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지하철을 탈 때 노약자 석을 이용하는 김용갑(72)씨는 "지하철 사고가 안 난다는 보장이 없는데 우리 같은 노인들은 사고가 나도 그냥 지켜보기만 해야 할 뿐"이라며 하소연한다.
1999년 10월 6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인천지하철은 동막에서 귤현까지 운행하는데 일일 통행인원이 20만명이나 돼 260만 인천시민의 중요한 교통수단으로써의 역할을 하고 있다.
처음 운행 할 당시 인천시 종합건설본부 주체로 설계에 들어가 선반위에 '비상스위치'를 설치해 승객들의 민원이 잦았던 것이 사실이다.
@BRI@이후, 인천 지하철은 2003년 2월에 대구광역시에서 일어났던 대형 지하철 화재사고를 계기로 2003년부터 전동차 개조사업에 들어갔다.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의 한 관계자는 "2005년 10월에 마무리된 개조사업으로 지하철 내부는 화재에 강한 불연내장제로 교체를 했다"며 "비상스위치를 보다 편리하게 작동시키기 위해 지하철 내부의 모든 선반을 제거했다"고 말한다.
8살 난 아이를 둔 주부 이지연(38)씨는 "아무리 선반을 제거했다고 하지만 지하철 사고가 났을 경우 아이들은 의자 위에 올라가야 '비상스위치'가 닿는다"며 문제를 지적했다.
현재 운행되고 있는 인천 지하철 내부 구조상의 문제로 '비상스위치'를 밑 부분으로 교체해 달지는 못하는 상황이며 실제 1m80cm 높이에 있는 비상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비상스위치가 닿지 않을 경우 의자위로 올라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인천광역시 지하철 공사의 관계자는 "지금의 '비상스위치'의 위치가 문제가 있다는 것은 인정 한다"며 "앞으로 신종 전동차를 제작 할 때는 이런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