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로부터 붉은색은 통치권의 상징이었다. 선홍색 곤룡포에서 알 수 있듯이 왕족만 입을 수 있는 색이었다. 쉽사리 얻기 힘든 선명한 빨간색은 모든 색깔 가운데 으뜸이었다. 우리네 혼례에서 새색시는 얼굴과 이마에 선홍색 반점을 찍었다. 볼 양쪽에 바르는 붉은점을 연지라하고 이마에는 곤지를 붙였다. '연지 찍고 곤지 찍고' 라는 관용구는 시집 장가 간다는 뜻이다.

엉겅퀴와 비슷한 노랑색의 잇꽃(홍화, Carthamus tinctorius)을 따서 물에 넣어 색소를 녹여낸 다음 잿물에 담그면 빨개진다. 여기에 식초를 넣은 것이 연지이며 붉은색은 벽사의 뜻이다. 팥을 뿌리는 것도 나쁜 귀신을 물리치고자 했던 행위다. 붉은색을 만드는 천연 색소는 식물에서만 추출한 것이 아니었다.

깍지벌레(연지벌레)는 자홍색의 몸에 밀납 성분의 하얀 솜털을 입고 있다. 연지벌레를 으깨면 붉은 색소 카민(Carmine) 성분을 얻을 수 있다. 이 선홍색은 멕시코 아즈텍 문명에서 왕에게 진상하던 귀중한 물품이었다
 
짚신깍지벌레 암놈. 나무에 달라붙어 다리를 숨기면 나무 껍질과 잘 구분되지 않는다.
짚신깍지벌레 암놈.나무에 달라붙어 다리를 숨기면 나무 껍질과 잘 구분되지 않는다. ⓒ 이상헌
 
오늘날에는 깍지벌레를 말려서 분쇄후 가공해 딸기우유의 분홍색을 만든다. 아이스크림이나 게맛살, 소시지, 젤리 등 여러 식품에 첨가돼 먹음직스러운 빨강색을 구현하는 것이 바로 연지벌레의 코치닐(cochineal)이다. 최근에와서 음식물에는 코치닐을 첨가하지 않는 추세다.

WHO에 따르면 과다 복용시 알레르기와 같은 과민 반응을 일으킨다고 하기 때문이다. 그렇더라도 사람의 입맛은 잘 바뀌지 않으므로 글쓴이는 빨간색의 딸기 우유가 더 맛있게 느껴진다. 소젖을 자주 먹지는 않지만 가끔가다 달달한 것이 먹고플 때는 핑크색 딸기 우유를 고른다.

미국 독립 전쟁과 커피 문화를 만들다

진홍색의 코치닐 염료를 만드는 연지벌레(Dactylopius coccus)는 부채선인장에 모여 산다. 오래전부터 아즈텍인들은 깍지벌레를 으깨어 옷감을 염색했다. 1519년 에스파냐의 약탈자 에르난 코르테즈는 화려하게 치장된 아즈텍의 9대 황제 목테주마(Moctezuma)의 의상을 보고 완전히 넋을 잃고 말았다. 코르테즈는 깍지벌레를 스페인으로 보냈고 그 즉시 관련산업이 부흥하면서 대성공을 거둔다. 

1600년이 되자 코치닐은 멕시코의 주요 수출품 가운데 하나로 자리잡았으며 금과 은에 이어 세 번째 화폐가 됐다. 당시 패권을 장악한 스페인은 연지벌레 염료의 비밀을 철저히 숨겼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 숨겨진 베일이 벗겨지면서 미국 식민지 상인들은 멕시코에서 코치닐을 사들이려고 한다.

이 삼각 무역에서 영국 중간 상인들은 웃돈을 요구하며 갖은 횡포를 일삼는다. 불평등한 관세와 교역에 불만이 쌓여가던 중 '보스턴 차 사건'과 함께 코치닐 염료는 미국 독립 운동의 도화선이 됐다. 당시 대중들이 즐기던 차(tea)에 과중한 세금을 부과하자 보스턴 시민들이 차가 담긴 상자를 바다에 던져버리고 독립 투쟁에 나선다.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미국은 정책적으로 차를 멀리하고 대체 음료를 찾게 되는데 이때 커피가 급부상한다. 연지벌레에서 시작한 나비효과가 스타벅스로 이어져 커피 문화는 전 세계로 퍼져나간다.
 
짚신깍지벌레와 개미의 공생. 개미들이 짚신깍지벌레를 둘러싸고 감로수를 얻어 먹는다.
짚신깍지벌레와 개미의 공생.개미들이 짚신깍지벌레를 둘러싸고 감로수를 얻어 먹는다. ⓒ 이상헌
 
우리나라에도 여러 종류의 깍지벌레가 사는데 흥미롭게도 개미와 공생하는 짚신깍지벌레가 있다. 오뉴월 참나무를 비롯한 여러 나무에서 발견되는 흔한 녀석인데 암놈은 날개가 없어 날지 못한다. 나방 처럼 생긴 수컷이 날아와 짝짓기를 하며 암놈은 약 10mm 정도의 자색 몸에 밀가루를 뿌려 놓은 듯한 하얀 털로 덮여있다. 깍지벌레 중에서 이 정도 크기라면 헤비급에 해당한다. 

보통 사람들에게 개미와 진딧물의 기생은 잘 알려져있으나 짚신깍지벌레와의 공생은 잘 모를 것이다. 깍지벌레 주위에는 개미들이 마치 소를 몰듯 모인다. 더듬이로 깍지벌레를 두드리면 몸에서 단물을 내기 때문이다. 진딧물의 감로수처럼 짚신깍지벌레도 꿀물로 개미들의 보살핌을 받는다.

덧붙이는 글 | 해당 기사의 사진은 글쓴이의 초접사 사진집 <로봇 아닙니다. 곤충입니다>의 일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깍지벌레#코치닐#연지벌레#보스턴 차 사건#미국 독립 전쟁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