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여행하다 보면, 제일 중요하고 힘든 건 바로 '음식 시키기'입니다. 중국여행 경험이 적은 분들은 곤혹스럽기까지 하지요. 오늘은 한국분들도 많이 오시는 양삭(陽朔, 阳朔, Yángshuò, Yang2shuo4)의 대나무반점 영어메뉴판으로 중국 메뉴판 읽기에 도전해보시죠.

참! 중국어로 메뉴는 '채단(菜單, 菜单, càidān, caie4dan1)'이라고 합니다.

식당에 가면, 보통 차(茶, chá, cha2)부터 내놓습니다만, 관광지의 경우는 파는 경우도 많이 있지요. 더운 물만 내오는 경우도 있고요. 기본적인 것만 살짝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너무 깊이 들어가면 제 얕은 밑천이 탄로나기 때문에 살짝만.

▲ 양삭 대나무집 메뉴
ⓒ 최광식

ㅇ 화차(花茶, huāchá, hua1cha2)는 꽃잎으로 만든 차를 말합니다. 이 경우는 정확하게 '쟈스민차(\茉莉花茶, mò‧lìhuāchá, mo4li4hua1cha2)' 입니다.
ㅇ 홍차(紅茶, 红茶, hóngchá, hong2cha2)
ㅇ 녹차(綠茶, 绿茶, lǜchá, lv4cha2)
ㅇ 국화차(菊花茶, júhuāchá, ju2hua1cha2)
ㅇ 박하차(薄荷茶, bò‧hechá, bo4hecha2)
ㅇ 레몬차(柠檬茶, níngméngchá, ning2meng2cha2)
ㅇ 밀크차(奶茶, nǎichá, nai3cha2)
ㅇ 생강차(姜茶, jiāngchá, jiang1cha2)
ㅇ 과일차(水果茶, shuǐguǒchá, shui3guo3cha2)
ㅇ 장미차(玫瑰花茶, méi‧guichá, mei2guicha2) 순입니다.

▲ 남정(南靖) 객가토루(客家土樓)에서
ⓒ 최광식

▲ 운남 호도협 차마객잔(?)에서
ⓒ 최광식

차 분류는 여러 가지로 하지만, 그중 대중적인 것 하나만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발효정도에 따라서

ㅇ 녹차((綠茶, 绿茶, lǜchá, lv4cha2)
ㅇ 백차(白茶, báichá, bai2cha2)
ㅇ 청차(靑茶, 青茶, qīngchá, qing1cha2)
ㅇ 홍차(紅茶, 红茶, hóngchá, hong2cha2)
ㅇ 황차(黃茶, 黄茶, huángchá, huang2cha2)
ㅇ 흑차(黑茶, hēichá, hei1cha2)로 나누어집니다.

제가 선물로 '차'를 거의 사지 않는 이유는, 어떤 차가 좋은 차인지, 선물받을실 분 입맛에 맞을지, 가격은 적당한지 전혀 알수가 없어서입니다. 제가 마시려고 그냥 100g ~ 250g 한통에 10 ~ 20위안 정도를 구입해서 마시고는 합니다.

매번 사가기는 하는데 끝까지 마신 경우는 한번도 없습니다. 종종 쓰레기통으로 직행하기도 하죠. 이번에도 려산 가서 려산 운무를 10위안 주고 샀는데, 물론 파는 아주머니는 원래 가격이 40위안이라고 주장했지만, 짐만 되고 있습니다.

▲ 영정(永定) 객가토루 앞 가게에서. 안계 철관음 구입. 한 봉지에 1위안(元).
ⓒ 최광식
마지막으로 중국 10대 명차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괄호안은 현재 중국에서 쓰이는 간자입니다.

ㅇ 서호 용정 (西湖 龍(龙)井, Xīhúlóngjǐng, Xi1hu2long2jing3)
ㅇ 동정 벽라춘 (洞庭 碧螺春, Dòngtíngbìluóchūn, Dong1ting2bi4luo2chun1) : 태호(太湖) 동정(洞庭)산, 소주 벽라춘이라고 한 곳도 보입니다.
ㅇ 황산 모봉 (黃(黄)山 毛峰, Huángshānmáofēng, Huang2shan1mao2feng1)
ㅇ 려산 운무 (廬(庐)山 雲(云)霧(雾), Lúshānyúnwù, Lu2Shan1yun2wu4)
ㅇ 육안 과편 (六安 瓜片, Liùānguāpiàn, Liu4an1gua1pian4)
ㅇ 군산 은침 (君山 銀針(银针), Jūnshānyínzhēn, Jun1shan1yin2zhen1)
ㅇ 신양 모첨 (信陽(阳) 毛尖, Xìnyángmáojiān, Xin4yang2mao2jian1)
ㅇ 무이암차 (武夷岩茶, Wǔyíyánchá, Wu3yi2yan2cha2)
ㅇ 안계 철관음 (安溪 铁观音, ānxītiěguānyīn, An1xi1tie3guan1yin1)
ㅇ 기문 홍차 (祁門(门) 紅(红)茶, QíMénhóngchá, Qi2Men2hong2cha2)
ㅇ 운남 보이차 (云南 普洱茶, Yúnnánpǔěrchá, Yun2nan2pu3er3cha2)

왜 11개인가 하면 제가 중국사이트를 검색해서 10대 명차에 속하는 차들을 뽑다보니 좀 많아 졌습니다. 더 많지만 적당히 생략했습니다.

▲ 곤명 차시장 어느 보이차 가게에서
ⓒ 최광식
위의 차 중에서 2/3 이상은 마셔본 것 같습니다. 가격과 품질이 천차만별이라 마셔봤다고 하기도 민망하지만. 어떤 차가 좋냐고 물으시면 대답을 못 하지만 제 입에 맞는 차가 뭐냐고 물으시면 답해드릴 수가 있습니다. 안계 철관음이 제 입에 딱 맞더군요. 원래 다이어트차로 유명한 것은 '철관음'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왠지 '보이차'가 유명하더군요.

느끼한 중국음식 드실 때는 꼭 개운한 중국차를 곁들이시는 것이 좋고요, 또 10대 명차나 산지를 알아두시면 중국인들과 대화할 때도 즐거워집니다.

덧붙이는 글 | ㅇ이 기사는 한겨레-차이나21-자티의 여행나라(http://ichina21.hani.co.kr/) 와 뚜벅이배낭여행(www.jalingobi.co.kr)에도 올릴 예정입니다. 

ㅇ 중국 1위안(元) 은 2006년 8월 10일자로는 약 120 원정도 입니다.

ㅇ 중국어 발음과 해석은 네이버(http://cndic.naver.com/)를 참조했습니다. 

ㅇ 중국차에 대한 일부 자료는 중국차즐기기(http://www.teancha.com/)를 참조했습니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