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뷰(OhmyView)>는 소비자 입장에서, 소비자의 눈높이로 제품을 꼼꼼히 따져봅니다. 대상은 따로 없습니다. 자동차든, 휴대폰이든, 금융상품이든...가장 친소비자적인 시각을 전달하려고 합니다. 또 이 공간은 각 분야에 관심있는 전문블로거나 시민기자 등 누구에게도 열려있습니다. [편집자말]
귀에 이어폰을 꽃고 '재생'을 누르자마자 '헐' 하는 헛 웃음이 절로 나왔다. 겉면에 'LG'라는 글자가 양각으로 새겨진 이 '1만 8000원 짜리' 이어폰은 작금의 시장 질서를 철저히 무시하는 소리를 뿜어냈다.

귀우물에 쏙 들어앉는 올챙이를 닮은 애플의 새 이어폰도 신기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새로 장착된 '무기'는 저음이다. 특이한 구조로 만들어진 '공기 반, 소리 반'의 풍부한 저음이 편안한 착용감 위에 얹혔다.

애플의 새 번들 이어폰 '이어팟(EarPods)'과 LG전자의 번들 이어폰 '쿼트비트(Quatbeat)'가 기대 이상의 성능으로 국내 음악 동호인들의 호평을 받으며 관심을 모으고 있다. 10월부터 국내 시장에서 본격적으로 펼쳐질 '스마트폰 전쟁'의 '선봉장' 격인 두 이어폰을 비교해 보았다.

 LG의 새 번들 이어폰 '쿼트비트(Quatbeat, 왼쪽)'와 애플의 새 번들 이어폰 '이어팟(EarPods, 오른쪽)'.
LG의 새 번들 이어폰 '쿼트비트(Quatbeat, 왼쪽)'와 애플의 새 번들 이어폰 '이어팟(EarPods, 오른쪽)'. ⓒ 김동환

20만원대 성능 이어폰이 '옵티머스 G' 번들로?

LG전자의 '쿼트비트'는 귓속으로 쏙 들어가는 인이어(In-Ear) 방식의 이어폰이다. 칼국수 면발 같은 넓적한 이어폰 줄 위에 안드로이드용 콘트롤러와 마이크가 부착되어 있는 4극 플러그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어폰 포장을 뜯으면 금속 인클로져와 단선에 강한 L자 모양의 이어폰 단자가 우선 눈에 들어온다. 일반적인 인이어 타입 이어폰과는 달리 2중 차음구조를 가진 고무 폼도 특징이다. 외형적으로만 봐도 LG전자가 그간 만들어왔던 번들 이어폰들과는 차원이 다르다.

가장 놀라운 것은 소리다. 이어폰 분야에서 이렇다 할 만한 인상적인 성능의 제품을 출시한 적이 없는 LG 전자의 이 번들이어폰은 20만 원 대의 이어폰 전문 제조회사 제품들과 필적하는 소리를 낸다. 저음이 강조되는 최근 시중 제품들에 비해 밀리지 않으면서도 중저음과 고음 재생에 특히 충실한 느낌이다.

이런 특징은 주파수 응답특성(Cumulative Spectral decay, CSD) 측정에서도 잘 나타난다. 주파수 응답특성이란 스피커나 이어폰이 출력하는 소리가 인간의 가청 대역 주파수인 20Hz~22KHz 범위 내에서 얼마만큼의 음량으로 출력되는지를 측정한 값을 말한다. 측정에는 음향기기 전문 사이트인 '골든이어스'의 장비를 이용했다.

 LG의 새 번들 이어폰 '쿼트비트'의 주파수 응답특성 측정치. 쿼트비트는 LG전자의 스마트폰 '옵티머스 G'에 번들로 제공된다.
LG의 새 번들 이어폰 '쿼트비트'의 주파수 응답특성 측정치. 쿼트비트는 LG전자의 스마트폰 '옵티머스 G'에 번들로 제공된다. ⓒ 골든이어스

위 그래프는 '쿼트비트'의 주파수 응답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의 세로축 0값은 원래 소리가 발생했던 곳과 동일한 소리를 의미한다. 업계에서는 이 축에서 멀어질수록 이어폰의 재생능력을 낮게 평가한다. 이 정도 결과 값은 시중에서 20만 원 정도에 판매되는 인이어 타입 이어폰에서 얻어지는 수준이다.

고음에 강한 '쿼트비트'의 특징은 이 그래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래프 가로축의 10K 오른쪽은 초고음역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고음이 약한 이어폰은 이 부분이 0 아래로 급격히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지만 '쿼트비트'는 오히려 이 부분이 0 위로 올라가 있다.

