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본부가 방사능 물질 유출 사고를 가정해 실시한 방사능방재훈련 모습.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본부가 방사능 물질 유출 사고를 가정해 실시한 방사능방재훈련 모습.
ⓒ 한수원

관련사진보기


핵발전소를 관할하는 소방서에 구비된 방사선 보호복이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비된 보호복 마저도 상당수가 내용연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교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강기윤 의원(행정안전위원회)이 소방방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살펴보면 전국 6곳의 원전 근처에 위치한 4개 소방서에는 총 653명이 근무하고 있으나 구비된 방사선 보호복은 전체인원의 6.4%인 42벌에 불과했다.

문제는 이마저도 전체의 62%에 해당하는 26벌이 내용연수를 초과했다는 점이다. 특히 경북 울진소방서와 경주소방서는 보유하고 있는 방사선 보호복이 모두 노후된 상태로 교체가 시급한 상황으로 조사됐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원전 6기가 가동 중인 고리 원전을 관할하는 기장소방서(소방관 158명)에는 6벌의 방사선 보호복이 구비되어 있다. 이중 2벌은 내용연수를 넘은 상태였다. 경주소방서(233명), 영광소방서(139명), 울진소방서(123명)가 6벌, 13벌, 14벌의 방사선 보호복이 갖추어져 있었다.

전국적으로 따져봐도 554벌의 방사선 보호복 중 60.2%에 해당하는 334벌이 내용연수를 경과했다. 지자체별로는 19벌의 방사선보호복 중 18벌이 내용연수를 넘은 전라북도가 94.7%로 노후화가 가장 심했고 제주(89.6%), 경기(87.2%) 순으로 나타났다.

박외철 부경대학교 소방공학과 교수는 "방사선 물질이 있는 곳에 재난이 일어난다면 방사선 보호복의 착용이 필용하다"며 "많이 구비해 놓으면 좋겠지만 예산 문제로 그렇지 못한 만큼 차츰차츰 늘여 나가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기윤 의원은 "방사선 노출이 우려되는 원전 사고시 원활한 임무수행을 위해 방사선 보호복 개수를 확대하고 노후한 보호복은 조속히 교체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강 의원은 "원전 근처 소방서의 방사선 보호복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방사선 노출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은 지역에 방사선 보호복이 비치되는 것은 한정된 자원을 비율적으로 쓰는 것"이라며 "원전 근처의 소방서에 더 많은 방사선 보호복이 비치될 수 있도록 차등적인 예산배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사실 이같은 문제는 그동안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도 방사선 보호복과 생화학 보호복을 비롯한 소방관 개인장비의 노후율이 지적됐다. 더불어 이번과 같은 원자력발전소가 위치한 지역 관할 소방서의 방사선 보호복 부족도 함께 제기됐지만 예산문제에 막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대해 소방방재청 구조과 관계자는 "한벌에 500만원씩 하는 고가장비이다보니 내용연수가 넘었다고 버릴 수 없는 문제가 있다"며 "노후화는 문제가 되지만 구조대별로 할당된 보유기준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원전 관할 소방서의 전 직원에게 배분하려고 예산을 추가 확보하고 있지만 워낙 고가 장비여서 한꺼번에 교체하지 못하고 몇 년에 걸쳐서 교체를 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내년에는 3억 5000만원을 방사선 보호복 구입 예산으로 책정해 놓았다"고 밝혔다.


#원전#방사능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