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3번 엑스레이 한 장 부탁합니다."
"34번에 충치가 있네요."

최근 초등학생인 아들과 치과를 찾은 주부 C씨는 의사와 간호사, 방사선사 등이 암호처럼 숫자로 말을 주고받는 걸 듣고 어리둥절했다. 숫자가 치아를 가리키는 것 같기는 한데, 그 뜻을 정확히 알 수 없었기 때문이다. 13번 치아의 정식 명칭은 '상악 우측 송곳니'다. 34번은 '하악 좌측 제1소구치'를 가리킨다.

사실 치과가 아니더라도, 군인이나 과학 기술자들은 숫자로 '소통'하곤 한다. 숫자 대화는 의미가 명료하고, 간단한 경우가 대부분이라 특히 전문가들 사이에서 널리 쓰인다. 그러나 최근 들어 '숫자 소통'은 보통 사람들의 일상 속으로까지 깊숙이 침투했다. 고속도로 번호 표기가 대표적이다.

아하, 이래서 서울외곽순환도로가 '100번'이구나

 서울외곽순환도로는 왜 100번일까. 답은 '우편번호'에 있다.
서울외곽순환도로는 왜 100번일까. 답은 '우편번호'에 있다. ⓒ 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 운전을 많이 해본 사람들은 잘 알고 있겠지만, 홀수는 남북으로 짝수는 동서로 달리는 고속도로를 뜻한다. 예들 들면, 인천과 강릉을 동서로 잇는 영동고속도로는 50번으로 짝수다. 또 전남 무안과 서울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서해안고속도로는 15번이다.

고속도로의 주요 노선은 짝수든 홀수든 두 자리 숫자 표기가 기본이다. 다만, 대도시 주변 순환도로나 주요 노선에서 갈려 나오는 지선은 세 자리 번호가 주어진다. 100번인 서울 외곽순환고속도로나 300번인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가 대표적이다.

그렇다면 어떤 기준으로 고속도로에 세 자리 숫자를 매기는 것일까. 답은 '우편번호'에 있다. 100번의 1, 300번의 3은 각각 서울과 대전의 우편번호 첫 자리에서 따온 숫자다.

순환도로가 아닌 지선은 주요 간선노선 끝에 숫자 하나를 더 붙여, 세 자리 숫자로 표기한다. 대전과 논산을 잇는 251번 호남고속도로 지선이 그 예다. 이 고속도로는 25번인 호남고속도로에서 갈라져 나왔는데, 남북으로 달리기 때문에 홀수로 표시돼야 하므로 '25+1=251'이다.

경부고속도로가 1번인 이유

그러나 예외 없는 법칙은 드문 법. 간선고속도로 숫자 표기는 두 자리가 기본이지만 우리나라 고속국도 1호인 경부고속도로만큼은 1번으로 한 자리다. 또 인천과 서울을 동서로 잇는 110번, 120번, 130번 도로도 다소 예외적으로 숫자가 매겨졌다. 이들 세 개 노선은 100번인 서울외곽순환도로에서 갈라져 나왔지만, 네 자리 숫자가 아닌 세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이들 도로 중 짝수 도로일 경우, 남쪽보다는 북쪽에 있는 도로의 숫자가 더 커야 한다는 원칙은 지켜지고 있다. 110번이 제일 남쪽, 120번이 그 다음, 130번이 제일 북쪽이다. 또 동서 방향일 때는 짝수로 표기한다는 원칙도 적용되고 있다.

한편, 일반국도 또한 고속도로와 번호체계가 비슷하다. 동서로 달리는 것들은 짝수, 남북으로 달리는 것은 홀수다. 고속도로와 큰 차이는 세 자리 숫자 없이, 1부터 99까지의 번호만 부여된다는 점이다.

도로명 주소에도 법칙이 있다

 올해부터 새롭게 도입된 도로명 주소 시스템. 이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도 방법이 있다.
올해부터 새롭게 도입된 도로명 주소 시스템. 이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도 방법이 있다. ⓒ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갈무리

고속도로와 유사한 맥락에서 올해부터 본격화된 도로명 주소 시스템도 숫자 붙이기(numbering)에 나름의 원칙이 있다. 동서로 뻗은 서울 종로를 예로 들어보자. 종각으로 널리 알려진 보신각의 주소는 '서울 종로구 종로 54'다. 동서로 난 길은 남쪽에 짝수 번호를 부여하는 게 원칙이므로, 보신각은 종로의 남측에 위치해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또 주소의 숫자는 동쪽으로 갈수록 커진다. 보신각 동쪽의 한 산부인과 건물 주소가 '종로 60'으로 54보다 큰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세종대로처럼 남북으로 난 도로는 서쪽 건물에 홀수 주소가, 동쪽에 짝수 주소가 매겨진다. 그리고 이들 숫자는 북쪽으로 갈수록 커진다.

차량 내비게이션이 발달한 요즘이지만, 도로 주소와 번호 체계를 알면 한층 더 확신을 갖고 길을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서로 이어진 서울의 남부순환로 어딘가에 위치한 카페에서 누군가를 만나기로 했는데, 카페 주소가 홀수라면 길의 북측에만 신경 쓰고 길을 더듬어 가면 된다.

숫자는 순서를 정보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인류 최고의 발명품이라고 할 수 있다. 'VLEO'나 'OLEV'라는 단어를 접하면, '무슨 뜻인가' 하고 어리둥절해 할 사람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E, L, O, V라는 네 개의 알파벳을 LOVE의 순서로 나열하면, '사랑'이라는 의미가 된다.

의미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은 말 그대로 '천양지차'다. 숫자는 그 자체로 절대적인 크기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동시에 순서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가장 단순하면서도 핵심적인 과학을 구성한다.

(* 도움말 : 한국고속도로공사 이창희 대리)

덧붙이는 글 | 위클리 공감(http://www.korea.kr/gonggam/)에도 실렸습니다. 위클리 공감은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행하는 정책 주간지입니다



#도로#숫자#정보 #과학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