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NYT
한국에서 한때 정언유착의 상징이던 기자실이 폐지되고 대신 개방형 브리핑룸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13일 서울발 기사에서 한국에 토론과 민주주의가 정착되면서 그간 거대 매체의 기자들이 정부 관료와 유착해 보도내용을 통제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기자실이 하나 둘 폐지되고 있다고 전하고 이로 인해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드물게 독립적인 언론이 자생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신문은 정순균 국정홍보처장의 말을 인용, 기자실 제도가 거대언론으로 하여금 정보를 독점하고 때로는 사적인 거래를 매개하는 기능을 수행해 왔다고 지적하고, 기존 거대보수매체의 지지를 받지 못한 노 대통령이 기자실 철폐를 통해 정치적 이득을 얻은 측면도 있다고 보도했다.

한국의 기자실 제도가 일제 식민통치의 잔재임을 지적한 신문은 세종연구소 윤정석 교수의 말을 인용, 2차 대전 이후 한반도에 진주한 미군정 역시 기자실 제도가 한국을 통치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해 온존시켰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이화여대 이재경 교수의 말을 인용 기자실 제도로 피해를 입는 것은 결국 독자들의 알 권리라고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기자실 폐지에는 오마이뉴스 같은 신생 인터넷 언론의 역할이 컸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2001년 인천공항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오마이뉴스 기자가 기자실 회원이 아니라는 이유로 출입을 금지 당한 뒤 오연호 대표가 소송을 제기해 승소했고, 이후 노무현 대통령이 당선 이후 최초로 오마이뉴스와 단독 인터뷰를 가짐으로써 새로운 시대가 열렸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고 지적했다.

한편 신문은 정작 한국에서는 이미 사라지고 없는 기자실이 일본에서는 아직도 온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실상 일당 지배하에 있는 일본에서 카마쿠라나 나가노현의 일부 튀는 정치인들이 기자실을 폐지한 사례가 있으나 아직도 정부기관과 대기업 등에 기자실이 남아있어 정보흐름을 통제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뉴욕타임스는 일본 언론 대다수가 한국에 특파원을 두고 있지만 한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기자실 폐지 움직임에 무관심으로 일관해 왔다고 비판하고 심지어 일본신문협회의 한 간부는 "한국의 기자실 제도는 아직도 온존하고 있으며 오히려 한국이 일본의 기자실 시스템을 추종하고 있다"고 강변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래는 뉴욕타임스 기사 원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