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구미 쌍암고가'(중요민속자료 105호) 사랑채 옛집이 참 멋스럽지요? 지금도 가끔 손님이 오시면 이 사랑방을 내어주신답니다.
'구미 쌍암고가'(중요민속자료 105호) 사랑채옛집이 참 멋스럽지요? 지금도 가끔 손님이 오시면 이 사랑방을 내어주신답니다. ⓒ 손현희

내가 <두 바퀴에 싣고 온 이야기보따리> 연재기사 첫머리를 장식했던 때가 지난 2007년 5월 15일이었어요. 그때 경북 구미시 해평면에 갔을 때 모퉁이 길 뒤에 뭐가 있을까? 하고 들어가다가 정말 아름다운 옛집을 만났지요. 골목 끝에 자리 잡고 있는 옛집을 봤을 때, 얼마나 반갑고 기뻤는지 몰라요. 그때 본 곳이 구미시 '해평북애고택'과 '해평최상학씨가옥'이었는데, <형님. 아우 다정하게 마주 본 옛집>이라는 기사를 썼어요.

 

이때, 북애고택을 관리하던 아주머니를 만나 이런저런 얘기를 듣고 좋은 기사를 쓸 수 있었지요. 그런데 두 번씩이나 이 마을에 찾아갔지만, 갈 때마다 문이 닫혀있어 북애고택 앞에 있는 '쌍암고택'은 구경도 못하고 와야 했지요. 그 뒤로도 여러 번 찾아갔지만 이 댁에 사는 어르신들을 만날 수 없었어요.

 

한 보름 앞서 남편이 혼자 이 마을에 다시 가게 되었는데, 이 집 앞에 '구미쌍암고가'라는 알림판이 새롭게 세워진 걸 봤대요. 그리고 무엇보다 반가운 건 대문이 활짝 열려 있었다고 하네요. 마음 같아선 당장 들어가서 사진이라도 찍고 싶었지만 뒷날 나와 함께 와서 보려고 미루어두었대요.

 

쌍암고가 사랑채 봄을 맞아 예쁜 꽃도 피어 있어 더욱 아름다웠어요.
쌍암고가 사랑채봄을 맞아 예쁜 꽃도 피어 있어 더욱 아름다웠어요. ⓒ 손현희

 

대를 이어 옛집을 지키는 최열, 강계희 어르신

 

지난 일요일(6일) 남편과 난 또다시 이 집을 찾아갔답니다. 집에서 자전거를 타고 달리면, 한 시간 만에 닿는 곳이에요. 지난해만 해도 여기까지 닿으려면 적어도 두 시간이나 걸렸거든요. 아마도 그 사이 자전거 타는 솜씨가 많이 늘었나 봐요.

 

이윽고 해평리에 들어서니, 지난해에 새로 고쳐 지었다는 '북애고택'이 보이고, 그 앞 '쌍암고가'(중요민속자료 105호)에는 마치 우리를 기다렸다는 듯이 대문이 활짝 열려있어요. 게다가 대문 안에는 사람 소리도 들렸어요. 어찌나 반갑던지….


안으로 불쑥 들어가서 인사를 하고 이 댁 어르신이냐고 여쭈었더니 그렇다고 하시네요. 참 반갑고 기뻤어요.

 

너른 마당에 강아지 세 마리가 뛰어노는데, 우리를 보고는 막 달려와서 발 앞에 넙죽 드러눕고는 꼬리를 치며 반겨주었어요. 머리카락이 흰 어르신은 지팡이를 짚고 있었고, 이 댁 안주인과 아드님으로 뵈는 젊은이도 함께 있었어요.

 

어르신들 앞에 자전거 타는 차림으로 나서기가 매우 미안했지만 어쩌겠어요. 명함을 건네 드리고 여기에 온 까닭을 말씀드렸더니, 할아버지께서 손수 하나하나 짚어주며 설명을 해주셨답니다.