 LG전자의 새 번들 이어폰 '쿼트비트'의 CSD 그래프. 상당히 응답속도가 빠른 편이라 음악을 들을 때 타악기 특유의 타격감이 잘 살아난다.
LG전자의 새 번들 이어폰 '쿼트비트'의 CSD 그래프. 상당히 응답속도가 빠른 편이라 음악을 들을 때 타악기 특유의 타격감이 잘 살아난다. ⓒ 골든이어스

위 그래프는 '쿼트비트'의 주파수 감소 경향(Cumulateive Spectral dacay, CSD)을 측정한 것이다. 주파수 감소 경향이란 음이 재생됐을 때 시간이 지나면서 소리의 크기가 감소되는 경향을 말한다. 그래프에 언덕처럼 보이는 부분이 고르게, 급격한 경사를 그릴수록 해당 이어폰은 좋은 평가를 받게 된다.

주파수 감소 경향은 타격감과 관련이 깊다. 이 측정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 이어폰일수록 재생되는 음이 명징하고 타격감이 좋다. 실제로 음악을 들어보면 '쿼트비트'는 수준급의 음분리 능력을 보여준다.

기자는 이 이어폰으로 재생했던 음악 중 세 곡이 기억에 남는다. 미국의 펑크 록 그룹인 '투톤슈(Two tone shoe)'의 'Medicine'을 재생했을 때는 저가형 이어폰에서는 잘 들리지 않던 드럼의 하이앳 소리나 기타 소리를 '쿼트비트'에서는 들을 수 있었다.

고음 영역이 강하다고 해서 다 좋은 것만은 아니다. 이 이어폰은 국내 가수 나얼의 '바람기억'의 점점 고조되는 후렴부 고음에서는 바람을 타고 올라가는 느낌을 배가시켜준다. 그러나 성시경의 '희재'처럼 '치', '쉬' 등 치찰음에 해당하는 발음이 많이 등장하는 노래를 재생했을 때는 오히려 다소 듣기 거북한 느낌을 준다. 주파수 분석 결과에서도 '쿼트비트'는 치찰음이 강조되는 5K에서 7K 사이에서 강한 응답을 보였다.  

애플 '이어팟', 편안한 착용감에 저음 부드러워

'쿼트비트'가 높은 기기적 성능으로 관심을 끈다면 '이어팟'의 장점은 편안한 착용감과 '스마트폰 번들이어폰' 이라는 정체성에 충실하다는 것에서 나온다.

'이어팟'을 접하면 가장 먼저 특이한 디자인에 눈이 가게 된다. 이 제품은 '쿼트비트'처럼 귓속으로 들어가는 인이어 방식도 아니고 귀우물에 걸치는 '오픈형' 방식도 아닌, 애매하면서 독특한 방식을 취하고 있다.

통상 오픈형 방식은 인이어 방식에 비해 음악감상 용으로는 적합치 않다. 양질의 음질을 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인이어 방식은 음악감상에는 좋지만 외부의 소리를 상당히 차단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음악을 들을 때는 교통사고 등 아찔한 상황을 종종 자아낸다. '이어팟'은 이 두 가지 방식의 장점을 접목한 느낌이다. 이어폰 스피커 부분이 좀 더 귓속으로 들어가지만 음악과 동시에 다른 소리도 듣는 게 가능하다.

 음향기기 전문 사이트인 '골든이어스'에서 이어폰 주파수 응답 측정을 할 때 사용하는 이어 시뮬레이터. 애플의 새 번들 이어폰 '이어팟'의 음질을 측정하고 있다. 이어팟의 정면부와 오른쪽 아래 보이는 '-'자형 구멍이 저음 강화용 바람구멍(덕트)이다.
음향기기 전문 사이트인 '골든이어스'에서 이어폰 주파수 응답 측정을 할 때 사용하는 이어 시뮬레이터. 애플의 새 번들 이어폰 '이어팟'의 음질을 측정하고 있다. 이어팟의 정면부와 오른쪽 아래 보이는 '-'자형 구멍이 저음 강화용 바람구멍(덕트)이다. ⓒ 김동환

애플은 이런 특성을 가진 제품을 만들기 위해 '이어팟'을 출시하면서 수백 명의 사람을 대상으로 100개가 넘는 모형 디자인을 테스트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런 과정을 통해 누구 귀에도 잘 맞고 편안함을 주는 이어폰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실제 착용해보니 홍보용 발언이 아니었다. 귀우물이 넓은 편이라 웬만한 오픈형 이어폰은 흘러내리기 때문에 착용을 못 하는 기자의 귀지만 '이어팟'은 들으며 조깅을 해도 빠지는 법이 없었다.

'아이폰4S' 때까지 번들 이어폰으로 사용되며 스테디셀러로 자리잡았던 '이어버드'와는 어떤 점이 다를까? 이어폰 단자와 콘트롤러, 마이크는 이전 번들 이어폰인 '이어버드'(Earbud)와 별다른 차이점을 느끼기 어렵다. 차이를 만드는 점은 꼬리가 잘린 붕어빵 몸통 모양의 플라스틱 인클로져와 인클로져 주변에 뚫어진 세 개의 바람구멍(덕트)다.

