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나전대모칠 국화넝쿨무늬모자합. 화장용구를 담는 그릇 구성품의 하나로 추측. 고려시대. 4.1X  10.2  일본 개인(다찌마 미쓰루) 소장품.
나전대모칠 국화넝쿨무늬모자합. 화장용구를 담는 그릇 구성품의 하나로 추측. 고려시대. 4.1X 10.2 일본 개인(다찌마 미쓰루) 소장품. ⓒ 곽교신
이번 전시에서 주목받는 작품 중의 하나로 고려시대 것인 '나전대모칠 국화넝쿨무늬모자합'의 경우 국내에는 없는 희귀한 유물이다. 한 조가 4개로 구성되어 원을 이루고, 또 다른 큰 상자에 원을 이룬 4개가 들어간다 해서 모자(母子)합으로 불린다.

기물의 형태 자체가 예를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사료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는 유물이다. 대모(玳瑁)란 바다거북 등껍질로 이를 얇게 갈고 채색을 하여 자개와 혼용한다.

이 외에도 나전칠기 명품의 반열에 올려도 좋을 유물이 20여점이나 출품된 이번 전시는 그야말로 나전칠기의 진수가 다 모였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려자기와 함께 우리 공예문화의 정수라 할 나전칠기는 의외로 남아 있는 작품이 많지 않다. 현란함이 절정을 이뤘던 고려 나전칠기는 우리나라엔 불자(사찰 용구·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점 외엔 공개 가능한 온전한 형태의 칠기합 종류는 한 점도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려 나전칠기의 후예가 사는 한반도에 조상의 유품이 없는 셈이다.

전세계를 통틀어도 10~20점 정도만 남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희귀한 문화유산인 고려 나전칠기는 체계적인 연구도 생각만큼 깊지 않다는 것이 관련 학자들의 말이다.

이렇게 우리 공예문화의 정수라 해도 좋을 나전칠기가 모처럼 한자리에 모인 것이다. 특히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의 국보급 문화재가 된 나전칠기 명품들까지 한자리에 모였으니, 그야말로 국내외 나전칠기 명품 중의 명품들이 한 자리에 모인 것이다.

이번 전시에 나온 고려 나전칠기 명품은 일본 중요문화재로 지정된 4점을 비롯 총 7점으로 그 중 6점이 일본 내 소장품들이다. 또 조선 초의 나전칠기 명품 20여점 등 총 67점의 나전칠기가 전시되어 있으며, 나전칠기의 기술적 시원을 추측할 수 있는 관련 고대유물까지 합하면 총 86점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김홍남 국립중앙박물관장은 "나전칠기의 기법은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보이나 이를 고수준의 공예로 꽃피운 것은 우리 고려인데, 정작 우리에겐 온전한 것으론 한 점도 없는 고려의 나전칠기들을 일반인들에게 보여드리게 된 것이 기쁘다”고 말하며 흔치 않은 관람 기회를 놓치지 말 것을 주문한다.

이 특별전은 10월 8일까지 계속된다.

나전칠 소나무호랑이무늬베갯모. 베개 양끝을 막는 마구리로 나무원판에 나전 시공. 조선 후기. 지름 17.9cm. 국립중앙박물관소장.
나전칠 소나무호랑이무늬베갯모. 베개 양끝을 막는 마구리로 나무원판에 나전 시공. 조선 후기. 지름 17.9cm. 국립중앙박물관소장. ⓒ 곽교신

나전칠 용무늬옷상자. 찬란한 광채는 차라리 한 점의 보석이다. 조선 후기. 17.0 X 75.8 X 53.0   일본 나고야성박물관 소장.
나전칠 용무늬옷상자. 찬란한 광채는 차라리 한 점의 보석이다. 조선 후기. 17.0 X 75.8 X 53.0 일본 나고야성박물관 소장. ⓒ 곽교신

나전칠용무늬옷상자의 뚜껑부분 확대도. 타발법(오려낸 자개를 금이 가도록 살짝 깨뜨려서 붙이는 기법.)으로 제작되어 깨진 조개사이로 비치는 검은 옻칠이 비교되며 광채가 더욱 현란하다.
나전칠용무늬옷상자의 뚜껑부분 확대도. 타발법(오려낸 자개를 금이 가도록 살짝 깨뜨려서 붙이는 기법.)으로 제작되어 깨진 조개사이로 비치는 검은 옻칠이 비교되며 광채가 더욱 현란하다. ⓒ 곽교신

나전칠 포도동자무늬옷상자. 후대로 내려오면서 도안 구도가 여유로워져 상대적으로 옻칠한 검은 부분이 많이 드러난다. 포도잎의 반사광이 강렬하다. 조선후기. 17.6 X 76.5 X 48.0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나전칠 포도동자무늬옷상자. 후대로 내려오면서 도안 구도가 여유로워져 상대적으로 옻칠한 검은 부분이 많이 드러난다. 포도잎의 반사광이 강렬하다. 조선후기. 17.6 X 76.5 X 48.0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 곽교신

덧붙이는 글 | 매주 월요일 휴관. 
전시문의 02)2077-9280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