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통일부 제공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사진)이 지난 2002년 11월 조지 부시 미 대통령에게 "미국이 대담한 조치를 취하면 우리도 이에 상응하는 행동을 하겠다"는 내용의 친서를 보냈던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라크 전쟁 준비에 바빴던 부시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친서를 무시했고 결국 북핵 위기가 고조됐다.

이는 김 위원장의 친서를 부시 대통령에게 전달했던 도널드 그레그 전 주한 미 대사와 미국의 유명한 한반도 전문가인 존 오버도퍼 교수(존스 홉킨스대)가 22일 미 <워싱턴포스트>에 공동 기고한 글에서 밝힘으로써 알려지게됐다.

두 사람은 지난 2002년 11월 평양을 방문했다. 불과 한달 전인 그 해 10월 당시 제임스 켈리 미 특사가 북한을 방문해 농축우라늄 프로그램을 시인하라고 추궁했었다. 켈리는 평양에서 돌아온 뒤 "북한이 농축우라늄 프로그램을 인정했다"고 발표했으나 그의 말이 사실인지 여부는 지금까지 논란이 되고있다.

김 위원장의 제안은 미국이 북한을 주권국가로 인정하고 침략하지 않겠다는 것을 조건으로 했다. 김 위원장은 친서에서 "미국이 우리의 주권을 인정하고 침략하지 않겠다고 보장해준다면, 우리도 새로운 세기의 요구에 맞춰 핵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견해"라고 말하고 "만일 미국이 대담한 결정을 한다면, 우리도 이에 상응하는 행동을 하겠다"고 말했다.

그레그와 오버도퍼는 김 위원장의 친서를 받아 백악관과 미 국무부에 전달하고 그의 제안을 따르도록 촉구했다.

그러나 미국은 이 친서를 무시했다. 결국 북한은 몇주 뒤 국제원자력기구(IAEA) 요원들을 북한에서 추방하고 핵확산방지조약(NPT)에서 탈퇴했다. 미국도 2002년 12월부터 지난 1994년 북미 제네바 합의에 따라 해마다 50만톤씩 북한에 제공하던 중유 공급을 중단했다.

그레그와 오버도퍼는 "지난 주 김 위원장이 유화적인 태도를 보인 것은 북핵 문제에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라며 "부시 정부는 이 기회를 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부시 대통령이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와 조셉 디트러니 대북협상 대사를 평양으로 보내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의 김 위원장 방문을 준비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이 세상에서 제일 중요한 게 숨쉬기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