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바다에서부터 만리장성이 시작된다. 왼쪽에는 청나라의 팔기군. 오른쪽에는 이자성의 반란군. 패잔병을 이끌고 퇴각한 명나라군 총사령관 오삼계는 바다로 들어갈 수는 없었다.
▲ 산해관 바다에서부터 만리장성이 시작된다. 왼쪽에는 청나라의 팔기군. 오른쪽에는 이자성의 반란군. 패잔병을 이끌고 퇴각한 명나라군 총사령관 오삼계는 바다로 들어갈 수는 없었다.
ⓒ 김광수

관련사진보기


황도 북경이 이자성 군대의 수중에 떨어졌다. 오삼계는 패잔병을 이끌고 산해관으로 퇴각했다. 황제는 죽었는지 살았는지 모른다. 서쪽에는 이자성의 반란군, 동쪽에는 청나라의 팔기군, 고립무원이다. 독안에 든 쥐와 다름없었다.

"조건 없이 항복하면 목숨만은 살려 주겠다."

이자성이 우금성을 보내어 항복을 촉구했다. 오삼계도 싫지는 않았다. 이민족에게 항복하는 것보다 이자성에게 투항하여 후일을 도모하는 것이 하나의 방책이라 생각되었다. 하지만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았다. 대명제국 총관이 비적에게 항복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오삼계는 단호히 뿌리쳤다.

북경에 남겨둔 첩보원으로부터 긴급 보고가 날아왔다. 이자성 군대가 아버지를 잡아갔다는 것이다. 효심이 남달랐던 오삼계는 진중을 몰래 빠져 나왔다. 대장이 자리를 비웠다는 사실이 알려지면 부대는 무너진다. 심복 수하 몇 명을 데리고 북경으로 향했다. 아버지를 구출하고 항복 조건을 담판하기 위해서다.

여자를 빼앗아갔다는 말에 발길 돌린 오삼계

척후로 내보낸 군졸이 황급히 돌아왔다. 이자성 군대가 아버지를 죽였다는 불길한 보고였다. 마음이 흔들렸다. '가야하나? 뒤돌아 서야하나?' 잠시 번민했으나 북경 행을 취소하지는 않았다.

외성 좌안문을 통과하여 내성으로 향하고 있을 때, 황성에 심어둔 세작으로부터 보고가 들어왔다. 애첩 진원원을 이자성 휘하의 유종원이 취했다는 것이다. 오삼계는 치를 떨었다. 분노에 떨던 오삼계가 발길을 돌렸다. 이른바 충관일노위홍안(沖冠一怒爲紅顔)의 전말이다.

훗날 오삼계는 매국노라는 낙인이 찍혀 명나라 패망의 원흉이 되었다. 명나라의 국채를 사수해야할 장수가 이민족 만주족에게 영혼을 팔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조는 청조(淸朝)에 반감을 품은 한족 지식인들 사이에 면면히 이어져 왔으나 청나라 패망 후, 한족 내부에서 이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명나라의 패망은 오삼계의 청나라 투항이 아니라 환관정치로 부패한 명나라 내부 붕괴에 원인이 있다는 것이다. 이를 은폐하기 위한 희생물로 오삼계를 매도하여 만주족에게 나라를 빼앗긴 한족(漢族)의 자존심을 지키려 했다는 것이다.

진원원은 남쪽에서 태어난 명기 출신이다. 숭정제의 총애를 받고 있던 전비(田妃)가 황제에게 어린 소녀를 넣어주고 환심을 사기 위하여 천거된 여자였다. 궁에 들어온 진원원은 빼어난 미모와 요기가 오히려 감점 요인이었다.

황제의 일일 성은을 입은 진원원은 황제의 옥체를 망칠 수 있다는 어의들의 진언에 따라 오삼계의 아버지에게 하사되었고 그 아버지는 아들에게 물려주었다. 오삼계는 진원원을 끔찍이 총애했다. 그러한 애첩을 도적이 약탈해 갔다니 부글부글 끓었다. 산해관에 돌아온 오삼계는 청나라에 밀사를 보냈다.

만리장성의 시작점이자 종점이다.
▲ 산해관. 만리장성의 시작점이자 종점이다.
ⓒ 김광수

관련사진보기


복림을 황제에 등극시킨 도르곤은 장비와 밀월을 즐기며 북경 진공 택일을 저울질하고 있었다. 섭정왕전에서 전략회의가 열렸다.

"북경이 이자성부대에 함락되었다면 우리의 행동은 어느 시점에 초점을 맞춰야 하겠는가?"
"단숨에 쳐들어가 쑥대밭을 만들어야 합니다."
호격이 지금 당장 쳐들어가자고 주장했다.

"다 익은 감을 주워 먹는 것도 쏠쏠한 재미가 있을 겁니다."
범문정이 낚시론을 폈다.

