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디지털카메라가 보급되면서 컴퓨터에 사진을 저장하는 일이 쉬워졌습니다.

야생화를 저장해 놓은 곳을 가리켜 '창고'라는 말을 많이 쓰는데 이렇게 꽃이 드문 계절에 지난 계절에 찍었던 사진들을 게시할 때 '창고를 개방한다'고도 하지요.

연말, 대선을 앞두고 온 나라가 뒤숭숭한 가운데 총기탈취사건과 기름유출사건까지 겹쳐서 마음 둘 곳을 모르겠습니다. 어디를 바라보아도 희망적인 이야기들보다 절망적인 이야기들이 더 많습니다. 마치 과거로 회귀하려는 듯한 현실을 보면 안타깝다 못해 어쩌다 우리 사회가 이 모양이 되었을까 한탄을 하게 됩니다.

들꽃, 그들은 해마다 피고 집니다. 늘 새 것입니다. 아무리 아름다운 순간이라도 갈 때가 되면 가고 그리하여 마침내 새순으로 피어나는 것입니다.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넣어야 하는 법인데, 새 시대를 낡아빠진 부대, 더 이상 쓸 수 없어 버려야 할 부대에 담으려고 합니다. 이렇게 마음이 심란할 때 그 마음을 다스려주는 것은 저에게 있어서는 역시 꽃입니다. 그래도 희망을 봐야겠지요.

보는 것이 이루어진다고 했으니 희망을 봐야겠지요. 그 희망은 그냥 바라보는 것만으로 되는 것은 아닙니다. 들꽃을 만나고 싶다는 소망과 발걸음이 합쳐져 차곡차곡 창고에 보물을 쌓아둔 것처럼, 한탄만 하지 말고 지금 여기서 어떻게 살아가고 결단하는 것이 희망의 길로 가는 것이겠지요. 다른 사람 아닌 내가 그 길을 가야겠지요.

태그:#야생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연을 소재로 사진담고 글쓰는 일을 좋아한다. 최근작 <들꽃, 나도 너처럼 피어나고 싶다>가 있으며, 사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