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한창 제철인 노란꽃창포(지난해 모습)
ⓒ 박도
제 철에도 피지 않는 꽃

집을 물려받아 살게 되면 전 주인이 어떤 사람인지 곧 알게 되고, 그에 대한 미움과 고마움을 두고 두고 새기게 마련이다. 내가 살고 있는 안흥 집의 전주인은 민속학을 전공한 이영식 선생과 그림을 그리는 김현일 선생 부부였다.

워낙 오래 되고 낡은 집이라 우리가 물려받은 뒤 아내가 여기저기 손을 많이 보았지만 구석 구석에 알뜰한 주부의 손길을 느끼게 하는 곳이 많았다. 특히 뜰에 화초를 여러 가지 심어놓아서 봄부터 가을까지 눈을 즐겁게 했다.

내가 이곳으로 내려오기 전 해 여름(2003년), 한 차례 와 보았더니 집 어귀의 노란꽃창포와 붓꽃들이 무성하게 자라서 일대 장관을 이뤘다. 그밖에도 옥잠화, 금낭화, 야생 원추리를 집 안팎에 잔뜩 심어놓아서 여름 내내 푸근함에 느끼게 했다.

그런데 이 즈음 한창 무성하게 돋아나야 할 노란꽃창포와 붓꽃들이 올해는 오뉴월에 서리를 맞은 듯 비실비실 메마른 채 여태 깨어나지 못하고 있다. 처음에는 제철이 아니라서 그런 모양이라고 무심코 지냈는데, 다른 곳에 옮겨다 심은 노란꽃창포는 활짝 피었는데도 집 어귀의 붓꽃과 노란꽃창포는 아직 땅바닥을 기고 있고, 그 언저리 풀들은 늦가을의 된서리를 맞은 양 누렇게 자지러졌다.

▲ 지난해의 붓꽃
ⓒ 박도
▲ 올해의 붓꽃
ⓒ 박도
마침내 아내가 그 영문을 알아냈다. 올 봄 우리가 집을 비웠을 때에 누군가 이곳에다가 제초제를 뿌려놓아서 이 화초들이 그 독성에 거의 다 죽었다가 몇 포기가 간신히 살아나서 꽃을 피운 것이다. 나는 땅바닥을 기고 있는 그 꽃송이를 카메라에 담은 뒤 다시 살펴봤다. 여태 제초제의 독성이 남았는지 꽃잎은 잔뜩 오그라들었다. 마치 그 모습이 고엽제를 맞은 파월 상이용사 같다.

누가 내 집 어귀에다가 제초제를 뿌렸는지 심증은 가지만 물증이 없기에 함부로 누구를 지목해서 원망할 수도 없다. 아마도 누군가 이 화초들이 농사에 방해가 되는 잡초로 보고 별 생각 없이 제초제를 뿌렸나 보다.

본성을 잃어가는 사람

언젠가 충남의 한 민속마을에서 제초제를 뿌리는 농부에게 한 마디 하였다가 된통 혼났다.

"땡볕에 풀 한 번 뽑아 보시오. 누군 유기농이 좋은 줄 모르나요. 농촌에 일손도 없는데 그나마 농약과 제초제 없이는 농사지을 수도 없어요. 농촌 현실을 모르면 그냥 잠자코 있으시오."

차를 타고 들녘을 지나다니면 한창 푸르러야 할 풀밭이 된서리를 맞은 양 누렇게 타들거나 메마르고 있다. 잡초를 잡는다고 제초제를 뿌렸기 때문이다. 농작물이 자라는 곳에는 금비와 농약이 뿌려지고 있다. 그 독성에 지렁이도 벌레도 없고 그걸 잡아먹는 개구리 뱀도 사라지고 있다.

▲ 화사한 금낭화
ⓒ 박도
자연 생태계는 더불어 살아가는 게 자연의 법칙인데 그 법칙이 허물어지고 있다. 사람에게 우선 도움이 안 되거나 방해가 되면 나중은 생각지 않고 가차 없이 몰살시켜 버린다. 동식물에게만 그런 짓을 하는 게 아니다. 같은 사람조차도 한 번에 몰살시키는 무기개발에 머리를 싸매고 그런 무기를 많이 가진 나라가 강대국으로 세계를 호령하고 있다.

사람들이 본성을 잃어가고 있다. 사람의 양심조차 무뎌지고 있다. 나만 편하고 잘 살기 위해 온갖 고약한 짓을 서슴지 않는다. 풀 한 포기 벌레 한 마리를 아무런 거리낌 없이 마구 죽이는 사람의 잔인성이 무섭다.

사람의 입에 들어가는 먹을거리에도 장난질을 하고, 코흘리개 어린 학생들에게조차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장난질하면서도 부끄러워할 줄 모르는 세상이 두렵다.

하느님! 왜 사람을 만드셨습니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