북경을 얻는 것보다도 백성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이자성에 쫓긴 오삼계군은 군대라고 불러주기조차 민망한 지리멸렬한 군대입니다. 치고 들어가면 찬바람에 낙엽이 우수수 떨어지듯 산해관은 무너질 것입니다."
홍승주가 밀어붙이자고 주장했다.

"산해관의 오삼계 군대가 아니라 북경을 접수한 이자성 반란군이 문제입니다."
용골대가 상승세를 타고 있는 이자성 부대를 경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북경을 얻어도 인심을 얻지 못하면 천하를 얻지 못합니다. 이자성의 반란군이 처음에는 백성들의 지지를 받지만 곧 백성들의 마음이 떠날 것입니다. 그것이 반란군의 한계입니다. 지금 산해관을 돌파하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북경에 들어가는 것은 위험부담을 안고 있습니다. 반란군의 약탈과 겁탈의 원망을 자칫 우리가 뒤집어쓰게 됩니다."
역시 범문정은 천하의 지략가였다.

"우리의 목적은 북경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백성들의 마음을 얻고 천하를 얻는 것이다. 명나라의 안내를 받으며 들어가는 것이 가장 합당한 방법이다."

도르곤이 최종 단안을 내렸다. 힘을 앞세운 강공보다도 안내를 받고 모셔 들여 가는 모양새를 갖추자는 것이다. 강자의 여유다.

오삼계가 보낸 밀사가 심양에 도착했다. 보고를 받은 도르곤이 밀사를 정중히 안내하라 명했다. 섭정왕전에서 도르곤과 오삼계가 보낸 밀사가 대좌했다.

먹고 먹히는 전란시대에 군대를 빌려달라고?

"난 섭정왕 도르곤이다. 그대는 누구인가?"
"오랑캐 나라에 무슨 황제가 있고 섭정왕이 있느냐? 나는 그런 것 모른다. 대명총관 오삼계장군이 보낸 장수 위치웅만이다."
명나라 장수답게 변방국을 모두 오랑캐로 얕잡아보던 관념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

"말버릇이 고약하고 건방지구나."
용골대가 발끈했다.

"나는 말 따먹기 하며 자존심 대결하기 위하여 이곳에 온 것이 아니다. 죽고 사는 문제를 담판하러 왔다."
"그래 용건이 무엇이냐?"
도르곤이 나직한 목소리로 물었다.

"군대를 빌려 달라."
먹고 먹히는 살벌한 전국시대에 군대를 빌려달라니 참 순진한 생각이다. 하지만 중국인들이 즐겨 쓰는 전법 중 하나다.

"대가는 무엇이냐?"
"북경을 회복하면 만리장성 이북을 떼어주겠다."

"그 제안은 예전에도 나왔던 조건이 아니냐?"
"그렇다면 북경을 내주고 우리더러 어디로 가란 말이냐?"
위치웅만은 자못 심각했지만 도르곤은 웃음이 나왔다. 틀린 말은 아니었다. 서쪽은 사막, 북쪽은 장성, 동쪽은 청나라, 비옥한 남쪽은 반란군 세상이다.

"좋다."
도르곤이 쾌히 수용했다.

"단, 조건이 있다."
"무엇이냐?"
"비적을 몰아내면 청나라군은 북경에서 철군하는 조건이다."
오삼계는 청나라 군을 불러들여 북경을 회복하면 태자를 옹립하여 명맥을 이어가겠다는 전략이었다.

"철군? 좋다. 약속하마."
도르곤은 명나라 장수의 안내를 받으며 북경에 입성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오삼계의 밀사를 돌려보낸 도르곤이 소현을 불렀다.

세자는 북경에 들어갈 준비를 하시오

"세자는 일찍이 내가 한 약속을 잊지 않았겠지요?"
도르곤은 만면에 미소를 띠었다.

"무슨 약속이신지…"
소현은 도무지 감이 잡히지 않았다.

"이보다 더 큰 세상을 보여주겠다는 약속 말이오."
그래도 소현은 감이 오지 않았다.

"세자와 함께 북경에 들어갈 것이니 준비하도록 하시오."

북경. 말만 들어도 가슴 설레는 꿈의 도시다. 온 세상의 문물이 모이고 흩어지는 황도(皇都). 조선의 사대부들이라면 한번쯤 가보고 싶은 곳. 아버지의 나라 북경이 오랑캐의 말발굽에 짓밟힌다니 도저히 믿어지지 않았다.


태그:#산해관, #도르곤, #오삼계, #이자성, #소현세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사실(事實)과 사실(史實)의 행간에서 진실(眞實)을 캐는 광원. 그동안 <이방원전> <수양대군> <신들의 정원 조선왕릉> <소현세자> <조선 건국지> <뜻밖의 조선역사> <간신의 민낯> <진령군> <하루> 대하역사소설<압록강>을 펴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