 

어라! 여기도 자전거가 있네요. 옛집 너른 마당에서 만난 자전거도 퍽 정겨워보였답니다.
어라! 여기도 자전거가있네요. 옛집 너른 마당에서 만난 자전거도 퍽 정겨워보였답니다. ⓒ 손현희

"이 대문채는 원래 7칸짜리였는데, 나중에 수리할 때 헐어서 지금은 다섯 칸밖에 없어. 옛날 일제 때는 기와를 많이 구할 수 없어 칸을 줄였던 거지."

 

"아, 그럼 여기도 여러 번 새로 고쳐 지었나 봐요?"
"그럼, 여러 번 고쳤지. 1943년에 수리를 한 번 했고, 또 지난 80년대에도 수리를 했지."

 

"아, 네. 그러면 그 옛날에 고칠 때에 기와가 모자라서 다섯 칸으로 줄인 거군요."
"그렇지. 또 여기 이 터는 옛날엔 작은 사랑채가 있었어. 사랑채가 뭔지는 알지? 남자들이 쓰던 집 말이야. 주로 젊은이들이 썼지. 또 그 옆에는 '연당'이라고 해서 작은 연못도 있었어."

 

지금까지 옛집을 참 많이 봐왔지만 늘 담장 안에 곱게 모셔두고 보존하는 빈집이었는데, 이 댁에는 지난 1779년 처음 집을 지은 때부터 대를 이어 후손들이 실제로 사는 걸 보니 참 좋았어요. 무엇보다 사람 손때가 그대로 묻어 있는 집이라서 무척 정겨워보였답니다. 이 쌍암고가에는 대문채를 시작으로 사랑채, 중문간채, 안채, 사당채, 이렇게 다섯 채가 남아있지만, 지난날에는 꽤 많은 부속물이 딸려있었다고 하네요.

 

어르신이 얼마 앞서 허리 수술을 받으셔서 몸이 불편하신데도 지팡이를 짚고 다니면서 손수 설명해주시는데 퍽 미안하고 또 고마웠어요. 안채까지 우리를 데리고 들어가시더니, 시원하고 너른 대청에 앉으라고 자리를 내주셨어요. 안채는 6칸 대청을 중심으로 안방, 건넌방, 찬방(고방)이 있었는데, 이것 또한 하나하나 일러주시면서 그 쓰임새까지 얘기해주셨답니다.

 

쌍암고가 중문간채 안채로 들어가는 곳에 따로 중문간채를 두었어요. 문이 한쪽으로 비켜나 있어 여자들이 쓰는 안채를 쉽게 들여다볼 수 없도록 지었답니다. 조상의 슬기가 느껴지지요?
쌍암고가 중문간채안채로 들어가는 곳에 따로 중문간채를 두었어요. 문이 한쪽으로 비켜나 있어 여자들이 쓰는 안채를 쉽게 들여다볼 수 없도록 지었답니다. 조상의 슬기가 느껴지지요? ⓒ 손현희

대청 중문간채에서 대청을 바라보며 찍은 사진이에요. 6칸짜리 대청은 정말 시원했어요. 한여름에도 더위를 잊고지낼 만큼 시원하다고 하네요.
대청중문간채에서 대청을 바라보며 찍은 사진이에요. 6칸짜리 대청은 정말 시원했어요. 한여름에도 더위를 잊고지낼 만큼 시원하다고 하네요. ⓒ 손현희

쌍암고가 안채 너른 6칸 대청에서 내려다본 안채 모습이에요. 튼 ㅁ자 구조라고 하는데, 사진 앞쪽에 보이는 게 중문간채이지요. 그 양쪽으로 트여있어서 '튼 ㅁ자 구조'라고 합니다.
쌍암고가 안채너른 6칸 대청에서 내려다본 안채 모습이에요. 튼 ㅁ자 구조라고 하는데, 사진 앞쪽에 보이는 게 중문간채이지요. 그 양쪽으로 트여있어서 '튼 ㅁ자 구조'라고 합니다. ⓒ 손현희

우리 집 얘기가 인터넷에 실렸는데...

