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청래(왼쪽), 이경숙 의원.
정청래(왼쪽), 이경숙 의원. ⓒ 오마이뉴스
조·중·동 등 특정 언론사에 대한 정부의 광고 수주율 편중현상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반해 정부가 언론중재위에 정정보도를 신청했던 건수 또한 이들 언론(중아일보 제외)에 가장 많았다는 결과가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29일 국회 문광위의 언론재단, 언론중재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경숙 열린우리당 의원에 의해 밝혀졌다.

이 의원은 "결국 정부는 잘못된 왜곡-오보에 대해 중재신청을 하면서도 광고를 대행하는 언론재단은 그 신문사들을 물적으로 도와주고 있다"며 "광고비 받고 힘내서 오보와 왜곡을 하라는 것인지, 아니면 자선사업을 하는 것인지 알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정부광고 수주율 1·2·3위, 중앙·조선·동아

그동안 정부 광고의 편중현상은 언론계 안팎에서 지적돼 왔던 것이 사실. 이는 이번 국정감사기간을 통해 다시한번 확인 됐다.

언론재단이 지난 20일 정청래 의원에게 제출한 국감용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정부의 광고 수주는 <중앙일보>가 가장 많았다. 중앙일보는 올해 6월 현재 광고료 총액이 8억4921만원이다. 이어 조선일보(8억2603만원), 동아일보(7억7393만원)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 세 매체에 나간 광고료는 정부에서 전국단위 일간지에 수주한 광고료 총액인 161억4천여만원의 약 15%에 해당한다.

광고액 규모는 지난 2003년과 지난해에도 중앙일보가 부동의 1위를 차지했다. 2003년에는 동아일보가, 지난해에는 조선일보가 각각 2위였다. 이처럼 조·중·동에 대한 광고 편중현상은 해마다 계속돼 왔다.

세 매체에 정부기관 광고수주액이 몰리는 이유는 정부광고 집행이 매체의 발행부수 등 기존의 기준과 관행대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 이에 대해 급변하는 언론환경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경숙 의원은 정부 광고를 가장 많이 싣는 이 신문들이 참여정부 출범 뒤 언론중재위 제소를 가장 많이 당했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올 상반기 정부광고 수주는 중앙-조선-동아일보 순이었다"며 "참여정부 출범 뒤 중재위 제소 순위는 조선-동아-문화일보 순이었다, 결국 오보 많은 신문에 공고를 많이 준 꼴"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2003년부터 정부부처가 서울소재 신문사를 상대로 중재위에 제소한 내역과 처리결과, 조선일보가 총 44건 제소를 당했고 16건이 제소자가 정정, 반론보도 등 피해구제를 받았다. 동아일보는 41건 제소에 26건, 문화일보는 제소 31건에 22건이 정정, 반론보도 됐다. 중앙일보는 16건 제소에 10건 피해구제를 받았다.

이 의원은 "이미 몸집이 크고 자본력이 강한 신문사에 집중하기보다는 매체 균형발전의 차원에서 중소규모 신문과 인터넷언론에 대한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03년 이후 정부부처의 중재신청 내역

 

처리결과/

신문사

조선

동아

문화

한국

세계

경향

중앙

국민

한겨레

서울

신청

44

41

31

28

26

18

16

15

14

12

피해구제

전체횟수

25

26

22

17

24

13

10

12

12

9

합의

16

9

17

12

16

11

10

9

6

7

 

(중재위가 해당 연도별로만 집계한 것을 합산)

 

 

ⓒ 이경숙 의원실
언론중재위 제소 1·2·3위, 조선·동아·문화

한편 정부 광고 수주율이 이러한데, 심재철 한나라당 의원이 "오마이뉴스, 프레시안 등 정부에 우호적인 특정 매체에 정부광고가 편중됐다"는 주장을 펼쳐 논란이 일기도 했다.

심 의원은 지난 16일 국정홍보처에 대한 국감자료를 통해 최근 3년간 국정홍보처가 내보낸 광고는 총 13회. 이중 오마이뉴스에 7회, 프레시안에 6회 등 인터넷 매체에 몰린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가 비판적 언론매체는 광고를 철저히 배제하고 정부에 우호적인 일부 특정 언론사와 특정 인터넷 언론매체 등에게 객관적 기준 없이 '몰아주기' 식으로 지원해 왔음이 명백히 드러난 셈"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인터넷기자협회 등 언론계에서는 "심 의원의 분석은 객관적인 사실에서 한참 벗어난 사실오인"이라고 반박했다. 이는 횟수와 상관없이 광고액 규모로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언론인금고 대출, 부익부 빈익빈
[문광위-언론재단]안민석 의원, 분석 결과 발표

"2004년에만 중앙일간지 10개사와 지상파 방송 3사의 종사자들이 언론재단의 전체 주택자금 대출금의 절반이상(55%가량)을 이용했다. 전체주택대출금 중 10%만이 영세한 지방지 종사자에게 대출됐다."

29일 국회 문광위 한국언론재단 국정감사에서 안민석 열린우리당 의원이 위와 같이 밝혔다. 그는 이어 "구시대적인 언론인 특혜금융지원이 유력언론사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공익적으로 환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언론인금고가 지난 1970년대 정부출연금 9억원(현재 가치로 약 270억원)과 공익자금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만큼, 공공자금미디어교육과 전문언론인교육 사업 같은 공익사업으로 환수되어야 한다는 것.

안 의원에 따르면 특히 10년 근속자의 경우 평균임금이 6천만원에 이르는 KBS와 MBC 종사자들이 전체 '주택자금대출'의 25.2%인 13억 4천만원, 생활자금대출의 16.3%인 18억8천3백만원을 대출 받았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11년 동안 한국과 미국서 기자생활을 한 뒤 지금은 제주에서 새 삶을 펼치고 있습니다. 어두움이 아닌 밝음이 세상을 살리는 유일한 길임을 실천하고 나누기 위해 하루 하루를 지내고 있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