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관이 있는 작품은 독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그렇다면 세계관은 무엇일까. 세계관은 한마디로 말해 독특한 이야기가 가능한 세계다.
예를 들어 악당과 싸우는 슈퍼맨과 배트맨은 현실에서 존재하지 않지만, 이 이야기가 가능한 세계에서는 환상이더라도 실제의 이야기가 된다. 라캉의 이론을 빌려오자면 특정한 세계가 각기 다른 언어의 상징계를 형성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그래서 독특한 세계관을 가진 작품을 만나면 진입하기 전에 작품에 숨겨진 세계를 탐닉할 필요가 있다. 이 작품의 세계관이 어떤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구성이 무엇을 담아내기 위해 애쓰고 있는지 작가의 의도를 따지는 것은 즐거운 놀이이다.
이경탁이 글을 쓰고, 노미영이 작화를 담당한 〈심해수〉(2018. 03. 12.~2022. 04. 01.)도 이런 작품이다. 그렇다면 〈심해수〉의 세계관은 무엇일까.
"바다가 뒤덮이며 육지가 사라진 지구. 번영했던 문명은 수몰되고 인류는 쇠퇴했다. 그러나 바다는 다시 풍요로워졌다.
인류는 화려한 문명을 이룩했었지, 하지만 얼음 유성이 다가오는 걸 막을 수는 없었어, 달과 충돌한 유성 얼음 파편들 때문에 70년간 지구에 비가 오면서 해수면이 무지막지하게 높아지기 시작했지. 지구 수몰이 가속화 되자 사람들은 배를 이어 붙이기 시작했고, 언젠가 고향으로 돌아올 거라는 희망을 담아 '유니온 부산'이라고 불렀다."
〈심해수〉의 세계관은 이처럼 육지가 사라진 지구의 모습을 다룬다. 그런데 상상해 보자. 육지가 없는 삶이 가능할까. 육지가 없다면 인류는 어떤 방식으로 살아가야 할까.
이런 생각이 자연스럽게 따라온다. 수많은 인종이 땅을 밟으며 현재도 삶을 이어나간다는 점에서 〈심해수〉의 세계관은 현실에서 만날 수 없는 세계이니 기발해 보이기도 한다. 물론, 육지가 없는 인류의 세계관은 낯선 것이 아니다.
오래전 케빈 레이놀즈 감독의 영화 〈워터월드(Water world)〉(1995)도 이런 세계관을 품고 있었다. 지구 전체가 물로 가득 채워진 세계에서, 영화 속 인물은 생존을 위해 발버둥 치는 내용이 그것이다.
이렇게 따져보면 〈심해수〉의 세계관은 낯설지 않다. 결국, 먹고 살아남으려는 인간의 비정한 마음을 비유의 형식으로 담아놓았다는 점에서 '형식'의 변주 이상으로 느껴지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심해수〉가 의미 없는 것은 아니다.
이 작품은 '만화'의 형식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영화와는 차별성을 지니고 있고, 4년 정도의 꽤 긴 시간 동안 독자들에게 꾸준히 매력을 어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무엇보다도 〈심해수〉는 화려한 액션이 인상적이다.
수몰된 인류의 문명, 그 다음
독자들은 갑자기 무슨 이유로 '액션'이 나오냐고 반문할 수 있으나, 여기 세계관에 따르면 이해가 간다. "100년 전 얼음 유성이 지구에 파편들을 쏟아내며 비가 오던 그때," 불온한 물질이 지구에 떨어졌고, 이 물질로 인해 물고기들이 무시무시한 '괴물'이 되었으며 인간은 이 괴물들과 싸워야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작품은 오염된 괴물 물고기와 바다에서 삶을 살아가야 했던 인간과의 싸움 이야기인 것이다. 그러니 자연스럽게 '액션'이 부각된다. 그리고 이 액션을 지켜보는 독자들은 〈심해수〉를 손에서 놓을 수 없다.
이 작품에서 눈여겨볼 또 하나는 '난민(難民)'에 대한 내용이다. 난민은 국어사전에 "전쟁이나 재난 따위를 당하여 곤경에 빠진" 사람들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심해수〉 또한 마찬가지다. 이 작품의 세계관에서는 70년 이상 쉬지 않고 내린 폭우로 인해, 인간이 힘겹게 육지가 아닌 바다에서 살아간다. 살아갈 곳이 넉넉하지 않으니 자연스럽게 투쟁하게 된다. 인간이 서 있어야 할 땅이 비좁으니 치열하게 다툰다.
하지만 투쟁이 어찌 공평하기만 하겠는가. 운 좋게 먼저 자리를 차지한 사람들은 편한 삶을 지속하기 위해 이기적으로 변한다. 난민들을 도구로 활용하기도 한다. 그래서 갈 곳이 없는 난민은 비굴하게 의지하거나 이용당하게 된다. 즉, 이 작품은 "진짜 괴물은 바로 너야"로 귀결된다고 의미부여를 해도 이상하지 않다.
여기서 '바로 너'는 괴물인 심해수가 아니라, 바로 우리 곁에 있는 '인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독자들은 〈심해수〉를 읽는 과정에서 만화적인 놀이와 즐거움을 탐닉하는 것은 물론, 인간의 비굴한 모습마저도 경험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장점으로 인해 다른 많은 독자들 또한 이 작품을 추천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이경탁과 노미영의 〈심해수〉는 여러 좋은 의미에서 '만화적인 만화'라고 볼 수 있겠다.
덧붙이는 글 | 문종필은 평론가이며 지은 책으로 문학평론집 〈싸움〉(2022)이 있습니다. 이 평론집으로 2023년 5회 [죽비 문화 多 평론상]을 수상했습니다. 그밖에 한국만화영상진흥원에서 주최하는 대한민국만화평론 공모전 수상집에 「그래픽 노블의 역습」(2021)과 「좋은 곳」(2022)과 「무제」(2023)를 발표하면서 만화평론을 시작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