 

그나저나 이 옛집 너른 대청에서 알록달록하고 몸에 쫙 붙는 옷차림으로 어르신과 마주 앉아있는 게 무척 쑥스러웠어요. 더구나 두 분은 아무리 세상이 바뀌었다고 해도 예절 바르고 전통을 지키는 양반가의 어르신인데, 얼마나 미안했는지 몰라요. 이런 때에는 정말 몸 둘 바를 모르겠어요. 그렇다고 자전거를 안 탈 수도 없고….

 

사모님은 마침 어제(5일)가 '한식'이라서 집안 손님들이 제사를 지내려고 다녀가셨다면서 손수 떡과 부침개를 내주시기도 하셨어요. 우리가 먹을 걸 앞에 두고 있으려니 이 댁 강아지 세 마리가 쪼르르 달려와서 댓돌 밑에서 아양을 떠는데, 어찌나 예쁘고 귀여운지 몰라요.

 

"어르신, 그렇지 않아도 여기에 벌써부터 와보고 싶었는데, 올 때마다 문이 닫혀있어서 오늘에야 뵙게 되었네요."
"아이고, 그랬어요? 하필 우리가 다 나갔을 때 왔다 갔구먼. 언젠가 우리 집 얘기가 인터넷에 실렸는데, 그 기자가 두 번이나 왔다가 문이 굳게 닫혀 있어서 돌아갔다고 하더라고요."

 

"어머! 그 기사 제가 쓴 건데요?"
"으잉? 그래? 무슨 신문인데?"

"네. <오마이뉴스>에요. 아까 어르신께는 명함을 드렸는데…."
"어. 맞아 <오마이뉴스>였어. 하하하! 이 집에서 왔다 갔었구만?"


"네. 맞아요. 그때 왔다가 요 앞집 '북애고택'만 취재하고 갔었어요. 두 번이나 왔는데도 여긴 문이 잠겨 있었거든요."

 

이 댁 어르신들도, 또 우리도 매우 놀랐어요.

 

"아니 그런데 사모님, 인터넷도 하세요?"
"아이고 그럼, 난 컴퓨터를 배워서 하는데 이 어른은 당신이 혼자 알아서 척척 하신다니까. 요즘은 내가 거의 양보하고 있지만…."

 

쌍암고가를 지키는 두 어르신의 열정이 매우 놀라웠어요. 이 댁 맏집 어르신인 최열씨는 일흔넷, 안주인인 강계희씨는 일흔이세요. 그런데도 손수 깨우쳐서 컴퓨터를 다루시고, 인터넷도 하신다고 하네요. 또 그렇게 인터넷에서 글을 보다가 내가 쓴 기사도 읽었다고 하니 놀랄 수밖에요.

 

우리는 이것도 인연이라고 하며 한바탕 크게 웃었답니다. 그 덕분에 인터뷰도 아주 재미있게 할 수 있었지요. 어르신한테 이것저것 집안 내력도 들으면서 처음에 낯설고 뻘쭘하던 분위기도 많이 누그러졌답니다.

 

최열(74) 어르신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교지나 교첩들을 따로 갈무리한 문집을 보여주시면서 이것저것 자세하게 일러주셨어요.
최열(74) 어르신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교지나 교첩들을 따로 갈무리한 문집을 보여주시면서 이것저것 자세하게 일러주셨어요. ⓒ 손현희

"그 옛날에 최 광光자 익翊자 어르신이 아들한테 지어준 집이라고 하던 대요. 그러면 우리 어르신한테는 몇 대조가 되시는 건가요?"
"나한테는 10대조 할아버지시지."

"본디 이 집 이름이 '해평최상학씨가옥'이라고 했다고 하는데, 최상학씨는 누구인가요?"
"우리 아버님이시고. 작년에 이 집 이름이 바뀌었어. '구미쌍암고가'로."

