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나를 붙잡은 말들'은 프리랜스 아나운서 임희정씨가 쓰는 '노동으로 나를 길러내신 아버지,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입니다.[편집자말] |
오랜만에 집에 가니 거실에 엄마가 혼자 앉아 있었다. 쪼그려 앉아 둥그렇게 말린 등, 고개를 푹 숙인 엄마의 뒷모습이 보였다. 딸이 온지도 모른 채 손에 든 무언가를 응시하며 나지막이 혼자 중얼거리고 있는 엄마. 나는 그 소리가 궁금해 일부러 숨죽여 다가가 들어보았다.
"신장...개...엄..."
"중아...요리"
"세이리..."
엄마는 중식당과 마트 전단을 응시하며 그 속에 보이는 단어들을 천천히 하나하나 읽고 계셨다. 신장개업, 중화요리, 세일. 특히나 받침이 있는 단어들을 헷갈리셨다. 눈을 찌푸리고 손으로 짚어가며 한 글자 한 글자씩 그렇게 애써 읽고 있었다.
"엄마 뭐해? 나 왔어!"
"오매. 왔어? 요 앞에 중국집 새로 생겼나 봐. 마트도 세이리 하네. 가 봐야 쓰겄다."
"엄마. 세이리 아니고 세일! ㄹ 받침이잖아. 세일이라고 해야지."
"세이리나 세일이나 그게 그거지 뭐."
나는 엄마가 스마트폰을 사용할 줄 모르는 것도, 혼자 대중교통을 잘 못 타는 것도, 돈 계산을 잘못하는 것도 괜찮다. 일흔을 바라보는 나이, 1950년대에 태어난 부모 세대의 많은 분들이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한다. 휴대폰이야 전화를 걸고 받을 줄만 알면 되고, 대중교통이야 내가 모시고 타면 되고, 나도 돈 계산을 잘못할 때가 있으니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가끔 이렇게 엄마가 한글을 잘 못 읽는 걸 마주할 때면 나는 엄마가 까마득한 옛날 사람 같다. 무언가 희미하고 막막한 느낌이 든다. 엄마가 다른 아주머니들보다 아주 먼 사람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때 엄마는 뿌듯했을까, 부끄러웠을까
내가 처음 글자를 배웠을 때가 생각난다. 엄마는 자신도 잘 모르는 한글을 어린 딸에게 알려주기 위해 안방과 냉장고 문 앞에 큼지막하게 '가'부터 '하'까지 써진 한글 공부 포스터를 붙여놓고 나에게 읽어보라 시켰다.
그렇게 나는 글자를 배웠고, 엄마는 그때부터 글자가 써진 종이들을 자주 내 앞에 내밀었다. 한글을 뗀 나는 알게 되었다. 엄마가 한글을 잘 모른다는 것을.
어느 날 무슨 마음이 일었는지 학교를 마치고 집에 돌아와 엄마를 붙잡고 '깍둑노트'를 꺼내 엄마 이름 석 자를 쓰고는 따라 써보라며 엄마에게 글자를 알려 주기도 했다. 그때는 무언가를 배울 때마다 엄마에게 모두 자랑하고 알려주고 칭찬받고 싶었다.
"조, 순, 덕. 이거 엄마 이름이야. 엄마도 써 봐!"
그렇게 엄마는 자기 이름 석 자를 쓰기 시작했다. 내 글씨보다 더 삐뚤빼뚤했던 엄마의 글씨. 어린 딸의 노트에 자신의 이름 세 글자를 연필로 꾹꾹 눌러썼던 그 시절 엄마의 마음은 뿌듯했을까, 부끄러웠을까.
초등학교를 겨우 졸업했다던 엄마는 한글을 배웠겠지만, 그 이후의 삶에 글자는 필요하지 않았기에 쓸모를 잃고 잊히고 까먹게 되었다. 평생 주부로 살아온 엄마에게는 무언가를 쓰고 읽는 일보다, 씻고 차리고 치우는 일이 더 많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한글은 엄마의 생에서 어정쩡하게 자리 잡은 채 많은 시간이 지났다. 가끔 엄마 손을 잡고 길거리를 걸을 때 눈에 보이는 간판들을 천천히 소리 내어 읽어보는 엄마의 모습을 보면, 어린 시절 처음 한글을 뗐을 때 눈에 띄는 모든 글자를 읽으려 했던 나의 모습이 겹쳐 보인다.
일흔을 앞둔 나이. 엄마는 가끔 문 앞에 붙어 있는 전단을 떼어 오랜 시간 공들여 읽는다. 그래서 신장개업, 중화요리, 세일 같은 단어들을 전단을 통해 배웠다. 여섯 살 나의 한글 공부 포스터는 예순아홉 엄마의 전단과 같은 걸까. 오랜만에 간 친정집에서 엄마가 공들여 전단을 보고 있는 모습을 보니 많은 생각이 스쳤다.
능숙하게 쓰고 읽을 줄 몰라도 엄마가 69년 평생을 누구보다 열심히 잘 살아왔다는 것을 내가 안다. 하지만 엄마가 글자를 알았다면 더 잘 살 수도 있었다는 것도 안다. 내가 보낸 문자도 읽었을 것이고, 길거리에 안내판과 표지판을 보고 차를 탈 수도 있었을 것이고, 티브이 속 뉴스도 더 많이 이해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만큼 삶의 반경을 넓혔을 것이고 어쩌면 평생 주부로 살지 않았을 수도 있을 것이다. 남편과 딸이 아니라 본인을 위해 쓰고 읽고 가꾸었다면 조금 다른 인생이 이어졌을지도 모른다.
그래도 엄마는 잘 살아갈 것이다
한때는 엄마가 한글 교실을 다니거나 집 근처 노인복지관의 수업을 듣기를 원했던 적도 있었다. 하지만 그때마다 엄마는 고개를 저으며 싫다고, 괜찮다고 하셨다. 그때는 그 모습이 속상했지만 이제 와 보니 꼭 그럴 일도 아니었다는 생각이 든다. 그건 엄마의 선택이고 나의 일방적인 생각이었을 수도 있다.
엄마는 웃으며 말한다. 이런 거 몰라도 잘만 살았다고. 맞다. 엄마는 잘 살아오셨고 또 잘 살아가실 것이다. 그러니 나도 엄마가 한글을 잘 모르는 것에 까마득해하지 않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 지내는 것에 감사해야 한다.
그저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엄마와 함께 전단을 살펴보고 공부하듯 마트 세일 품목과 중국집 메뉴를 읽어보며 그렇게 엄마의 삶에 우선순위로 필요한 단어들을 알려드리는 일 아닐까. 그것이 엄마의 생에 필요한 글자 같다. 내가 엄마의 삶을 재단하지 않고 이해하는 방법 같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필자의 브런치(www.brunch.co.kr/hjl0520)에도 실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