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창포물로 머리는 감는 행사
창포물로 머리는 감는 행사 ⓒ 국립민속박물관
단오는 단오절, 단옷날, 천중절(天中節), 포절(蒲節:창포의 날), 단양(端陽), 중오절(重午節, 重五節)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우리말로는 수릿날이라고 한다. 단오의 '단(端)'자는 첫번째를 뜻하고, '오(午)'는 다섯의 뜻으로 단오는 '초닷새'를 뜻한다.

중오는 오(五)의 수가 겹치는 5월 5일을 뜻하는 것으로 양기가 왕성한 날이라고 생각한다. 음양사상(陰陽思想)에 따르면 홀수를 '양(陽)의 수' 라 하고, 짝수를 '음(陰)의 수' 라 하는데 이 중 '양의 수'를 길수(吉數:좋은 수)로 여겼다. 그래서 이 양의 수가 중복된 날은 명절로 지내는데 설(1월 1일)·삼짇날(3월 3일)·칠석(7월 7일)·중구(9월 9일) 등이 있다.

조선 후기에 펴낸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보면 우리말 이름 수릿날은 이 날 수레바퀴모양의 쑥떡을 해 먹기 때문에 '수리'가 되었다고 한다.

또 수리란 고(高)·상(上)·신(神) 등을 의미하는 우리의 고어(古語)인데, '신의 날', '최고의 날'이란 뜻으로 불렀다고도 하며, 또 모함을 받은 중국 초(楚)나라 굴원(屈原)이 지조를 보이기 위해서 수뢰(水瀨:급류)에 빠져 죽었다는데 이 날을 기려 제사를 지냈다 하여 수릿날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농가의 부녀자들은 '단오장(端午粧:단오날의 화장)'이라 하여 창포뿌리를 잘라 비녀로 만들어 머리에 꽂아 두통과 재액(災厄)을 막고, 창포를 삶은 물에 머리를 감아 윤기를 냈다.

또 단옷날 새벽 상추잎에 맺힌 이슬을 받아 분을 개어 얼굴에 바르면 버짐이 피지 않고 피부가 고와진다고 생각했다. 남자들은 단옷날 창포뿌리를 허리에 차고 다니는데, '귀신을 물리친다'는 믿음을 가졌다.

단옷날 중에서도 오시(午時:오전 11시∼오후 1시)가 가장 양기가 왕성한 시각으로 생각하여 농가에서는 약쑥, 익모초, 찔레꽃 등을 따서 말려둔다. 오시에 뜯은 약쑥을 다발로 묶어서 대문 옆에 세워두면 재액을 물리친다고 믿었다. 창포주(창포로 담근 술) 등 약주를 마셔 재액을 예방하려 하였다.

또 음력 5월은 무더위가 시작되는 무렵이어서 올해도 더위를 타지말고, 건강하라는 뜻으로 이웃에게 부채를 선물했다. 또 '대추나무 시집 보내기'라는 풍속도 있는데 단옷날 정오에 대추나무 가지를 치거나 가지 사이에 돌을 끼워 놓아 더 많은 열매가 열리기를 기원하는 풍습도 있었다.

수리취떡
수리취떡 ⓒ 국립민속박물관
단오의 시절음식으로는 수리떡과 약떡이 있다. <동국세시기>에 따르면 "이 날은 쑥잎을 따다가 찌고 멥쌀 가루 속에 넣어 반죽을 하여 초록색이 나도록 한 다음 떡을 만든다. 그리고 수레바퀴 모양으로 빚어서 먹는다"라는 풍속이 전한다. 이것이 바로 수리떡이다.

약떡은 전라남도 지역에서 전하는 시절음식이다. 5월 4일 밤이슬을 맞혀 두었던 여러 가지 풀을 가지고, 단옷날 아침에 해 먹는 떡을 말한다. 앵두가 제철인 단오 무렵이면 앵두화채를 만들어 먹는다. 또 이 날은 새 쑥을 넣어 만든 떡으로 차례를 지내는 것이 관습이다.

우리 나라는 예로부터 단오절에 '단오제'나 '단오굿' 등의 행사를 가졌고, 그네뛰기와 씨름을 즐겼다. 그러던 것이 일본 제국주의의 문화 말살정책과 한말 개화기 이후 들어온 신파연극이나 영화 등에 밀려 현재는 거의 사라졌다. 강원도 강릉지방의 강릉단오굿, 법성포 단오제 등이 현재 겨우 명맥을 잇고 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북한은 해마다 단오를 민속명절이라 하여 휴식일로 정하고 하루를 쉬게 하고 있다고 한다. 또 전국 각지에서 그네타기, 씨름, 널뛰기, 윷놀이, 봉산탈춤 등 민속놀이와 체육오락행사를 갖는다.

올해도 서울에서는 국립민속박물관과 남산골한옥마을에서 다양한 단오잔치를 연다.

국립민속박물관의 단오잔치

국립민속박물관은 '창포물에 머리감고 단오부채로 여름을 준비하며'란 이름의 단오잔치를 한다. '창포물에 머리 감기', '수리취떡 빚기와 제호탕 시식', '단오부채 나누기와 단오부적 찍기', '봉선화물 들이기' 등의 다채로운 내용을 한 데 엮은 '푸른 여름을 준비하는 수릿날' 행사를 21일(월)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까지 박물관 앞마당에서 개최한다.