 

이 쌍암고가는 지난날에 이 집 앞에 큰 바위가 두 개가 있었다고 해요. 그래서 옛날부터도 '쌍암고택'이라고 일컬었다고 합니다.

 

"옛날에 10대조 할아버지 후손들이 살던 집이 이 인근에 아홉 집이나 있었지. 우리처럼 이런 집들이 많이 있었단 말이야. 그런데 일제 때, '기미'를 하는 바람에 요 앞집(북애고택)하고 우리 집만 남은 거야."
"네? 기미라고요?"

"그렇지. '기미'라고 옛날에 나락을 가지고 하는 주식 같은 거였어. 그때 나락 시세로 지금 주식처럼 사고팔고 하는 거였어. 일제 때 한 십오 년 동안 이 '기미'를 많이 했는데, 주로 상주, 성주, 선산, 칠곡 이런 데서 많이 했지. 그 바람에 다른 집들은 거의 몰락했고 이제 두 집밖에 안 남은 거여."

 

난 생전 처음 듣는 얘기였어요. 나중에 이 '기미'를 자세히 알아봤더니, 일제강점기 때에 '기미시장'이 있었는데, 오늘날 증권처럼 나락 시세에 맞춰 현물은 없이 약속으로만 사고파는 거였어요. 그 옛날 권세를 누리던 양반가에서도 그것 때문에 집안이 기울어졌다니 놀랄만한 일이었어요.

 

한번은 7~8년 앞서 이 댁에 강도가 든 적이 있었대요. 그때도 두 어르신 밖에 없었는데, 손을 뒤로 묶어놓고 칼로 위협하면서 '고택'에 있을 만한 옛 문서, 교지, 교첩, 골동품 따위를 3억원 남짓이나 될 만큼 훔쳐갔대요. 모두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것들이라고 해요.

 

이때 3개 중앙 방송국과 언론에서도 크게 보도를 했다고 하는데, 다행히 한 달 뒤에 강도도 잡고 잃어버린 물건들도 모두 되찾았다고 해요. 그때만 해도 집안에서 늘 쓰던 물건이라서 그 것들이 그만큼 값어치 있는 것인 줄 몰랐다고 하네요.

 

그 뒤로는 안동에 있는 '국학진흥원'에 따로 보관해두고 사진을 찍어 문집으로 만들어서 가지고 있다고 하시면서 우리한테도 보여주셨어요. 또, 얼마 앞서 바로 앞집 '북애고택'에도 도둑이 들어서 옛 문서들을 모조리 훔쳐갔다는 얘기도 들었어요.

 

조상이 물려준 것들을 대대로 지키면서 사는 것도 매우 힘든 일인데, 이렇게 험한 일까지 겪으셨다니 참 놀라웠어요.

 

전주최씨 인재공파 문집 7~8년 앞서 강도를 맞고난 뒤에 대대로 물려받은 옛문서, 교지, 교첩 따위를 '안동국학진흥원'에 따로 보관하고 이렇게 사진을 찍어 문집으로 만들어서 보관하고 있어요.
전주최씨 인재공파 문집7~8년 앞서 강도를 맞고난 뒤에 대대로 물려받은 옛문서, 교지, 교첩 따위를 '안동국학진흥원'에 따로 보관하고 이렇게 사진을 찍어 문집으로 만들어서 보관하고 있어요. ⓒ 손현희

 

나도 가끔은 아파트에서 살고 싶어!

 

최열 어르신은 '전주 최씨 인재공파'의 맏집 어르신이었어요. 위로 형님이 계셨는데, 군대에서 전사하시고 둘째였던 어르신이 맏집의 어르신이 된 거예요. 이 댁에서는 위로 4대까지 제사를 모시는데, 4대에 걸친 할아버지, 할머니 8분의 기일과 설날, 추석, 한식, 묘사, 이렇게 한 해에 적어도 열댓 번씩 제사를 모신다고 해요.


