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조선일보> 26일자 김광일 기자의 '조선데스크' 칼럼
<조선일보> 26일자 김광일 기자의 '조선데스크' 칼럼 ⓒ 조선일보 PDF
"문단에 대한 조선일보의 아귀 힘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문학상 거부 칼럼은 독자 자유를 억압하는 작가의 '아귀의 힘'이 될 수 있다."


소설가이자 <한국일보> 논설위원인 고종석씨의 동인문학상 거부 선언이 주최측 <조선일보>와의 지면공방으로 번지고 있다.

언론계의 대표적인 안티조선 논객인 고종석 <한국일보> 논설위원이 자사 칼럼에서 동인문학상을 공개적으로 거부하자, 김광일 <조선일보> 기자가 지면을 통해 고 위원을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문인들의 동인문학상 거부와 관련해 조선일보가 공개적으로 입장을 표명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2000년과 2001년에도 소설가 황석영씨와 공선옥씨가 각각 동인문학상 후보를 거부했지만 조선일보는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김 기자는 지난 26일 '조선데스크' 칼럼에 <동인문학상 '조롱한' 고종석씨에게>를 싣고 "의견개진 수준을 넘어 문학상 후보단계의 토론 자체를 거부하는 칼럼은 독자의 근원적인 자유를 억압하는 작가의 '아귀의 힘'이 될 수 있다"고 반박했다. 이는 "(동인문학상이) 한국문단에 대한 조선일보의 아귀 힘을 강화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말한 고 위원의 비판적인 표현을 빗댄 것이다.

또 김 기자는 고 위원의 '조선일보가 조롱했다'는 해석에 대해 "조선일보와 동인문학상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밝혀온 인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심사위원들 판단을 존중하고 그 결과를 기사화할 뿐"이라며 "그가 동인문학상을 비판하는 것과 심사위원들이 그의 문학적 성취를 평가하는 것은 별개"라고 반박했다.

고 위원은 지난 25일 한국일보에 '이런 생각-동인문학상 생각' 칼럼을 싣고 동인문학상 후보 거부를 선언했다. 이는 현직 논설위원이 다른 신문사의 문학상을 거부했다는 것 뿐 아니라, '조선일보 반대' 차원에서 거부했다는 점 때문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주류신문사 소속 중견 언론인이 지면을 통해 공개적으로 안티조선을 확인한 방식도 이례적이었다.

고종석 위원, 김광일 기자 실명 언급

고 위원은 해당 칼럼에서 "작품 됨됨이로 보나 조선일보에 대해 취해온 입장으로 보나 도저히 이 상의 수상자가 될 수 없는 사람의 이름을 거론하고 그 얼굴을 지면에 실은 데 대해 조선일보 쪽에 유감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한 바 있다.

고 위원은 "비판해온 문학상 후보에 오른 것을 알면서도 모른 체하고 있는 꼴은 얼마나 우스울 것인가, 결국 조선일보 지면은 나를 조롱한 셈"이라며 "이 상과 관련해 내 이름이 거론되기를 바라지 않는다는 뜻을 정중히 전하고 싶다"고 밝혔다.

고 위원은 또 칼럼에서 김 기자를 실명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고 위원은 "김광일 기자의 이름을 단 그 기사의 호의적 분위기는 겁없이 덜컥 내놓고 부끄러워하고 있는 소설집에 대해 심사위원들이 격려차 건넨 의례적 덕담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심사 독회에서 나온 쓴소리들을 선의로 생략해버렸을 김 기자의 배려 때문이기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
기사
[24일 보도] 고종석 <한국> 논설위원, 동인문학상 후보 거부

<한국일보> 25일자 고종석 논설위원의 '이런 생각' 칼럼
<한국일보> 25일자 고종석 논설위원의 '이런 생각' 칼럼 ⓒ 한국일보 PDF

<조선> 기자 "동인문학상 비판과 문학적 평가는 별개"

김 기자는 이와 관련 "(고씨 칼럼을 접한 뒤) 동인문학상 개편 때부터 관여해온 문학담당 기자로서 그에게 몇가지 묻지 않을 수 없게 됐다"고 입장을 밝히게 된 배경을 덧붙였다.

그는 "고 위원은 조선일보가 동인문학상 관련 기사를 통해 자신을 '조롱했다'고 썼다, 그는 그리고 '나는 이 상과 관련해 내 이름이 거론되기를 바라지 않는다는 뜻을 정중히 전하고 싶다'며 '후보 거부의사’를 밝혔다"고 운을 뗐다. 그는 고 위원이 동인문학상을 비판하는 이유로 든 △심사위원 종신제 △상금인상 △심사독회 기사화 등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우선 그는 "300개에 달하는 문학상을 갖고 있고 무수한 성향의 다양한 작가군이 엄존하는 한국 문단이 동인문학상의 종신제·상금인상·월례독회 만으로 장악될 수 있다고 보는가"라며 되물었다.

그는 "조선일보가 2000년 이 상을 개편할 때 적지않은 출판수익이 보장되는 '수상작품집' 출간을 포기하고 연간 억대의 예산 지출을 감수하기로 한 것은 한국문학 활성화의 순수한 의지에서 비롯됐다"고 답했다.

다음으로 그는 "비평가를 포함한 독자 집단이 작품의 내용과 질을 토론하거나, 올해의 작품으로 뽑거나, 수상 후보로 올리는 일련의 문학적 향유와 수용행위에 대해 작가는 어디까지 개입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듣고 싶다"고 따졌다. 마지막으로 그는 "문학상과 그 상을 운영하는 언론을 동일체로 보는 정치적인 시각이 어디서 비롯됐는지 궁금하다"고 물었다.

그는 "신문사가 문학상을 '운영'한다고 할 때 그 실체의 대부분은 재정지원에 그치고 있을 뿐 심사과정에는 아무런 영향력도 행사하지 않으며 할 수도 없다"며 "누가 나를 싫어한다고 심사위원들에게 '저 사람 안됩니다'라고 주문한다면 그 상의 공정성과 권위는 무엇이 되겠는가"라고 덧붙였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민주언론운동협의회(현 민언련) 사무차장, 미디어오늘 차장, 오마이뉴스 사회부장 역임. 참여정부 청와대 홍보수석실 행정관을 거쳐 현재 노무현재단 홍보출판부장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