1. 창포물에 머리 감기
창포물을 내어 머리를 감고, 손질하는 모습을 재현한다. 박물관을 찾은 관람객들도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세수를 하던 풍속을 체험하며, 자연에서 얻은 창포내음으로 건강한 여름을 준비하는 시간을 갖는다.

2. 수리취떡 빚기와 제호탕 시식
관람객들에게는 수레바퀴 모양의 떡살로 직접 찍은 수리취떡과 함께 시원한 제호탕과 오미자화채를 맛보는 자리가 마련된다. 조선시대 궁중에서 으뜸으로 꼽던 음료인 제호탕은 향기가 진하여 단오부터 여름내 즐겨마시던 전통음료다. 여름철 갈증을 해소해주고 위장을 튼튼하게 하는 데 효과적인 음료로 알려져 있다.

3. 단오부채 나누기, 단오부적 찍기
관람객들에게 단오부채를 나누어주고, 직접 단오부적을 찍어보는 체험의 자리도 마련된다. 부채가 주는 여유로운 자연의 바람으로 무더운 여름을 운치 있는 여름으로 바꾸어 보자. 또 혼자만이 아닌 더불어 시원한 여름을 날 수 있는 슬기로움을 만들자.

4. 봉숭아물들이기
여름밤 시골집 마당에 모여 앉아 물들이던 봉숭아 꽃물을 민속박물관에서 다시 만나 본다. 봉숭아를 찧어 콩잎으로 감싸 물들이는 과정을 재현하고, 관람객들도 어렸을 적 아련한 추억을 떠올리며, 직접 봉숭아물들이기를 해볼 수 있다. 손끝에 담아놓은 봉숭아 꽃잎의 고운 빛깔이라면 한여름 무더위도 꽃빛의 고운 추억이 될 수 있지 않을까?

남산골한옥마을의 단오잔치

서울 남산골한옥마을은 6월 19일(토)~ 20일(일)에 잊혀져 가는 우리 세시명절인 단오 풍습을 느껴보고 체험할 수 있는 '단오민속잔치'를 연다. 단오의 대표적인 놀이인 씨름과 그네뛰기뿐만 아니라 창포물에 머리감기, 석빙고 체험 등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거리가 풍성하다.

중요 무형 문화재 안숙선의 판소리 공연 외에 국가지정중요무형문화재 제58호 줄타기, 국가지정중요무형문화재 제17호 봉산탈춤과 휘몰이잡가, 강령탈춤, 택견시연, 전통타악공연 등 우리 전통 문화의 아름다움과 멋을 보여줄 중요무형문화재의 평소 보기 힘든 귀중한 공연이 이틀 간 펼쳐진다.

또 창포물에 머리감기, 봉숭아 꽃물 들이기, 빙고체험, 음식체험은 옛날 그대로 재현할 뿐만 아니라 직접 머리도 감아보고, 봉숭아 꽃잎을 따서 직접 손에 꽃물을 들인다. 창포체험장에서 창포팩을 기념으로 받아갈 수 있다.

또 단오 때 우리 조상들이 주고받았던 단오부채와 여름내 액운을 막고 건강하게 지내기 위해 만들어 붙였던 단오부적을 윤택영 가옥에서 전시한다. 이밖에도 공예품 난전에서는 부채, 닥종이 공예, 목공예, 도자기, 악기 등 다양한 전통 공예품 제작 시연을 관람할 수 있으며, 먹거리 난전에서는 우리나라 전통 민속주와 음식을 운치있는 전통공원에서 즐길 수 있다.

우리는 우리의 소중한 전통을 잊고 지낸다. 하지만 전통문화를 잊으면 세계인에게 내놓을 자랑스러운 문화를 잊는게 된다. 또 중요한 경쟁력을 상실하게 된다.

그래서 이런 명절만이라도 보고, 듣고, 만지고, 만들고, 즐길 수 있는 국립민속박물관과 남산골 한옥마을의 '단오민속잔치'에 가족이 함께 참가하여 좀더 쉽고 가깝게 우리 문화를 배우고, 더불어 여름의 무더위와 액운을 막는 좋은 추억까지 만들면서 소중한 경쟁력을 다져보면 어떨까? 동시에 혼자만이 아닌 주위와 더불어 더위를 같이 물리쳤던 조상들의 슬기로움을 배워보자.

국립민속박물관 단오행사표
국립민속박물관 단오행사표 ⓒ 김영조

남산골 한옥마을 단오행사표1
남산골 한옥마을 단오행사표1 ⓒ 김영조

남산골 한옥마을 단오행사표2
남산골 한옥마을 단오행사표2 ⓒ 김영조

제호탕 이야기
제호탕 이야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으로 우리문화를 쉽고 재미있게 알리는 글쓰기와 강연을 한다. 전 참교육학부모회 서울동북부지회장, 한겨레신문독자주주모임 서울공동대표, 서울동대문중랑시민회의 공동대표를 지냈다. 전통한복을 올바로 계승한 소량, 고품격의 생활한복을 생산판매하는 '솔아솔아푸르른솔아'의 대표를 하고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