어르신도 어르신이지만, 맏집의 맏며느리로 한평생을 지내오신 사모님이 조상들이 물려준 이 집을 지키면서 살아온 날들이 얼마나 힘들고 어려운 일이었을까? 싶었어요.

 

맏집 안주인 강계희(70)씨 맏집 큰 살림을 혼자 한평생 해오셨어요. 가끔 나도 아파트에 살고싶다! 고 말씀하시던 모습이 떠오르네요. 하지만, 늘 이 큰 살림을 꾸리는 걸 마땅히 해야할 본분이라고 여기면서 지켜오신답니다.
맏집 안주인 강계희(70)씨맏집 큰 살림을 혼자 한평생 해오셨어요. 가끔 나도 아파트에 살고싶다! 고 말씀하시던 모습이 떠오르네요. 하지만, 늘 이 큰 살림을 꾸리는 걸 마땅히 해야할 본분이라고 여기면서 지켜오신답니다. ⓒ 손현희

"그 많은 제사를 사모님이 손수 준비하고 모셨겠네요?"
"그럼. 때때마다 집안 손님들이 모두 모이면 시끌벅적하지. 이 댁이 8형제인데 자손들까지 모두 합하면 40~50명쯤 되니까, 제사도 모시고 손님 대접도 해야 하고 할 일이 많지."

 

"그동안 힘들지 않으셨어요? 제사도 그렇고 이렇게 옛집을 지키면서 한평생 사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잖아요."
"힘들어도 어떡해. 내가 할 일인데, 하긴 나도 가끔은 이런 집 말고 아파트에서 살아봤으면! 할 때도 있었지. 옛날에는 세간 욕심도 많았는데 지금은 아니야. 이제 늙으니까 하나하나 정리를 해야 한단 생각이 들어."


"한 가지 궁금한 게 있는 대요. 만약에 나중에 두 분이 가시고 나면, 이 집은 어떻게 되나요?"
"우리 큰아들이 살아야지."

"아, 그래요?"
"그럼, 다행히도 우리 아들이 올해에 마흔일곱인데 아들도, 또 며느리도 여기 들어와서 살겠다고 하네."

"참 고마운 일이네요. 젊은 분들이 편한 것 마다하고 여기 와서 살겠다고 하니까요."

 

맏집 장독대 집안에 제사만 해도 한 해에 열댓 번씩 지내는 쌍암고가 장독대에는 항아리들이 매우 많았어요.
맏집 장독대집안에 제사만 해도 한 해에 열댓 번씩 지내는 쌍암고가 장독대에는 항아리들이 매우 많았어요. ⓒ 손현희

맷돌 안채 마당에는 오래된 맷돌이 여럿 있었어요. 모두 조상들의 손때가 묻어있는 것들이지요. 이처럼 오랜 세월 동안 대대로 이 집을 지켜오면서 손때가 묻어있고 따듯함이 배어있는 물건들이에요.
맷돌안채 마당에는 오래된 맷돌이 여럿 있었어요. 모두 조상들의 손때가 묻어있는 것들이지요. 이처럼 오랜 세월 동안 대대로 이 집을 지켜오면서 손때가 묻어있고 따듯함이 배어있는 물건들이에요. ⓒ 손현희

어르신들이 워낙 나이가 많은데다가 대를 이어 옛집을 지키면서 살아왔는데, 이렇게 손때 묻혀가며 사람 사는 따듯함이 배어나는 이 집이 두 분 어르신 대에서 끊기면 어쩌나 하고 생각했던 건 내 쓸데없는 군걱정일 뿐이었어요. 본디 집은 사람이 살면서 온기를 내뿜어야 한다고 하잖아요. 사람이 살지 않는 빈집은 금방 허물어지니까요.