'이어버드'와 '이어팟'의 주파수 응답특성을 측정하면 이어팟이 이전 이어폰에 비해 부쩍 저음이 강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저음 효과가 바로 추가된 세 개의 바람구멍에서 나온다. 김은동 골든이어스 대표는 "이어폰 소리가 나오는 반대쪽으로 바람구멍을 만들면 공기가 순환하면서 저음이 강화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 구멍을 손가락으로 막으면 음색이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애플의 이전 번들 이어폰인 '이어버드'와 새 번들 이어폰 '이어팟'의 주파수 응답특성 측정값. 녹색이 이어버드, 파란색이 이어팟의 평균값이다. 전반적으로 기능이 개선된 가운데 저음 출력능력이 특히 향상된 것을 알수 있다.
애플의 이전 번들 이어폰인 '이어버드'와 새 번들 이어폰 '이어팟'의 주파수 응답특성 측정값. 녹색이 이어버드, 파란색이 이어팟의 평균값이다. 전반적으로 기능이 개선된 가운데 저음 출력능력이 특히 향상된 것을 알수 있다. ⓒ 골든이어스

주파수 응답특성 측정치에 따르면 '이어팟'은 '이어버드'에 비해 상당히 향상된 음질을 자랑한다. 특히 저음이 풍부해졌다. 위 그래프를 보면 빨강, 파랑, 보라가 '이어팟', 초록은 '이어버드'다. 빨강은 '이어팟'이 귀에 딱 맞는 경우, 보라는 좀 헐겁게 맞는 경우다. 가장 헐겁게 맞는 경우라도 '이어버드'보다는 준수한 수준의 저음을 내 준다. '쿵쿵'거리는 저음이 아니라 부드럽고 뭉툭한 느낌의 저음이다.

그렇다면 LG '쿼트비트'와의 비교는 어떨까. 소리를 재생해내는 기기적인 능력은 쿼트비트가 훨씬 앞선다. 그러나 실제 사용자 선호도는 그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다. 착용감이나 스마트폰 번들 이어폰으로서의 효용 등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평가가 엇갈릴 수 있다.

'쿼트비트'가 채택하고 있는 인이어 방식은 귀 구멍을 거의 막기 때문에 이 느낌을 싫어하는 사람들은 착용하기 어렵다. 또한 말하는 순간에도 자기 목소리가 어느 정도 크기인지 알기 어렵기 때문에 통화시 불필요하게 큰 소리로 주변에 피해를 주기 쉽다.

물론 음악감상용 이어폰을 꼽으라면 당연히 '쿼트비트'를 추천한다. 두 제품은 가격차이도 좀 나는 편이다. '이어팟'은 4만 원에 판매되고 있고, '쿼트비트'는 가격이 1만 8000원이지만 지금은 품절이라 구할 수 없다. 

진화 거듭하는 성의있는 '사은품', 소비자는 반갑다

두 이어폰을 비교하면서 기자는 2011년 출시됐던 모토로라의 스마트폰 '아트릭스'를 떠올렸다. 멀쩡히 사용하는 도중에 갑자기 꺼지는 현상을 보이는 불량품이 많아 사용자들 사이에서 '아트레기'라는 애칭으로 불렸던 스마트폰이다.

이런 치명적인 결함에도 불구하고 저가형 스마트폰을 구입하는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번들 이어폰을 이유로 '아트릭스'를 구매하는 이가 적지 않았다. 모토로라는 이 스마트폰을 사면 'EH20'이라는 준수한 성능의 인이어 방식 이어폰을 끼워줬기 때문이다.

당시 이 이어폰의 가격은 약 5만 원. 구매한 기기가 불량품이라 교체를 한다 하더라도 아트릭스를 구매한다는 것은 5만원 싸게 스마트폰을 사는 셈이었던 것이다. 실제로 기자도 같은 이유로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이걸로 사 드렸다. 물론 자전거를 좋아하시는 어머니의 안전을 위해 이어폰은 따로 챙겼다.

'가격대 성능비'가 좋은 제품을 만나는 일은 소비자 입장에서는 언제나 즐거운 일이다. 성의있게 만들어진 '사은품'이 구매를 즐겁게 만드는 것도 사실이다. LG와 애플의 새 번들 이어폰은 대체로 이 두 가지 경우 모두에 해당하는 제품들이다.

번들 이어폰은 스마트폰의 작은 부분이지만 그런 사소한 지점에 쏟아지는 기업의 노력에 소비자는 감동하는 법이다. 애플과 LG의 새 번들 이어폰들이 10월부터 국내 LTE 시장에서 본격적으로 펼쳐질 '스마트폰 전쟁'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 기대해본다.


#쿼트비트#이어팟#LG#애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