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사는이야기 담당 편집기자로 일하며 더 좋은 제목이 없을까 매일 고민합니다. '우리들의 삶'을 더 돋보이게 하고, 글 쓰는 사람들이 편집기자의 도움 없이도 '죽이는 제목'을 뽑을 수 있도록 사심 담아 쓰는 본격 제목 에세이. [편집자말]
몇 년 전 '책표지의 속사정'이라는 시리즈 글을 쓴 적 있다. 한눈에 봐도 내용이 연상되는 책 표지가 있는가 하면, 유추하기 어렵거나 뭔가 더 궁금해지는 책 표지가 있었다. 그런 경우엔 편집자에게 직접 연락을 취해 묻곤 했다. 그때마다 묻지 않았으면 서운할 법한 이야기가 많았다. 

시인 박준 산문집 <운다고 달라지는 일은 아무것도 없겠지만>이 그랬다. 출판사 난다 김민정 편집자에게 전화를 걸어 묻지 않으면 알 수 없는 이야기를 들었다.

'박준 시인이 산문 초고를 보내와 읽었을 때 제목이 바로 나왔고, 이 그림이 바로 떠올랐다'는 것, '그림 사용료를 받지 않는 대신 박준 시인의 시집과 제 시집을 세 권 보내달라고 해서, 보답의 마음으로 그의 그림을 구입해 (편집자가) 소장하고 있다는 것', '눈코입이 없는 게 아니라 눈물로 지워져 가려졌을 만큼 삶이란 건 설명할 수 없는 슬픔(이라고 생각한다)' 등등.

책 표지 디자인은 '디자이너의 독후감'
 
 <공정감각> 겉표지
<공정감각> 겉표지 ⓒ 문예출판사
 
그런데 최근 궁금한 책 표지가 또 생겼다. <공정감각>이란 책이다. 이 책은 내용 설명이 좀 필요한데 출간 배경은 이렇다.

2022년 5월 연세대 한 재학생이 청소노동자들의 집회 소음이 수업권을 침해한다며 청소 노동자들을 업무방해 혐의로 경찰에 고소한 일이 알려졌다. 6월에도 이 학교 학생이 청소노동자들에게 정신적 피해를 입었다며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같은 대학 나임윤경 교수의 '사회문제와 공정' 강의계획서가 알려진 것은 그즈음. 당시 그는 인터뷰에서 "일부 학생들의 공정 감각이 유독 사회나 정부 등 기득권이 아닌 불공정을 감내해 온 약자를 향하고 있다"고 일갈했다(관련기사 : "학생들 청소노동자 고발, 부끄럽다"...수업계획서로 일침 놓은 연대 교수). <공정감각>은 이 나임윤경 교수와 그의 수업 '사회문제와 공정'을 들은 수강생 13인의 글을 엮어 나온 책이다.

다시 표지를 보자. '사회문제와 공정'이란 수업 분위기와 이 말랑말랑한 느낌의 표지가 어울리나? 나는 모르겠다. 봐도 봐도 의아하다. 비슷한 인문학책의 분위기랑은 달라도 많이 다르다. 가까이서 자세히 봐도 그렇다. 이 책의 편집자인 이효미씨에게 물었다. 왜 이렇게 한 겁니까. 

"제가 듣기로 디자이너의 의도는, 막혀 있다가 터져 나오는 (필자들의) 말들을 연상했다고 해요. 편집자인 제가 생각할 때는 '공정'이나 '잣대' 하면 왠지 딱딱하고 잘 재단된 반듯한 심상이 떠오르기 마련인데 이 책은 새로운 공정 '감각'을 제안한다는 면에서 부드럽고 폭신폭신한 표지 이미지도 잘 어울린다고 생각했어요."

아, 그제야 의도가 이해가 간다. 이 편집자는 저자들에게도 표지를 설명하면서 "책 표지 디자인은 '디자이너의 독후감'이라는 말이 있대요, 그 결과가 이 표지고요"라고 말해줬다고. 젊은 감각의 저자들이어서 그런지 의외로 반응이 좋았다면서 '생각지도 못했던 독후감인데, 매우 좋은 의미에서 새롭고 독특한 시도'라는 말을 들었다고 전했다.

책 표지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려고 했는데 '책 표지 디자인은 디자이너의 독후감'이란 말에 그만 꽂혀버렸다. 제목을 뽑는 나의 일에도 이입되었다. 책 표지 디자인이 '디자이너의 독후감'이라면, 제목은 편집기자의 독후감이 아니겠나 싶어서.

제목에 별명을 지어준다면
 
 제목에 관해 최근에 들은 인상적인 표현은 '독자에게 제목은 집의 창문 같다'는 말이었다.
제목에 관해 최근에 들은 인상적인 표현은 '독자에게 제목은 집의 창문 같다'는 말이었다. ⓒ elements
 
지난 2월 말부터 '제목의 이해'를 쓰는 동안 제목에 대한 독자의 생각을 엿볼 기회가 더러 있었다(주로 댓글을 통해).