 

편하고 좋은 것만 좇아 살아가는 사람이 많은 요즘, 옛것을 지키고 가꾸려는 이들이 드문 게 사실이에요. 그러나 조상이 물려준 이 집에서 한평생 살면서도 힘든 줄도 모르고, 마땅한 본분이려니 하고 여기며 살아가는 두 어르신이 무척 우러러보였답니다. 또 이 다음에 이 댁 큰 아드님도 부모님 뜻을 받들어 여기 와서 살겠다고 하니 얼마나 대견스럽고 자랑스러운 일인지 몰라요.

 

그러면 안 되잖아!

 

쌍암고가에서 머물면서 이 멋진 집을 더욱 잘 보존하려면 많은 이들이 즐겨 찾아오고, 우리 전통양식이나 예절을 몸소 배우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렇지 않아도 지난 2002년 월드컵 때에 시에서 한 가지 제안을 한 적이 있다고 하는데, 이 댁 사랑채에 외국인 손님을 유치하면 어떻겠냐고 했대요. 마음 같아서는 그렇게 하고 싶었지만, 나이 드신 두 어르신들이 손수 대접하고 수발을 들기엔 너무 힘든 일이라 못하셨대요.


중문간채 곁에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는 '바비큐 통'이 있었는데, 가끔 손님이 오시면 마당에서 고기도 구워 먹으면서 하룻밤 묵어가도록 하기도 한답니다. 어쨌거나 이 아름다운 옛집이 많은 이들한테 사랑받고 즐겨 찾는 곳이 되면 좋겠어요.

 

끝으로 이 댁 안주인께서 여기를 찾아오는 손님한테 꼭 부탁하고 싶은 말이 있대요. 이 말은 우리도 참 오랫동안 가슴에 남아요.

 

"구경을 가서 그 집에 사람이 있으면 그게 누가 됐건 인사를 해야지…. 우리 두 늙은이가 여기 살고 있지만 언제라도 찾아오면 먼저 인사를 잘하면 좋겠어. 어떤 때는 아이들을 데리고 부모가 함께 와서는 사람을 보고도 인사 한 마디 없을 때가 있거든. 그러면 나도 내다보기도 뭣하고 서로 뻘쭘할 때가 있다니까? 그러면 안 되잖아!"

 

사람들이 구경을 왔을 때, 사람이 없다면 모를까 집안에 누군가 있으면 그게 집임자이든 아니든 아는 체를 해야 옳다는 얘기였어요. 생각하니 참 옳은 말이에요. 길에서도 사람을 만나면 인사하는 게 마땅한 일인데도 하물며 남의 집에 들어오면서 그러면 안 되지요.

 

두 어르신과 헤어져 나오는데, 지팡이를 짚고 대문간까지 나와서 배웅해주던 바깥 어르신 얼굴이 자꾸만 떠오르네요. 나중에 또 놀러 오라고 하면서 그만 들어가시라고 해도 끝까지 서 계셨어요. 우리 모습이 뵈지 않을 때까지…….

 

강아지 이 댁에서 우리를 가장 먼저 반겨준 멍이에요. 멍이는 새끼를 두 마리 낳았는데, 세 마리 모두 사람을 무척 따르더군요. 참 귀엽지요?
강아지이 댁에서 우리를 가장 먼저 반겨준 멍이에요. 멍이는 새끼를 두 마리 낳았는데, 세 마리 모두 사람을 무척 따르더군요. 참 귀엽지요? ⓒ 손현희

덧붙이는 글 | 뒷 이야기와 더욱 많은 사진은 한빛이 꾸리는'우리 말' 살려쓰는 이야기가 담긴 하늘 그리움(http://www.eyepoem.com)에서 볼 수 있습니다.


#구미쌍암고가#최상학씨가옥#최열#옛집#자전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이 기사는 연재 자전거는 자전車다 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남편과 함께 자전거를 타고 오랫동안 여행을 다니다가, 이젠 자동차로 다닙니다. 시골마을 구석구석 찾아다니며, 정겹고 살가운 고향풍경과 문화재 나들이를 좋아하는 사람이지요. 때때로 노래와 연주활동을 하면서 행복한 삶을 노래하기도 한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