을 깨우고 있었다. 난 내심 이 비가 그친 후 꽃의 낙화가 저으기 걱정스러웠다. 우리네 생도 그러하듯이 비는 종종 자신이 키운 존재인 저 식물을 자신이 망가뜨리고마는 모순을 저지르곤 한다.

한참 꽃 구경을 하다가 이 집의 안채인 호연재로 들어가 안주인이 윤자덕 여사를 찾았다. 그랬더니 며칠 전과 달리 이번엔 윤 여사의 부깥주인이신 송봉기씨가 계시는 안방으로 안내되었다.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오늘이 마침 송용억(90)옹의 부인인 시어머니의 제삿날이란다. 눈코 뜰 새 없이 분주한 윤 여사는 쪄서 껍질을 벗긴 밤 한 접시와 오미자 화채 두 그릇를 내오시고 물러가셨다.

소대헌이 사용했다는 의자.조형미가 뛰어나다.
소대헌이 사용했다는 의자.조형미가 뛰어나다. ⓒ 안병기
한마디로 말해서 송봉기(67)씨는 은진 송씨 가문에 대한 자부심으로 똘똘 뭉친 분이었다. 그는 이 집에 대대로 내려온 유물들이 굉장히 많다고 했다. 그래서 대전시 둔산동에 선비 박물관을 만들어 유물 보관 겸 전시를 하고 있다고 했다.

"유물이란 제 자리에 있을 때 가장 좋은 법이 아니냐?"라고 넌지시 물었더니 그 분도 맞장구를 치면서도 "그렇지만 보관과 체계적인 정리의 어려움도 있지 않겠느냐?"라고 반문한다.

내가 10년 전 대전으로 이사와서 맨 처음 이 집을 찾아왔을 때는 집 앞으로 개천이 흐르고 논들이 누런 벼를 제 품안에 가득 품고 있어 거의 옛 모습을 잃지않고 있었다.

그러나 유적 정비라는 명목으로 행해진 원형 훼손과 난개발의 여파로 하여 지금은 아파트 숲 한 가운데 둘러싸인 '섬'이 되어버렸다. 그 섬의 이름은 동춘당 공원이다.

이 집안의 여인들은 언문소설을 필사해서 대물림하는 관행이 있었다.
이 집안의 여인들은 언문소설을 필사해서 대물림하는 관행이 있었다. ⓒ 안병기
송봉기 관장에게 예전의 모습을 찍어둔 사진이 있느냐고 물었더니 자신이 다 찍어 보관하고 있다고 한다.

내친 김에 송 관장님께 이 집의 내력에 대해서 물었다.

법천에 살던 소대헌 송요화가 김씨라는 사람이 살던 집을 매입했다. 그 때는 작은 사랑채인 寤宿齋(오숙재)와 안채인 浩然堂(호연당) 밖에 없었다고 한다. 그러던 것을 소대헌이 정면 다섯 칸 측면 두 칸에 사랑채를 짓고 小大軒(소대헌)이라 한 게 오늘에 이르렀다고 한다.

큰 사랑채인 소대헌(왼쪽)작은 사랑채인 오숙재(오른쪽)
큰 사랑채인 소대헌(왼쪽)작은 사랑채인 오숙재(오른쪽) ⓒ 안병기
소대헌이란 '큰 테두리만 보고 작은 마디에 매달리지 않는다.(見大體不拘小節)'라는 뜻이며 오숙재란 깨고자면서 공부하는 집이란 뜻이리라. 그리고 호연재란 浩然, 즉 마음이 넓고 깨끗하다는 뜻으로 <맹자>에 나오는 군자란 모름지기 호연지기를 길러야 한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그런데 왜 안채 이름에 바깥 사랑채에나 붙였어야 마땅할 호연재라는 이름을 붙였단 말인가?

나는 송 관장에게 보물 제 209호인 동춘당과 이 송용억 가옥 중간에 있는 <夜吟(야음)>이라는 詩碑(시비)에 대해 물었다. "삶이란 석 자의 시린 칼인데/마음은 한 점 등불이어라"라는 이숙희 역의 시의 한 구절이 마음에 닿았었기 때문이었다.

송봉기 관장은 그 분이 바로 이 안채의 주인이셨던 호연재 김씨라고 했다. 호연재 김씨야말로 시인이기 전에 여장부였다.

醉後乾坤闊(취후건곤활) 취하고나니 천지가 트이고
開心萬事平(개심만사평) 마음을 여니 만사가 태평일세
초然臥席上(초연와석상) 고요히 자리에 누웠노라니
唯樂暫忘情(유락잠망정) 즐겁기만 해 잠시 정을 잊었네
<醉作(취작)>


소대헌 편액
소대헌 편액 ⓒ 안병기
오숙재 편액
오숙재 편액 ⓒ 안병기
호연재 김씨의  시비.<夜吟>이란 제목의 한시가 새겨져 있다.
호연재 김씨의 시비.<夜吟>이란 제목의 한시가 새겨져 있다. ⓒ 안병기
이렇듯 술 마시고 나서 지은 詩를 보면 그가 얼마나 호연한 사람인기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호연재는 소대헌이 첩을 얻은 일을 두고도 "부부의 은혜가 비록 중하지만 제가 이미 나를 깊이 저버렸으니 나 또한 어찌 홀로 구구한 私情을 보전하여 옆 사람들의 비웃음과 남편의 경멸을 스스로 취하겠는가"라고 했다.

요새 말로 치자면 호연재 김씨야말로 선구자적인 페미니스트였던 셈이다.

호연재 뒤안의  풍경.윤자덕 여사가 심은 영산홍과 자신홍이 피어있다.
호연재 뒤안의 풍경.윤자덕 여사가 심은 영산홍과 자신홍이 피어있다. ⓒ 안병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관련 기사]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