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여름 온 국민을 '절전 공포'에 빠뜨렸던 예비전력 발표가 기관마다 제각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전정희 민주당 의원은 전력거래소와 에너지관리공단에서 발표하는 예비력이 서로 달라 국민들에게 혼란을 끼치고 있을 뿐 아니라 실제 '대정전'에 대비한 수치도 아니라고 지적했다.
전력거래소는 1200만kW, 에너지관리공단은 900만kW?전력거래소는 홈페이지를 통해 공급능력, 현재부하, 예비전력, 예비율 등 전력수급 현황을 실시간 발표하고 있다.
3일 오후 5시 35분 현재 공급능력 6782만kW, 현재부하 5511만kW, 예비전력 1272만kW, 예비율 23.08%로 표시돼 있다. 그런데 같은 시간대 에너지관리공단 홈페이지에는 운영예비력 989만kW, 운영예비율 17.9%로, 예비력 수치가 300만kW 가까이 차이가 난다. 왜 이런 큰 차이가 발생하는 것일까?
전력거래소가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하는 예비전력은 전날 발전소에서 입찰한 '공급 능력'에서 '현재 부하(전력사용량)'를 단순히 뺀 '공급예비력'으로, 거래소에서 제어하지 않는 신재생에너지 같은 비중앙발전기 전력량까지 포함돼 있다.
반면 에너지관리공단에서 발표하는 '운영예비력'은 예상치 못한 공급 차질이나 수요 증가에 대비해 1시간 이내 확보할 수 있는 공급가능 능력으로, 현재 전력시장운영규칙에는 운영예비력을 400만kW 이상 확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일반 국민이 이 두 예비력 차이를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더 큰 문제는 두 가지 예비력 모두 정부와 국민이 우려하는 전력계통운용과는 직접 관계없는 참고용 수치라는 것이다.
"계통운영과 무관한 예비력 발표해 국민에 절전 협박"전정희 의원은 "산업부와 전력거래소가 우려했던 대정전(계통붕괴)은 단 10초 이내에 모든 발전기가 탈락돼 전국 전력공급이 중단되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라면서 "공급예비력이나 운영예비력만으론 계통 붕괴를 막을 수 없고 현재 운전 중인 발전기의 여유 출력의 합에 해당하는 순동예비력을 파악해야 한다"고 밝혔다.
'순동예비력'만 제대로 알고 있으면 전력 수요 변동에 따른 주파수 변동을 막고 발전기의 급작스러운 탈락에 대비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전 의원은 현재 전력거래소에서 EMS(전력계통운용시스템)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순동예비력을 제대로 계산하지 못하고 있다고 일관되게 주장해 왔다.
전정희 의원은 "세계 어떤 전력회사도 국민들에게 공급예비력을 공지하면서 절전을 강요하지는 않는다"면서 "순동예비력 부족이 예상되면 미리 계약을 맺은 전력사용자(기업체)들에게 단전 지시를 하면서 수요관리를 하면 될 일을 온 국민을 대상으로 절전 협박을 해왔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