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주제발표에 앞서 이종민 전북대 교수(왼쪽에서 두번째)가 토론회의 취지를 설명하고 있다.
주제발표에 앞서 이종민 전북대 교수(왼쪽에서 두번째)가 토론회의 취지를 설명하고 있다. ⓒ 권오성
전북지역 문화예술단체들이 전북 문화예술정책 토론회를 마련했다. 5·31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도지사 후보들에게 책임 있는 문화예술 정책과 공약 개발을 촉구하기 위해서다.

지난 19일 전주 전주역사박물관 녹두관에서 열린 이날 토론회는 전북지역 36개 문화예술단체가 주최했다.

주제 발표에서는 세 부문(조직 및 인력, 예산, 특성화 사업)으로 나눠 논의를 진행했다. '조직 및 인력 부문'에서는 유대수 마당수요포럼 운영위원이 ▲지역문화예술위원회 설립 ▲문화 관련 전문직 공무원의 임용 ▲문화기반시설 운영 활성화와 문화예술 인력 양성 및 효율적 배치 등을 주장했다.

'예산 부문'의 김선태 전북민예총 사무처장은 ▲문화예술 예산의 획기적·실질적 증액 ▲별도의 지역문화예술지원 예산 편성을, '특성화사업 부문'에서는 이종진 전북대 강사가 ▲군 단위 문화낙후지역에 대한 정책적 배려 ▲전통문화정책의 전라북도 차원 광역화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의 전북도 차원 추진 ▲시·군 문화예술지원 위한 거점 마련 ▲호남학(전북학) 활성화 대책 마련 등을 제안했다.

곧 이어진 자유 토론에서도 ▲행정조직 내 문화직렬제 도입 ▲시·군별 예술인창작마을 조성 ▲전북문화재단 설립 검토 등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하지만 상당수의 제안들이 주제 발표에서 나온 개발 공약 사항과 연관되는 내용이어서, 앞서 개발한 공약의 내용을 보충하는 것으로 논의가 마무리됐다.

토론회를 주최한 문화예술단체들은 "토론회에서 제안하고 수렴한 공약개발 사항을 좀더 보완하고 수정한 다음 도지사 후보들에게 공약으로 채택하도록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토론회의 의미는 무엇보다 전북의 주요 문화예술단체가 한자리에 모였다는 데 있다. 그동안 정책과 현안에 따라 다소 상이한 시각을 가진 단체들이 모처럼 뜻을 모으기 위해 함께 한 것이다.

그럼에도 이 토론회는 전북의 문화예술계가 한 목소리로 통일된 사업을 도모하기 위한 시작일 뿐이다. 우선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정교하고 현실적인 공약 개발 못지 않게, 이 공약을 어떻게 현실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문화예술계의 체계적인 공동 대응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정 도지사 후보가 공약 채택을 거부할 경우 공개적인 압력을 행사하거나, 공약을 받아들였더라도 향후 실제 정책과 행정에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 감시할 수 있는 장치 마련도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지방 정부의 '시혜'만 바랄 게 아니라, 문화예술계 차원에서 모두가 수긍하는 '문화 전북'의 청사진을 그려낼 수 있는 독자적인 역량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전북의 문화 현안을 특정 지역이나 단체가 독점하지 않고 14개 시·군이 서로 연대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내는 데도 뜻을 모아야 할 때다.

덧붙이는 글 | 토론회 준비위원회에 참여한 단체는 다음과 같다. 
전북예총, 전북민예총, 전국문화원연합회 전라북도지회, 강령탈춤전승회, 고창농악보존회, 고창문화원, 남원문화원,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민족작가회의 전북지회, 사)마당, 서신갤러리, 문화영토 판, 시민행동21, 열린전북, 임실필봉농악전수관, 전북도립국악원 노동조합, 전북문화컨텐츠연구소, 전주국제영화제, 전주공예품전시관, 전주한지문화축제, 전북독립영화협회, 전주문화원, 전주문화재단, 전주시립예술단 노동조합, 전주역사박물관, 전통문화연구소, 전통문화중심도시추진단, 전통생활예절보존회, 차문화협회 전북지부, 창작극회, 천년전주사랑모임, 한옥생활체험관, 혁신연구회, 호남사회연구회, 황토현문화연구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