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웹드라마 <며느라기> 스틸컷
 웹드라마 <며느라기> 스틸컷
ⓒ 카카오tv

관련사진보기

  
캐나다인 손윗 시누이가 두 주 간 머물다 며칠 전 집으로 돌아갔다. 시누이는 시부모님이 안 계신 나의 현재 상황에서 유일한 시월드인 셈이니, 일부 주변에서는 그 말만 듣고도 부담감을 팍팍 느끼는 것 같았다. 주변 친구들은 이 얘길 듣고는 '시누이와 어떻게 열흘 넘게 함께 지내냐'는 걱정스러운 말들도 많이들 했다.

그런데 막상 당사자인 나는 아무런 부담감이 없었다. 남편이 자기 누나를 어떤 마음으로 초대했는지 알기에, 그저 같이 있는 시간 동안 최대한 다정하게 잘해드리고 싶을 뿐이었다.

왜 나는 시누이가 힘들지 않았을까? 생각해보니 그건 내가 천사처럼 착해서 그런 것은 아니었다. 결론만 말하면, 그분이 나를 전혀 힘들게 만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시누이라는 관계, 시댁을 힘들게 느끼지 않으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생각해 보면 나는 남동생 아내인 올케랑도 사이가 좋다. 서로 서슴지 않고 많은 이야기를 나누는 편이다. 올케 입장도 정말 그런지 당신이 어떻게 아느냐고 묻는다면, 글쎄, 그 마음 속에 들어가 보지 않았으니 뭐라 장담할 수는 없다. 다만 먼저 스스럼 없이 연락하고 자진해서 우리 집으로 놀러 와 편하게 자고 가는 올케라면, 어쨌든 크게 부담은 없는 듯 보이지 않는가?

형제간 생일 선물 '원천 금지'한 이유

우리는 삼남매인데, 각기 결혼하면서부터 형제간의 생일 선물을 금지했다. 내가 맏이이기 때문에 그렇게 하자고 고집을 부렸다. 부모님의 생신은 챙기되, 형제간의 생일은 말로만 때우며 축하한다는 원칙을 세운 것이다. 이유는 간단했다. 

한국의 정서상, 올케의 입장에서 시집 식구들의 선물을 사는 것은 엄청 부담스럽고 스트레스받는 일일 것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선물을 받아도 마찬가지다. 센 것을 받으면 그만큼 갚아야 한다는 부담감이 생기고, 약한 것을 받으면 무시당했다는 생각이 들기 쉽다. 우리는 농담 삼아 이걸 '선물 고문'이라고 부르곤 한다. 선물을 고르고 주는 일이 즐거워야 하는데 서로에게 스트레스를 준다면, 이게 고문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어느 사회이든 새로 입장한 사람은 새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스트레스를 어느 정도 받을 수밖에 없다. 스리슬쩍 다른 이들 눈치도 보고, 자신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신경 쓰게 된다. 하물며 결혼해서 모든 멤버가 다 이미 가족인 곳에 새로 들어온다면, 그곳에서의 행동은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그런 상황에서 자신의 행동이 어떤 기준을 통해 하나하나 평가를 받는다면 얼마나 어렵겠는가. 무슨 행동 하나를 해도 그것이 관찰 대상이 되고, 그것을 기준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행위까지 이어지면 숨통이 막힌다. 만약 엉뚱한 일로 트집이라도 잡히게 되면, 자연스레 그 곳엔 가기가 싫어진다. 

소위 '시월드 노릇'이라고 하는 것은, 집안에 들어온 새 식구를 어떤 '용도'를 정해놓고 관찰한다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뭔가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올케가 우리 엄마에게 잘할까? 며느리가 내 아들에게 잘할까? 제사 때는 꼬박꼬박 와서 일을 부지런히 하려나? 행여나 용도에 모자라지는 않을지 도끼눈을 뜨고 바라본다면, 시월드에 가는 것은 당사자로서는 불편할 수밖에 없다. 

시댁 식구와 눈치 보지 않는 법

반면 나는 시누이와 함께 있는 어떤 상황에서도 눈치를 볼 필요가 없다. 그는 어떤 기준으로 나를 판단하지 않으니까, 그걸 내가 알고 있으니까. 그 분에게 있어 내가 무엇을 하든, 내 행동은 그냥 내가 그런 사람이라는 뜻일 뿐, 아무런 다른 이유가 없다. 내게 바라는 것이 있다면, 당신 동생과 내가 서로 사랑하며 사는 것일 뿐이다. 

나 또한 시누이 집에 가더라도 피곤하면 낮잠도 자고, 더우면 끈나시를 입고, 먹고 싶지 않은 음식은 먹지 않아도 된다. 형님이 우리 집에 오셔도 마찬가지다. 누구든 우리 집에 오는 손님은 모두 마찬가지인 것처럼, 아침은 준비해 놓은 것들로 혼자 알아서 꺼내 먹는다. 점심과 저녁은 같이 차려먹지만, 시누이라고 해서 그냥 앉아서 받아먹는 것이 아니라 끼니마다 함께 차리고 함께 치운다. 
 
막걸리를 빚고, 골뱅이 무침과 해물파전, 김치전을 부쳐서 주점 메뉴도 선보였다
 막걸리를 빚고, 골뱅이 무침과 해물파전, 김치전을 부쳐서 주점 메뉴도 선보였다
ⓒ 김정아

관련사진보기

 
나라의 반대편 끝에서 혼자 사는 나의 시누이, 캐나다인 시누이는 나에게 그래서 더 잘 해주고 싶은 사람이다. 한국의 음식도 맛보게 해주고 싶고, 우리가 당신을 사랑하고 있다는 기분을 많이 느끼게 해주고 싶었다. 그래서 오기 전부터 매일의 식단을 미리 짜고, 만난 뒤에는 거의 매일 매일 새로운 음식을 대접했다. 

집안일이 즐거울 사람은 아무도 없다. 사실 시집과의 불편함은 단지 전 부치는 일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인간적인 대우보다는 어떻게 활용할까를 먼저 생각하는 모습에서 지치고, 하나하나의 행동에 지적과 판단과 조언(!)이 따라 나온다면 거기서 또 지치게 된다. 듣기 싫은 소리를 안 들으려고 눈치를 보며 애쓰다 보면 완전 녹다운, 지쳐 나가 떨어지게 된다.

서로를 용도로 생각하지 않고, 소중한 가족으로 인정하고, 또 한 인간으로 존중한다면 시집을 불편하게 여기는 마음은 어느 정도 사라질 수 있지 않을까? 그렇게 되면 정말 진심으로 서로에게 든든한 가족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내가 올케를 친동생 같은 마음으로 느끼는 것처럼 말이다.

덧붙이는 글 | 기자의 브런치에도 비슷한 글이 실립니다.


태그:#시집살이, #시월드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캐나다에 거주하며, 많이 사랑하고, 때론 많이 무모한 황혼 청춘을 살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