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가슴에는 리본을 달고, 비정규직 차별철폐를 알리는 풍선을 불고 있다
가슴에는 리본을 달고, 비정규직 차별철폐를 알리는 풍선을 불고 있다 ⓒ 이경숙
지난 21일은 경북대학 축제 마지막 날이었다. 학교 곳곳에 주막이 펼쳐졌고 동아리의 흥겨운 공연, 지역민과 함께 하는 노래자랑으로 학교는 술렁이고 있었다. 그 축제 마당에서 사흘 동안 즐거운 투쟁을 펼친 이들이 있었는데, 그들이 이른바 '시간강사'들이다. 가슴에는 "비정규직 차별철폐 교육환경 개선"을 선언하는 노란 리본을 달고, 손에는 색색의 풍선을 들고 축제 마당을 누볐다.

시간강사! 그들의 삶은 이미 세상에 알려진 대로, 교수들과 똑같이 가르치는 일을 하면서도, 월 평균 임금이 56만원으로 기초적인 생활도 어려운 편이다. 더구나 일년 중 다섯 달은 한푼의 임금도 없이 긴 방학을 버텨야 하고, 해마다 3월이나 9월이 되면 보릿고개에 허덕인다. 방학 동안은 이리저리 견디지만, 막상 3월과 9월에 개강하면 이 학교 저 학교로 이동하는 엄청난 차비며 수업을 준비하기 위한 교재비, 복사비에 시달린다. 60년대나 있었다던 그 보릿고개를 2004년도에도 '시간강사'들은 여전히 겪는다.

방학마다 다음 학기 강의가 돌아올지 아닐지 노심초사한다. 학교의 연락을 기다리다 연락이 오면 다행이고, 그렇지 않고 두세달 동안 아무 연락이 없다면 그 학교에서 몇 년을 강의했든, 강의를 얼마나 잘 했든, 강의 준비를 마쳤든 말든 강의는 없다. 학교는 어떤 이유로 강의가 없어졌는지 전혀 설명하지도 연락하지도 않는다.

불안한 시간을 견뎌 강의를 시작해도 가르치는 일은 험난한 길이다. 요즘 중고등학교에 가면 어느 교실에나 설치되어 있는 시설이 오히려 대학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영상 시설이 갖추어진 강의실도 별로 없고, 중고등학교에는 40명도 많다고 하는 수업에 100명 수강이 예사이다.

대학이 서열화되고, 그 대학 출신이 어떤 사회적 지위를 차지했느냐가 대학의 명예와 실력이 되어버린 사회에서는 아무도 대학의 교육 환경을 걱정하지 않는다. 그저 어떤 대학을 졸업했냐가 중요하지 그 대학에서 어떤 교육을 제공하느냐는 중요치 않다. 빽빽한 수강 인원, 선택할 여지가 별로 없는 한정된 교양과목, 칠판과 백묵이 있고 의자만 잔뜩 가져다 놓으면 되는 강의실, 그러면서도 가르치는 사람과 배우는 사람만 다그치는 교육이 대학교육의 현실이다.

학생들과 함께 풍선을 불고 있다
학생들과 함께 풍선을 불고 있다 ⓒ 이경숙
경북대학교 '시간강사'들은 2003년 9월에 한국비정규직교수노동조합 경북대 분회를 결성했다. "교수노동조합이라고? 결국 너희들도 교수가 되고 싶은 거 아니냐"는 비아냥을 때로 듣지만, 이는 따지고 보면 우리 사회의 교수가 특정 권력이 되어 버린 실태를 비판하는 말일 것이다.

하지만 시간강사들이 겁도 없이 '교수노동조합'이라고 이름을 단 까닭은 가르치는 '노동의 동일성'을 말하려는 의도,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교수란 특권이 아니라, 가르치는 직업을 일컫는 말이고, 강사들 역시 열성을 다해 강의 준비하고, 수업하고, 학생들과 논의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다.

다만 그들은 '비정규직'일 뿐이다. 60%에 달하는 우리 사회의 비정규직처럼 그들도 비정규직이며, 다른 비정규직들처럼 부당한 대접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비정규직 교수'라는 말은 동일한 노동을 하지만 부당한 대접을 받고 있는 현실을 나타내는 적절한 표현이다.

어느 한 비정규직 교수가 자살하자 한동안 세상은 때로는 가진 자들의 투정인 양 힐난하고 때로는 교육자의 정당한 목소리인 양 그들을 염려하였지만, 달라진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그리고 비정규직 교수들은 뭉치기 시작했다. 비정규직 차별 철폐와 교육환경 개선을 주요한 내용으로, 영남대학, 경북대학, 대구대학, 전남대학 등 여러 대학에서 노동조합이 결성되었다.

경북대학 비정규직 교수들은 강사제도의 문제점을 교내 대자보와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계속 알려 왔다. 수업 시간에는 "비정규직 차별철폐 교육환경 개선" 리본을 달고 강의했고, 축제 때는 학생들과 함께 풍선도 불고 걷기 대회도 했다.

비정규직 교수노동조합 경북대 분회, 즐거운 투쟁을 하다
비정규직 교수노동조합 경북대 분회, 즐거운 투쟁을 하다 ⓒ 이경숙
'대학 안의 유령'이라 불리는 비정규직 교수들. 대학에서 분명 강의를 하고 있으나 어디에도 발 붙일 곳 없이 떠돌고 있는 그들의 삶. 하지만 더 이상 그들은 유령이길 거부한다. 브라질 대통령 룰라가 대통령 선거 때 말했듯이, 그리고 이번 총선에서 민주노동당이 말했듯이, 세상 모든 사람들은 행복해지길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차별 때문에 불행하다면 몇몇 행복한 사람들 편에 끼어들려고 하기 보다 세상 전체가 행복해지도록 정당한 목소리를 내고 투쟁해서 모두가 행복해져야 한다. 특히 교육은 더욱 그러해야 하며, 파울로 프레이리의 말처럼 그럴 때 교육이 세상의 희망이 될 수 있다. 경북대 비정규직 교수들, 그들도 행복해지기 위한 즐거운 투쟁을 시작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