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30일 전북 순창군을 사진으로 기록한 책자 두 권이 발행됐다. 순창군에서 펴낸 <하늘에서 본 순창의 마을>(2020~2021)과 <잊혀져 가는 순창의 모습들2>(그리움 가득한 추억의 옛사진 淳昌)이 그것이다. 부제에서 알 수 있듯 한 권은 최근 2년의 순창 모습을 담은 사진 기록이고, 다른 한 권은 먼 기억 속에 흐릿하게 남아 있는 추억의 순창 모습을 새긴 사진 기록이다.
한 사람의 인생은 부모와 친구, 동료, 선후배 등 수많은 관계 속에서 존재의 기록을 남기듯, 묵직한 무게감을 주는 두 권의 사진책자에는 많은 사연이 얽혀 있을 터. '순창군청 사진 담당자'로 통하는 공보계 공무원 전은신씨를 만나 책 이야기를 듣고자 했다.
한사코 취재를 거부하던 전씨를 설득하는 일은 만만치 않았다. 지난 2일 오후, 전씨가 이전에 상사로 모셨던 강성일 전 순창읍장과 함께 한 자리에서 대화를 나눌 수 있었다.
위에 소개한 두 책은 2001년 당시 순창군청 기획실 강성일 정책개발담당과 조태봉 주무관 등이 192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순창 관련 사진을 추려서 발행한 '추억의 옛사진'에 뿌리를 두고 있다.
강성일 실장과 전은신씨를 이어준 '사진'
강성일 전 읍장과 전은신씨의 인연은 그로부터 10여 년이 흐른 뒤 '사진'으로 맺어졌다. 2011년 당시 강성일 기획실장은 전씨의 요청으로 2001년 발간된 옛 사진집을 증보해서 <잊혀져 가는 순창의 모습들1>을 펴냈다,
이 과정에 대해 전씨는 "2000년 당시에 사진집을 내자고 군청 부서 몇 곳에 제안했지만 거절당했었다"며 "그때 마지막이란 심정으로 무작정 강성일 실장님을 찾아가 요청 드렸는데, 흔쾌히 승낙하시고 예산을 책정해 주셨다"고 말했다.
강 전 읍장은 "그때 은신이와는 함께 일해 본 적은 없었지만, 주변에서 '은신이가 사진 찍으러 돌아다니느라 월급으로도 기름 값 충당이 안 된다'는 이야기를 들었었다"며 "부서장의 역할은 일 안 하는 사람은 일을 챙겨주되, 반대로 일 잘하는 사람은 방해하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회상했다.
강 전 읍장은 이어 "역사는 기록되어야 새 생명과 가치를 부여받을 수 있고, 조직과 고을은 누군가의 희생으로 성장한다"며 "콩나물에 물을 주듯 순창군의 사진 기록이 꾸준하게 이어지기를 당부했는데, 그 당부를 잊지 않은 은신이를 포함한 군청 공보계 직원들에게 감사하다"고 인사를 전했다.
강 전 읍장과 전씨는 대화 내내 기억의 덧칠에 대해 엄격하게 거리를 두려 했다. 자신의 지난날이 빛나 보이거나, 상대방의 공이 작아지는 것에 대해서 서로 경쟁하듯 선을 그었다. 단순히 전·현직 선·후배 공무원의 입장이 아닌, 서로가 서로를 분명하게 인정하는 분위기가 읽혔다.
"사진책은 땀방울로 만들어 낸 결실"
강 전 읍장은 "2011년 당시에 군청에서 사진 모집 공모를 실시했는데, 군민들께서 선뜻 사진을 보내주시지 않아서 은신이가 발로 뛰면서 가가호호 방문해 사진을 찾느라 고생을 정말 많이 했다"며 "책이 보시기에는 편할지 모르지만, 사진첩으로 된 책에는 정말 땀방울로 만들어 낸 결실이 담겼다"고 전씨를 추켜세웠다.
이에 전씨는 "그 때 책자 사진 설명을 강성일 실장님께서 당신만의 어투로 일일이 다 적으셨고, 편집은 조태봉 주무관님께서 도맡았었다"며 "저는 그저 사진만 찾아다 드리고 이후 과정은 모른다"며 강 전 읍장과 조태봉 현 행정과장에게 공을 돌렸다.
강 전 읍장은 "누군가 정성을 기울이고 미치지 않고는 나올 수 없는 소중한 책을 받고나서 정말이지 밤새 보면서 예전 순창 모습이 새록새록 떠올랐다"며 "이미 하늘로 가신 분들의 젊었을 때 모습을 볼 수 있는 건 아련한 추억이었다"며 책에 대한 감상을 전했다.
전씨는 "관리책임은 부서장이나 간부가 지는 것이므로, 책임지는 직책이 아니었던 저는 강성일 실장님을 믿고 아무런 방해도 받지 않고 제 할 일만 열심히 할 수 있었다"고 화답했다.
2022년 호랑이해다. 너무도 익숙한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속담이 있다. 거기에 하나만 더하자. 두 사람의 이름과 <하늘에서 본 순창의 마을>, <잊혀져 가는 순창의 모습들2> 책자가 함께 기억되기를.
덧붙이는 글 | 전북 순창군 주간신문 <열린순창> 1월 5일자에 보도된 내용을 수정, 보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