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망 직전의 신라인들은 자신들의 역사를 세 시기로 구분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그들은 박혁거세~진덕여왕(28대)을 상대, 태종무열왕~혜공왕(36대)을 중대, 선덕왕~경순왕(56대)을 하대로 분류했다.
중대(中代)의 출발점인 제29대 태종무열왕 김춘추는 비주류 출신의 새로운 세력이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그는 폐위된 진지왕의 손자였다. 또 <삼국유사>나 위작 논란이 있는 필사본 <화랑세기>에 따르면, 그는 덕만공주(선덕여왕)에게 밀려난 천명공주의 아들이었다. 어느 모로 보나 그는 소외된 왕족이었다.
그런 김춘추가 성공하는 길은 모험뿐이었다. 그는 비주류인 가야계 김유신과 손을 잡고 당나라를 더욱 더 적극적으로 끌어들였다. 결국 이런 모험이 성공을 거두었고, 그는 자신을 출발점으로 하는 새로운 왕통을 열 수 있었다.
중국 역사서인 <사기> '채택 열전'에서는 "해는 중천에 뜨면 내려가고, 달은 차면 기운다"(日中則移,月滿則虧)고 했다. 또 <명심보감>에서도 "그릇은 차면 넘치고, 사람은 차면 죽는다"(器滿則溢, 人滿則喪)고 했다.
신라의 전성기를 가져왔던 김춘추의 왕통도 때가 되자 기울기 시작했다. 수명이 다 된 것이다. 김춘추의 왕통은 혜공왕의 죽음(780년)과 함께 막을 내리고, 내물왕(제17대)의 후손인 제37대 선덕왕(선덕여왕 X)이 하대(下代)의 막을 열었다. 혜공왕의 죽음과 선덕왕의 등극은 구세력과 신세력의 교체를 반영하는 사건이었다.
그런데 선덕왕 때만 해도 신세력의 입지는 아직 공고하지 않았다. 100년 넘게 기득권을 유지한 김춘추 계열을 한 번에 능가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었다. 그래서 양대 세력이 공존할 수밖에 없었다. 쉽게 말하면, 구세력은 정부를 차지하고 신세력은 '청와대'를 차지하는 구도였다.
구세력의 대표는 김춘추의 후손인 김주원, 신세력의 대표는 내물왕의 후손인 김경신이었다. 둘 다 개혁을 지향하긴 했지만, 그것이 구세력을 위한 것이냐 신세력을 위한 것이냐 하는 점에서 두 사람은 차이를 보였다.
김주원과 김경신의 대결에서 무게 중심은 앞으로 기울었다. <삼국유사> 원성왕 편에 따르면, 김경신 스스로도 "(내) 위에 김주원이 있다"고 인정할 정도였다.
'대통령 취임식' 당일, 세상이 뒤바뀌었다
김주원과 김경신이 최종 대결을 펼칠 기회가 얼마 안 있어 찾아왔다. 신세력의 입지가 굳어지기도 전에 후계자도 남기지 못한 상태에서 선덕왕이 세상을 떠난 것이다. 구세력이 여전히 막강한 상태에서 신세력 출신의 임금이 죽었으니, 구세력의 김주원이 왕관을 도로 찾아갈 확률이 높았다. 상황도 그런 쪽으로 흘러갔다.
조선시대에 정부에서 발행한 <신증동국여지승람> 권44에 따르면, 김춘추 계열이자 선덕왕의 어머니인 정의태후는 김주원을 후계자로 지정했다. 또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따르면, 조정 대신들도 정희태후의 결정을 받아들였다. 요즘 식으로 말하면, 김주원이 대통령선거에서 승리한 셈이었다.
김주원의 승리로 구세력이 정권을 되찾을 것처럼 보였다. 신라는 과거로 회귀할 것 같았다. 그런데 바로 이때, 정말 기적 같은 사건이 발생했다. '대통령 취임식' 당일에 세상이 뒤바뀐 것이다. 추대식 당일에 뜻밖의 변수가 발생한 것이다.
그 변수란 무엇일까? '낙선'한 김경신 측에서 쿠데타라도 벌인 걸까? 그렇지 않다. '대선 결과'를 뒤엎은 것은 엉뚱하게도 폭우였다. '신라본기'에서는 추대식 당일의 상황을 이렇게 묘사한다.
"공교롭게도 큰비가 내려 알천(閼川)의 강물이 불어나자, 김주원은 건너올 수 없었다."알천은 북천이라고도 불렸다. 지금도 북천이라 불린다. 김주원의 집은 알천 북쪽에 있었고, 왕궁은 그 남쪽에 있었다. 갑작스런 폭우로 김주원이 알천을 건너지 못하고 발이 묶였던 것이다.
물이 불어 올 수 없었던 김주원 "하늘이 돕지 않나 보네"추대식 현장에 김주원이 나타나지 않자, 여기저기서 수군거림이 일기 시작했다. 김경신을 비롯한 신세력은 이런 분위기를 놓치지 않았다.