'제목은 (글의) 첫인상'이라든가, '책은 제목이 50%다'라든가. 가장 최근에 들은 인상적인 표현은 '독자에게 제목은 집의 창문 같다'는 말이었다. '그 뒤에 뭐가 있을까, 나랑 잘 맞는 공간일까 탐색하게 된다'면서. 그럴듯한 비유였다.

박연준 시인은 책 <쓰는 기분>에서 말한 바 있다. '유머와 메타포를 자주 사용하는 사람은 분명 매력적'이라고, '잘만 사용한다면 메타포는 사람의 마음을 휘어잡을 수 있다'면서. 그분은 알까. '제목은 집의 창문 같다'는 말로 단번에 나를 사로잡은 것을. 시인은 또 이렇게 덧붙였다. 
 
메타포는 세상의 별명을 지어주는 일입니다. 대단한 능력이 필요한 일이 아닙니다. 놀이지요. 끝내주는 메타포를 찾아내 사용한 사람은 독점권이 생깁니다.

별명을 지어주는 일을 그저 말놀이가 아닌 '독점권'을 갖는 거라고 쓰다니.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된 그'만큼이나 근사한 표현이었다. 돌아보니 그동안 나도 썼다. '제목은 안테나'라고. 독자에게 수신이 잘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쓰는 것이기에. 또 '제목은 소통'이라고. 잘 뽑은 제목은 글쓴이와 독자 모두에게 공감을 사기 때문에. 여기에 별명을 하나 더 추가하고 싶다. '제목은 쇼윈도'라고.

쇼윈도가 어떤 곳인가. 디자이너가 공들여 만든 최신 디자인의 제품을 가장 먼저 소비자에게 선보이는 곳이다. 여기는 이런 옷이나 구두를 판매하는 곳이구나, 각인시키는 것과 동시에 그곳을 지나가는 사람들이 한번 입어볼까 혹은 신어볼까 하는 마음으로 가게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오게 하는 것이 쇼윈도의 역할이다.

글의 제목도 그렇잖나. 나의 경우, 기자들이 공들여 쓴 글을 뉴스 가치에 따라 배치한다. 매장으로 치면 쇼윈도에 내놓을 제품을 선별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타깃 소비자에 따라 상품의 진열이 달라지듯, 타깃 독자에 따라 기사 선별을 다양하게 할 수도 있다.

쇼윈도가 손님의 마음을 움직여 문을 열고 가게 안으로 들어오게 하는 것처럼 제목은 독자의 마음을 움직여 본문에 조금이라도 체류하는 시간을 늘리고자 한다. 공유까지 한다면 더할 나위 없겠고. 10초 만에 이탈할지 알 수 없지만 적어도 제목이 글을 '읽게는' 하는 거다. 그래서 내용만큼이나 제목이 중요하다고 하는 거겠지.

그 별명에 관심 있습니다

또 뭐가 없을까. 제목에 대한 여러가지 별명을 생각하던 중 열세 살 아이가 아이패드로 그림을 그려도 되냐며 방으로 들어왔다. 기회를 놓칠세라 물었다. 

"넌 제목이 뭐라고 생각하니?"
"말해주면 하게 해줄 거야?"

"(끄응) 그런 건 아닌데, 네 생각이 궁금해서... 제목에 별명을 지어준다면 뭐라고 하고 싶어?"
"글쎄 별명은 모르겠고... '제목은 관심'이지."

"(오!) 왜 그렇게 생각했어?"
"사람들이 제목을 보고 그 글에 대해 관심을 갖잖아. 그래서 '제목은 관심'이야... 이제 됐지? 나 아이패드 쓴다."


여운을 즐길 새도 없이 문 닫고 가버리는 아이의 뒤통수를 보며 생각한다. 세상에... 그 독점권 우리 집 어린이에게도 있었네. 물론 세상에 대고 '제목은 OOO'이라는 말의 독점권을 주장할 일이 딱히 있겠냐마는 독점권이 있는 자와 없는 자가 보는 세상을 바라보는 태도는 조금 다를 것 같다.

일도 그런 게 있지 않나. 얼마 전 tvN 예능 <유퀴즈 온 더 블럭>에서 L타워 외벽을 청소하는 분들이 나와 이런 말을 하셨다.

"저희 부모님도 그러세요. 이런 거 말고 안전한 일 했으면 좋겠다고 그런 이야기 많이 하시는데, 이 L타워가 아무리 강한 바람이 불고 비를 하루 종일 맞아도 사람의 손을 타지 않으면 깨끗하지 않거든요. 많은 사람들이 대한민국의 랜드마크를 봤을 때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다, 우리의 일이라고 생각하면 굉장히 자부심이 생깁니다."

이런 생각을 갖고 일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일은 다를 수밖에 없지 않을까. 그의 말처럼 내 일은 '우리만 할 수 있는 일이다'라고 생각하면, 그런 자부심이 있다면, 어떤 어려움도 견뎌볼 만할 것 같다.

여러분은 제목에 대해 어떤 별명을 지어주고 싶은가요? 그 별명에 제가 완전 '관심' 있습니다.

#제목의 이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편집기자. <이런 제목 어때요?> <아직은 좋아서 하는 편집> 저자, <이런 질문, 해도 되나요?> 공저, 그림책 에세이 <짬짬이 육아> 저자.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