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나를 붙잡은 말들'은 프리랜스 아나운서 임희정씨가 쓰는 '노동으로 나를 길러내신 아버지,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입니다.[편집자말] |
제주 MBC에 재직했을 때, 한 달에 한 번 정도 주말 당직근무가 없는 날 육지에 올라왔다. 그전에는 광주 MBC에 근무해서 기차를 타고 왔다 갔다 하느라 선로 위에 돈을 뿌리고 다녔는데, 제주에 있을 때는 한 달에 한 번씩 비행기를 타느라 하늘에 돈을 뿌리고 다녔다. 그 돈 안 뿌리고 차곡차곡 모았다면 학자금 대출 일찍 갚았을 텐데 싶었다.
어쨌든 기차 탈 때는 큰 가방 하나면 됐는데, 이상하게 제주도에 살아 그런가? 비행기를 타서 그런가? 고작 이틀 주말 있다 내려올 건데 제주에서 육지 갈 때는 꼭 캐리어를 끌고 왔다. 나는 그 가방과 캐리어에 각종 김치와 반찬을 담아 일요일마다 내려오곤 했다.
부모님과 함께 주말을 보내고 어김없이 다시 제주로 내려가야 할 시간이 오면 아빠는 항상 내 캐리어 가방부터 챙겼다. 짐을 다 쌌냐 물어보고 다 쌌다고 하면 나는 아직 나갈 준비가 안 됐는데 서둘러 캐리어를 들고 문을 나섰다. 분명 딸 보내는 걸 서운해 하시는 눈치였지만, 보내고 싶지 않은 아쉬움과 얼른 가서 쉬길 바라는 안타까움이 아빠의 몸과 마음을 따로 움직이게 했다.
공항버스 정류소까지 엄마 아빠와 함께 가는 길. 빼빼 마른 아빠는 무게가 꽤 나가는 가방을 굳이 자기가 끝까지 들겠다며 손에서 절대 놓지 않으셨고, 더위를 많이 타는 엄마는 여름이면 땀을 많이 흘리는데도 굳이 내 손을 꽉 잡고 놓지 않으셨다. 발걸음을 재촉하는 아빠와 나의 사이는 점점 벌어졌고, 깍지낀 엄마와 내 손 사이는 항상 축축했다.
그렇게 나는 나의 짐을 아빠에게 쥐여준 채 주름진 엄마 손을 잡고 호강하며 걸어갔다. 버스 정류장에서 행여나 공항버스가 지나갔을까, 비행기 시간 놓칠까, 의자에 앉지도 못하고 고개를 쭉 빼고 저 멀리서 오는 버스만 쳐다보는 아빠. 지금 보내고 나면 한 달 후에 볼 딸의 얼굴이 그리워 나만 쳐다보는 엄마. 그런 아빠와 엄마를 바라보는 나.
누가 보면 어디 멀리 외국에 이민이라도 가는 줄 알았을 것이다. 그래봤자 국내선이면서 참 청승맞다 생각했다. 하지만 그 순간 우리 가족의 모습은 그 정류소에서 가장 애틋하고 따뜻했다.
광주에 있을 때는 KTX를 타고 다녔는데, 한번은 이런저런 짐이 좀 있어 부모님께서 기차 안까지 들어와 짐을 올려 주셨다. 됐다고 됐다고 얘기를 해도 아빠는 꼭 자기가 그 가방을 올려주고 가야 한다며 엄마와 함께 열차 안으로 기어코 들어오셨다.
그런데 짐을 올리고 이제 얼른 내리시라고 손짓을 하는데 갑자기 기차가 출발해 버리는 게 아닌가. "오매! 어찌하쓰까! 오매! 오매!" 놀란 엄마는 승무원 대신 '오매'만 찾았다. 결국 아빠와 엄마는 다음 역인 천안아산역에 내려 광명역으로 돌아가야만 했다. 그날 우리 가족의 모습은 그 열차 안에서 가장 바보같고 시끄러웠다.
멀어질수록 그리워지는 사이
엄마 아빠의 배웅을 받고 공항버스를 타고 기차를 탈 때면 난 항상 청승맞게 눈물을 흘렸다. 영영 헤어지는 것도 아니고 한 달 뒤에 다시 또 올라온 건데 이상하게 그렇게 눈물이 났다.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에서도 멀어진다던데, 부모와 떨어져 살수록 걱정과 그리움은 커져만 갔다.
차에 타기 전 끝까지 뭐라도 하나 더 해주고 싶고, 만지고 싶고, 보고 싶어 안달복달하는 부모의 모습이 아른거려서 버스와 기차가 떠난 한참 후에도 나는 고개를 빼고 뒤를 돌아보았다.
끝까지 창문을 향해 흔들던 작고 주름진 손, 번쩍 들어 올려 힘껏 흔들던 두 팔, 뒤돌아 터벅터벅 땅을 보고 걸어가시던 부모님의 뒷모습까지 모두 기억한다. 인사는 왜 하필 만세하듯 두 팔을 번쩍 다 들고 끝까지 손을 흔드는 건지. 차 안에서 그 모습을 보고 있으면 나에게 진짜 진짜 잘 가라고, 정말 정말 잘 가라고, 계속 계속 말하는 것 같았다.
제주로 내려가기 전날이던 어느 밤, 엄마는 나에게 말했다.
"너 가고 나면 엄마는 허전해서 딸 방에서 자."
"에이! 아빠랑 자기 싫어서 그러는 것 같은데!"
농담으로 넘겼지만 '허전해서'라는 표현이 내내 마음에 걸렸다. 이제 딸은 없고 딸 방만 있는 우리 집. 부모님과 함께 살 때도 거실에 나가보지도 않고 맨날 내 방에 콕 박혀 있던 나였는데, 같이 살 때나 같이 안 살 때나 집에서 딸을 볼 수 없는 건 마찬가지다.
그래도 함께 살 때는 작은 방문을 열면 내가 있었는데, 이제 문을 열어도 내가 없는 내 방이 됐다. 엄마는 그 방문을 열어보며 책상에 앉아 있던 딸을, 침대에 누워있던 나를 떠올리실 것이다. 이러나 저러나 허전한 우리 집. 그보다 더 허한 부모의 마음. 그렇게 각자의 집에서 자식은 부모를 부모는 자식을 생각한다.
늙고 커버린 두 관계가 각자의 방에서 서로를 생각할 때 그 마음은 공허하지 않다. 꽉 차 있다. 그걸 알아 한 달에 한 번 끝까지 서로의 손을 잡고 뒷모습을 붙들고 인사해 줄 수 있었다. 그 사랑으로 서로를 채워주며 자식은 바르게 클 수 있었고, 부모는 슬프지 않게 늙을 수 있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필자의 브런치(www.brunch.co.kr/hjl0520)에도 실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