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홍교 한 칸의 홍예교이지만, 그 모습이 단아하다
홍교한 칸의 홍예교이지만, 그 모습이 단아하다 ⓒ 하주성

아마 명칭을 '육송정 홍교'라고 부르는 것으로 보아, 이 다리 부근 어딘가에 육송정이라는 정자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보물 제1337호인 '고성 육송정 홍교는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해상리와 탑현리에 위치하고 있다. 소재지가 두 곳의 지명을 사용하는 것은, 이 홍교를 놓은 내가 해상리와 탑현리의 경계가 되기 때문이다.

간성읍에서 고성 건봉사 방향으로 가다가 보면, 좌측으로 군 훈련장과 같은 곳이 보인다. 그리고 현재 사용하는 다리 옆에 육송정 홍교가 자리하고 있다. 이 홍교는 보물인 건봉사 능파교와 비슷한 시기에 축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조선조 영조 24년인 1748년에 편찬된 『간성군읍지』에는, 이 홍교가 언제 만들어졌는지 모른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런 점으로 보아 건봉사 능파교보다 앞선 것으로 볼 수 있다.

홍교 홍교를 놓은 내가 해상리와 탑현리의 경계가 된다. 보물 제1337호 육송정 홍교
홍교홍교를 놓은 내가 해상리와 탑현리의 경계가 된다. 보물 제1337호 육송정 홍교 ⓒ 하주성

홍교 육송정 홍교는 하천의 폭이 12.3m 정도가 되는 곳에, 10.6m의 다리를 놓았다.
홍교육송정 홍교는 하천의 폭이 12.3m 정도가 되는 곳에, 10.6m의 다리를 놓았다. ⓒ 하주성

자연 암반을 이용해 축조한 홍교

육송정 홍교는 하천의 폭이 12.3m 정도가 되는 곳에, 10.6m의 다리를 놓았다. 다리 위는 양편으로 네모난 장대석을 줄지어 놓고, 그 위에 황토 등으로 메우는 방법을 택했다. 다리 밑으로 내려가 본다. 자연지형을 그대로 이용한 육송정 홍교는, 동쪽은 그대로 암반을 이용해 그 위에 홍예돌과 비슷한 크기의 장대석을 올렸다.

서쪽은 3단의 지대석을 쌓은 뒤, 그 위에 홍예석으로 올리는 방법을 택했다. 이 지대석의 1단은 땅 속에 묻혀있어, 그 크기를 정확히 알 수가 없다. 2단과 3단의 지대석은 커다랗고 네모난 돌을 사용했으며, 각각 두 장의 돌을 붙여놓았다. 그 크기는 2단의 높이가 70cm 정도이고, 3단은 60cm 정도인데, 3단의 가운데는 안쪽으로 파손이 되었다.

홍교 자연암반을 그대로 이용해 축조한 육송정 홍교
홍교자연암반을 그대로 이용해 축조한 육송정 홍교 ⓒ 하주성

동편 기단 동편의홍예는 자연암반을 그대로 기단으로 사용하였다
동편 기단동편의홍예는 자연암반을 그대로 기단으로 사용하였다 ⓒ 하주성

이 육송정 홍교는 축조한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능파교와 함께 영조 21년인 1745년 대홍수 때 붕괴가 되었던 점으로 미루어, 능파교를 축조한 숙종 30년인 1704년이나 그보다 앞섰을 것으로 추정한다.

꾸밈이 없는 단아한 육송정 홍교

이 육송정 홍교의 특징은 홍예와 날개벽 사이의 교각 면석을 장대석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자연적인 냇돌을 사용하였는데, 아래편에는 큰 돌을 위편에는 작은 돌을 써서 무게를 분산시키는 방법을 택했다. 단칸 홍교로는 보기 드물게 단아한 형태로 축조가 된 육송정 홍교는, 2006년 6월에 홍교를 해체 복원하였다.
        
서쪽 기단 서쪽의 기단은 삼단의 지대석을 놓은 후 홍예를 올렸다
서쪽 기단서쪽의 기단은 삼단의 지대석을 놓은 후 홍예를 올렸다 ⓒ 하주성

홍예석 2~3장의 돌로 조성한 홍예석
홍예석2~3장의 돌로 조성한 홍예석 ⓒ 하주성

홍예를 구성하고 있는 장대석은 갈고 짧은 것을 적당히 섞어 공고하게 축조를 하였다. 2~3장의 장대석으로 이를 맞추어 쌓은 홍예는 매우 견고하게 보인다. 홍예밑으로 흐르는 물은 암반 위로 흐른다. 하기에 물이 스며드는 것으로 인한 피해는 거의 없을 듯하다.

동편 홍예의 지대석을 자연 암반을 그대로 이용하여 쌓은 육송정 홍교는 단아하다. 화려하게 모양을 낸 여느 홍교와는 달리 고졸한 멋을 풍기고 있다. 다리 하나를 놓으면서도, 이런 세세한 면까지 신경을 쓴 선조들의 지혜에 감탄을 할만하다.

사잇돌 홍예와 날개벽 사이에는 냇돌을 이용해 축조해 자연적인 멋을 더하고 있다
사잇돌홍예와 날개벽 사이에는 냇돌을 이용해 축조해 자연적인 멋을 더하고 있다 ⓒ 하주성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자연을 닮았다는 생각이 드는 육송정 홍교. 아마도 이 다리가 그렇게 오랜 시간을 버틸 수 있었던 것도, 자연을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은 아닌지. 4월 10일 육송정 홍교 위에 서서, 몇 번이고 소리를 내어 감탄을 한다.


#홍교#고성군 간성읍#보물#냇돌#자연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