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은, 좋아서 하는 편집'은 오마이뉴스 에디터의 사는이야기입니다.[편집자말] |
부르르 부르르 까톡까톡. 후배 엠마가 보낸 메시지.
"
인기기사 1위 제목, 제가 뽑은 겁니다... 이 기사 언니가 편집한 거죠? 이 내용 좀 써주세요."
"응? (너무 불쑥이잖아) 뭘 쓰라는 건지?"
"편집기자의 제목 뽑는 실전팁같은 거요!"
"아... 그 말이었어?"
"그런 게 어딨어? 있으면 나도 좀 알려주라" 하고 말할 뻔 했다. "야, 그건 완전 영업 비밀인데..." 있는 티 좀 내면 좋았을 걸. 정말 그런 게 있다면 '제목 맛집'이라는 간판부터 만들어 달아봐야겠다는 실없는 생각도 해봤다.
그래도 나는 후배의 말을 귀기울여 듣는 척이라도 하는 사람. 핑계삼아 제목에 대해 한번 생각해본다. 그리고 쓴다. 솔직히 고백하자면, 편집기자 일을 하며 제목과 관련해서 내외부 가릴 것 없이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은 이런 거였다.
"포털에 걸린 <조선일보>와 <오마이뉴스> 기사는 제목만 봐도 어디 기사인지 알겠어요."
칭찬일까, 아닐까... 더 깊이 고민하지 않기로 한다. 어쨌든 눈에 띈다는 거니까. 그야말로 분 단위로 쏟아지는 기사 중에서 눈에 띄는 제목을 짓기 위해 편집기자는 얼마나 분투하는가. 기사 출고 최전선에서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는 게 편집기자의 숙명 아니던가(쓰고나니 참으로 비장한 느낌이지만, 현실은....). 아무리 좋은 기사도 일단 눈에 띄지 못하면 살아남지 못하는 게 이곳의 섭리다.
제목을 지을 때 편집기자 대부분이 한번쯤 하는 고려사항은 아마도 이런 것일 터. 제목이 팩트를 잘 전달하고 있는지, 어감이 세지는 않은지, 편파적인지 아닌지, 무엇보다 식상한 표현인지 아닌지, 재미와 유머가 있는지 없는지(나만 재밌으면 그것도 참 곤란하다), 요즘 트렌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없는지, 나만 아는 표현은 아닌지. (나는 중요한데, 너는 하나도 중요할 것 같지 않은) 'OO이'가 나은지 'OO가'가 나은지 등 조사 하나도 예민하게 썼다 지웠다 하길 반복하는 게 내 일이다. 조사 하나에도 달라지는 게 어감이니까.
특히나 최근 몇 년에는 편견이 담긴 표현이 아닌지(나도 모르는 혐오의 표현이 아닌지), 성평등 가치에 어긋나지 않는지, 소수자에게 상처가 되는 제목은 아닌지 돌아보고 또 돌아보는 습관도 생겼다. 제목 뽑을 시간이 여유로운가 하면 그건 또 아니다. 빨리빨리 판단하고 바로바로 제목을 뽑아내야 하는 게 인터넷 언론사 편집기자다. 봐야할 기사가 많으니까. 종이신문처럼 제한된 지면에 제한된 기사를 배열해서 인쇄하는 게 아니니까.
게다가 여기는 인터넷언론이라고 쓰고 초간지라고도 부르는 곳. 말이 듣기 좋은 말로 편집국이지, 내겐 24시간 돌아가는 공장같은 일터다. 특히 내가 하는 일은 시민기자들의 기사를 편집하는 것. 그래서일까. 제목을 뽑을 때 독자뿐만 아니라 글쓴이의 마음을 고려해야 할 때도 있다.
최선의 제목을 짓기 위해
사는이야기에는 사람 마음의 온도를 1도씩 올리는 글도 많지만, 아픈 내용의 글도 상당히 많다. 돌아가신 부모님 이야기, 아픈 반려동물에 얽힌 사연, 내 몸이 아파 힘들었던 이야기, 특별한 관계였던 사람과 헤어진 이야기, 배신당한 이야기, 목표가 좌절된 이야기 등등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성찰한 글로 독자들과 만나고 공감하며 성장하는 시민기자들이 다수란 말이다.
그럴 때 나는 제목이 '막장 드라마'가 되는 것을 경계한다. 어느날 갑자기 대장암 환자가 된 40대 가장 시민기자, 가족의 아픈 사연을 내밀하게 고백하는 시민기자, 여행지에서 당한 피해 사례 등등. 이런 내용의 글은 충분히 자극적으로 뽑을 수 있지만, 그러지 않는다.
최종적으로 기사를 볼 데스크에게 메모도 남겨둔다. '제목에 암환자임을 밝히지 않은 이유'에 대해 쓴다. 개인의 아픈 경험을 팔기위한 상품으로 이용하고 싶지 않아서다. 그보다 그들의 마음과 진심이 보다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싶다. 특히나 요즘 포털 댓글처럼 혐오표현이 가득한 때는 더 그렇다.
오죽하면 댓글 때문에 기사를 못 쓰겠다는 시민기자들이 생겨날까. 나도 다르지 않다. '엉망진창땡창'인 댓글을 보며 심장이 두근두근하고, 팔다리가 부들부들 떨리는, 생각할수록 괜히 억울하고 부아가 치밀었던 경험이 나도 있었다. 그 마음이 뭔지 아니까 제목을 뽑을 때 더 신중해진다. 악플 때문에 너무 힘드니 기사를 삭제해달라고 할 수 없다는 걸 아니까 한 번 더 신중해진다. 제목 후보 여러 개 잡아서 뭐가 좋은지 다른 편집기자의 반응을 들어보기도 한다. 물론 내 이런 의도와 달리 결과가 좋지 않을 때(조회수 폭망)는 마음이 급격히 흔들리기도 한다.
'내 판단이 틀렸나. 이 좋은 글을 좀 더 많은 독자들이 보게 했어야 했나, 지금이라도 제목을 한번 더 바꿀까?'
그럴 때는 그냥 그런 날도 있는 거라고 받아들인다. 다른 날도 있겠지 하며. 삶에 정답이 없듯 제목에도 정답이 없다. 자극적으로 뽑아도 외면 당하는 기사가 있고, 담담하게 뽑아도 조회수와 공유가 놀랍게 치솟는 기사도 있다. 그러니 나는 그저 그 순간 최선의 제목을 지을 뿐이다. 그 최선의 제목을 위해 오늘도 손가락이 바쁘다. 썼다 지웠다를 반복한다.
쓰다보니 길어졌다. 만나는 시민기자들마다 길게 쓰지 말아달라고 신신당부하는데, 내가 그러면 안 될 것 같아 후배가 알기 바랐던 '편집기자의 제목 뽑는 실전팁'은 후일을 기약하기로 한다. 2편을 기대해주시라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