신세력은 "하늘이 김주원을 돕지 않나 보네", "폭우가 내린다고 안 오는 거야?", "이런 성의로 어떻게 나라를 다스리겠어?"라는 식의 말들로 장내 분위기를 어수선하게 만들었다. '신라본기'에서는 이렇게 말한다.
"어떤 사람은 '임금이란 자리에 오르는 것은 진실로 사람의 머리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오늘 폭우가 내리고 있으니, 혹시 하늘이 김주원을 세우지 않으려 하는 게 아닌가? 지금의 상대등인 김경신은 선왕의 동생이고 본시 덕망이 높아 임금의 격에 맞는 인물이다'라고 말했다."여기서는 김경신이 선덕왕의 동생이라 했지만, 중국 역사서인 <구당서>나 <신당서>에서는 사촌동생이라 했다. 어느 쪽이 정확한지 알 수 없으므로, 같은 내물왕 계열이라고만 이해하고 넘어가자.
상식대로라면 추대식은 연기됐을 것이다. 그러나 신세력의 공략은 주효했다. 그들은 김주원의 불참을 김주원의 낙마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 그들의 목소리는 장내 분위기를 뒤집는 결과를 가져왔다. '신라본기'는 이렇게 말한다.
"그러자 중론이 일치되어 그(김경신)를 후계자로 세웠다. 그러자 비가 그쳤고 나라 사람들은 모두 만세를 불렀다."신세력의 '선동' 속에 참석자들은 '차점자'인 김경신을 연호했고, 이런 가운데 대신들은 그를 새로운 임금으로 옹립했다. 정의태후 역시 이를 승인할 수밖에 없었던 모양이다. 김주원의 추대식은 엉뚱하게도 김경신의 추대식으로 바뀌고 말았다. 참으로 보기 드문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이렇게 즉위한 김경신이 바로 제38대 원성왕이다. 능력 위주의 관료 선발을 위한 독서삼품과라는 과거시험을 실시한 이가 바로 원성왕이다. 비록 큰 성과는 없었지만 신분제의 굴레를 타파하기 위한 독서삼품과를 설치한 것만 보아도, 그가 신세력의 입장에 섰음을 알 수 있다.
만약 김주원이 정상적으로 추대식에 참석했다면, 신라 왕통은 구시대로 회귀했을 것이다. 그러나 뜻밖의 폭우로 구시대의 권좌 복귀는 실패했고, 이후 김춘추 계열은 더는 왕위를 차지하지 못했다. 폭우가 왕관의 주인을 바꾸고 '대선 결과'를 바꾸고 나아가 구시대의 청산에 일조한 셈이다.
아무리 폭우가 내렸다지만...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다. 아무리 폭우가 내렸다지만, 김주원은 도대체 뭘 하고 있었던 걸까? 물론 폭우 때문에 강을 건너기가 쉽지 않았겠지만, 무슨 수를 써서라도 도강을 시도했어야 하지 않는가.
김주원도 분명히 강을 건너려고 무진장 애를 썼을 것이다. 그러나 그의 노력을 막은 제3의 요인이 있었던 것 같다. 선덕왕 사망 얼마 전부터 김경신이 알천의 신을 위한 제사를 거행했다는 <삼국유사> 원성왕 편의 기록으로부터 우리는 사태의 배경을 좀더 자세히 추리할 수 있다.
김경신이 알천에서 제사를 지냈다는 것은 알천을 거점으로 하는 귀족들과 유대를 강화했다는 뜻이다. 이는 알천 주변의 귀족들이 김주원보다는 김경신 쪽으로 돌아섰음을 뜻하는 것이다.
이런 상태에서 갑작스런 폭우로 김주원의 발목이 알천에서 묶이자, 현지 귀족들이 김주원에 대한 지원을 거부했거나 김주원의 도강을 의도적으로 방해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김주원과 구세력이 태후와 조정은 장악했지만 민심을 완전히 장악하지는 못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김주원도 나름대로는 더 좋은 신라를 만들고자 노력했다. 하지만, 그는 어디까지나 구시대를 대변하는 인물이었다. 그 자신은 인정하기 싫었을지 모르겠지만, 그는 시대조류와 맞지 않는 인물이었다. 결과적으로 보면, 과거 지향적 인물이 신라를 구시대로 되돌리려 하자 천심과 민심이 모두 나서서 그의 즉위를 방해한 셈이 되었다.
해든 달이든 그릇이든 사람이든 정상에 오르면 내려가야 한다는 교훈, 이를 어기고 시대조류에 역행하여 구시대의 권력을 연장했다 해도 그런 일시적 성공은 언제라도 뒤집힐 수 있다는 교훈을 이 사례는 보여주고 있다.
덧붙이는 글 | 사극 해설 기사와는 별도로 운용될 '왕관 쟁탈의 역사' 시리즈에서는 동서양의 정권교체와 관련된 각종 에피소드를 다룰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